그림동화에는 '수명'이라고 사람 목숨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가 있다. 이 이야기는 여러 번 읽어봐도 그저 단순한 동화라고 생각하기엔 여러 가지를 생각하게 한다. 물론, 그림동화 가운데 그런 이야기들이 한두 가지는 아니지만.

이야기 내용은 이렇다.

하느님이 세상을 만들고 온갖 짐승들 수명을 정해주던 때의 일이다. 나귀가 먼저 와서 자신은 얼마나 사는지 물었더니 하느님은 30년을 말씀하셨다. 나귀는 너무 길다고 투덜댔다. 사람들의 부려먹음을 받으며 온갖 고생을 다하는데 그저 돌아오는 것이라고는 늘 손찌검과 발길질뿐이라는 말이었다. 나귀는 그러니 제발 그 긴 시간을 줄여달라고 한다. 그리하여 하느님은 나귀의 목숨에서 18년을 줄여 준다. 곧이어 개가 찾아왔다. 개의 수명도 30년을 말하자, 개 또한 30년은 너무 길다고 아우성친다. 이렇게 매일 뛰어다니는데, 자기 다리는 그토록 오래 버티지 못한다는 것이다. 게다가 마음대로 짖지도 못하는데, 물어뜯을 이빨마저 없어지면 그저 구석에 처박혀 그 긴 시간을 보내야 한다니, 생각만으로도 끔찍하니 수명을 줄여달라고 말한다. 하느님은 고개를 끄덕이며 개에게서 12년을 줄여준다. 그 뒤 원숭이가 찾아왔다. 원숭이에게도 30년의 수명을 주신다 하니 놀랍게도 원숭이 또한 지나치게 길다고 투덜댄다. 사람들 앞에서 익살이나 부리니 삶이 즐거울 것 같지만, 사실 익살 뒤에는 아주 큰 슬픔이 감추어져 있다며, 30년 동안 어릿광대 노릇을 하고 싶지는 않다고 말한다. 이에 하느님은 또 수긍하시고 원숭이에게서 10년을 줄여주신다.

드디어 사람이 하느님 앞에 나타나 자기 수명을 정해달라고 한다. 하느님은 사람에게도 30년을 말하신다. 그랬더니 사람은 너무 짧다고 울부짖었다. "집을 지어 아궁이에 불을 지피고, 심어둔 나무에 꽃이 피고 열매가 달려 이제야 겨우 어떻게 즐기면서 살아갈까 생각하는 참인데 벌써 죽어야 한다니!" 너무 한다는 말이었다. 하느님은 그 또한 수긍하시며 나귀의 18년을 더 주겠다고 하니, 사람은 그것으로도 충분치 않다고 한다. 그러자 하느님은 개의 12년을 더 얹어준다. 그러나 사람은 여전히 만족하지 못한다. 곧 하느님은 최후의 수단으로 원숭이의 10년마저 사람에게 더 얹어 주었다. "그렇지만 더는 안 돼"라는 말과 함께. 사람은 하는 수 없이 70년의 수명을 받고 돌아갔지만, 그의 얼굴은 불만으로 가득했다.

이 동화의 끝은 이렇다.

이렇게 해서 사람은 70년을 살게 된 것이다. 처음 30년은 가장 처음 주어진 사람의 시간이라 매우 빠르게 지나간다. 이때는 건강한 몸으로 명랑하고 즐겁게 일하며 삶의 기쁨을 느낀다. 그다음 나귀의 18년이 이어지는데, 이때는 늘 무거운 짐들을 잇달아 등에 짊어져야만 한다. 곡식을 나르고 다른 사람들을 먹여 살려야 하지만, 그 충성스런 고생의 대가로 얻는 것이라고는 손찌검과 발길질뿐이다. 그 뒤 이어지는 개의 12년은 물어뜯을 이빨도 없이 구석에 앉아 끙끙거리며 보내게 된다. 이 기간이 지나면 원숭이의 10년을 살다 삶을 마감하게 되는데, 바보 멍청이가 되어 얼빠진 짓이나 저지르다가 아이들 놀림감이 되고 만다.

독일어 원문은 아니고, 영어판은 이렇다


So man lives seventy years. The first thirty are his human years, which are soon gone, then is he healthy, merry, works with pleasure, and is glad of his life. Then follow the ass's eighteen years, when one burden after another is laid on him, he has to carry the corn which feeds others, and blows and kicks are the reward of his faithful services. Then comes the dog's twelve years, when he lies in the corner, and growls and has no longer any teeth to bite with, and when this time is over the monkey's ten years form the end.  Then man is weak-headed and foolish, does silly things, and becomes the jest of children.


사람의 수명이 처음 정해진 것처럼 30년이었다면 어땠을까? 이미 나는 죽은 목숨이라고 생각하면 홀가분한 것도 조금은 있지만 참으로 짧다는 생각이 드는 건 어쩔 수 없다. 동화 속, 사람 말처럼 30년은 이런저런 준비를 하면서 보낸 시간이 아닌가. 그렇다고 서른이 넘어 본격적으로 즐겁게 사느냐 싶은데, 실제 인생은 그렇지 않다. 나귀의 18년이 얹어졌듯이 이래저래 먹고 살기 위해 힘겹게 살아가야만 한다. 그렇다고 나귀의 18년처럼 꼬박 18년을 일할 수 있는가 하면, 오늘날 세상은 그리 호락호락하지도 않다. 18년이 채 지나지도 않았는데 이빨 빠진 늙은 개처럼 한쪽 구석으로 내몰리는 게 현실이다.

그래서 사람은 이빨 빠진 늙은 개와 놀림거리가 되는 원숭이로서의 세월에 그런 대접을 받지 않으려고 나귀의 18년 기간 동안 지나치게 아등바등 살아간다. 돈이라도 억척같이 모아놓으면 개나 원숭이 대접은 벗어날 수 있지 않을까 하여 자신이 어디로 가는지도 모르고 스스로에게 마구 채찍을 휘두른다. 하지만 알다시피 사람의 인생은 결국 어느 순간 한쪽 구석으로 물러나야만 한다. 그런 시기가 왔을 때 와르르 무너지지 않으려면 나귀의 18년 동안 일을 하면서도 자신을 잃어버리지 않도록 늘 가다듬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 때가 오더라도 그것이 인생의 자연스러운 흐름이라고 담담히 받아들일 수 있으려면 평소 자기 삶과 내면을 돌아보는 습관이 배어 있어야 한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그저 나귀의 18년 동안 악착같이 돈을 모으고 정신없이 일하는 것에만 몰두한다. 그렇기 때문에 노년의 삶이 주어졌을 때 ‘내가 이제껏 무얼 하고 살았지? 내 인생은 뭐지?’ 단번에 와르르 무너지는 것은 아닐까.

나 또한 나귀의 삶을 살고 있다. 딱히 앞날을 크게 준비하는 것도 아닌데, 가끔 그저 멍하니 뭘 하고 사는지 모를 정도로 넋을 놓아버릴 때가 있다. 나귀의 18년 가운데 앞으로 또 얼마나 일을 하며 살아갈 수 있을지도 확실히 알 수 없다. 나도 더 나이 들어 늙었을 때 한쪽 구석에 내몰리더라도, 남들이야 나를 어떻게 보든 나 자신이 스스로를 이빨 빠진 개나 원숭이처럼 여기지 않도록 오늘 하루도 스스로를 잘 가다듬어야 할 텐데. 어쩌면 매일 일하고 아무 생각 없이 잠드는 것보다 그렇게 가다듬고 돌아보는 삶이 더 어려운 것 같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