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털터리 세대 - 2030세대 왜 이렇게 살기 힘든가?
타마라 드라우트 지음, 에밀리 문 옮김 / 오픈마인드 / 2006년 12월
평점 :
절판


책의 원제는 <Strapped: Why America's 20- and 30-Somethings Can't Get Ahead>로 책에서 다루고 있는 빈털터리 세대란 미국의 20대와 30대이다. 이른바 X세대로 불리는 이 세대는 베이비붐 세대 이후 세대로, 1965년에서 1981년 사이에 태어난 이들을 말한다. 이 책이 쓰인 2005년을 기준으로 24세에서 34세에 이르는 이들이다. 미국의 일이라 우리와 얼마나 환경이 비슷할까? 하는 생각도 들 수 있겠지만 X세대에 대한 구분부터 그들이 처한 현실이 지금 우리나라의 20~30대의 삶과 크게 다르지 않다. 미국과 우리나라뿐만이 아니다. 유럽의 ‘천유로세대’, 일본의 ‘비참세대’ 등등 전 세계의 2030 세대는 일찍이 유례없이 가혹하게 경제적으로 힘든 시기를 살고 있다. 왜? 이 책에서도 가장 큰 이유는 ‘신자유주의’ 때문이라고 지적한다.  

과거에 비해 좋은 일자리는 많이 줄었고, 실질 임금은 오히려 감소했다. 집값이나 물가는 계속해서 오르는데, 그에 비해 임금 수준은 턱없이 낮다. 특히 비정규직 등 저임금 시장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데, 이런 현상의 주범이 바로 ‘신자유주의 경제’라는 것. ‘기업들은 글로벌 경쟁 심화, 기술의 진보, 단기 이익 중심의 경영 방침을 내세워 고용 안정을 포기하고 고용의 유연성을 추구’했으며 때문에 기업들이 인건비를 줄이기 위해 건물 관리부터 접수 업무에 이르기까지 서비스 업무 대부분을 외주업체에 맡기면서 비정규직이 늘어났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일자리를 창출’하겠다고 정부에서 공공연히 말하지만, 일자리가 늘어난 그 면모를 살펴보면 좋은 일자리가 아닌 저임금직만 늘었다. 그러니 모두가 공무원, 공무원으로 몰린다.


미국의 2030세대는 사회에 진출할 때부터 이미 수 만 달러의 빚을 안고 진출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대학교육비’ 때문이다. 높은 대학교육비를 감당할 길이 없어 대학생 때부터 학자금 대출 서비스를 받고, 사회에 나올 때부터 빚을 떠안고 출발을 한다. 게다가 그렇게 나와 봤자 학력인플레이션이 높아, 석사 이상의 경우에나 조금 좋은 일자리를 얻는다. 때문에 사람들은 또 빚을 지며 석사까지 마치고 나오는 경우도 허다하다. 그렇게 나온 사회에서도 좋은 일자리는 그다지 없고, 비정규직 일자리가 많으니 자동적으로 건강보험이나 퇴직연금 등을 기대할 수 없는 불안정한 고용시장으로 편입된다. 게다가 집값은 또 오죽 비싼가? 괜찮은 일자리가 많은 대도시는 그만큼 살인적인 집값을 자랑하니 사회에 진출한 2030세대는 대학 학자금 대출 빚에 살인적인 집값에 월급을 받으면 바로 통장이 비어버리는 ‘빈털터리 세대’가 되어버린다. 미래를 위해 돈을 모으는 것은 꿈도 꿀 수 없다. 여기에 결혼을 해서 애라도 낳으면 자녀교육비 때문에 빚잔치는 더더욱 커진다. 아이를 낳을 경우 파산의 위험은 두 배로 늘어난다. 그러니 독립을 했다가 다시 집으로 돌아오는 ‘부메랑키즈’ 현상과 아이를 낳지 않으려는 현상은 계속해서 확산된다.

미국만의 이야기가 아니다. 우리나라도 이와 별반 다르지 않다. 이미 대학등록금 천만 원 시대에 육박, 대학생 때부터 학자금 대출로 빚쟁이가 되고, 그렇게 빚을 지며 졸업을 하고 사회에 나와도 학력인플레이션 때문에 일자리는 모자른다. 신경제의 영향으로 좋은 일자리보다는 저임금의 비정규직이 훨씬 많다. 집값은 말할 것도 없고.... 결혼 포기는 물론, 결혼을 하더라도 아이 낳기를 포기한다. 출산율은 갈수록 줄어든다. 모두가 공무원으로 몰린다. 얼마 전 공무원 시험에 줄곧 낙방한 뒤 끝내 자살한 어느 청년의 이야기는 그저 남의 이야기만이 아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저자는 ‘자신이 누릴 몫은 스스로 찾아라’고 말한다. 어떻게? ‘국가가 내게 무엇을 해줄 것인가’를 생각하라는 것이다. 정치적인 ‘한 표’의 행사부터가 큰 의미를 갖는다고 한다.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이들 X세대는 정치에 매우 무관심하다. 정치가 ‘나’와는 실질적으로 아무런 상관이 없다고 한다. 그러다보니 모든 국가 정책은 정치에 관심이 많은 그들 부모세대 ‘베이비붐’ 세대를 이롭게 하는 방향으로 흘러간다.
 
미국의 X세대들은 레이건과 아버지 부시 시절 성년기를 보냈고, 클린턴 시절에 고용시장에 진입하게 되었다. 저자에 따르면 ‘젊은 세대들은 오늘날 집을 사고 자식을 키우느라 고생을 하면서도 정부의 정책이 옳은가를 묻기보다는 자신의 자립능력에 부족하기 때문은 아닐까 의심한다’는데 이는 '레이건 효과'로 ‘레이건은 집권 기간 내내 정부는 골칫거리, 세금삭감과 자유시장이 성장의 엔진, 개인의 책임이 민주주의의 초석’이라는 이념을 젊은 세대의 의식에 주입했다.

우리나라 역시 다르지 않다. 이 책은 10년 전에 쓰였지만 그때의 한국과 지금을 비교해보면 나아지기는커녕 더 암울하다. 빚에 쪼들리고, 늘 텅텅 빈 월급봉투를 매만지면서 ‘나는 대체 왜 이럴까?’ ‘내가 왜 이렇게 못났을까?’ 하고 생각하는 이들. 2030 더 나아가 40대의 대부분이 이런 생각을 하는 가장 큰 이유는 ‘능력위주의 무한 경쟁, 자율경쟁’ 이라는 슬로건이 정부의 사회적 책임은 뒤로 한 채 스스로 개인에게 책임을 묻게 하는 사회 분위기를 만들어 낸 것이다.

때문에 저자는 이 모든 사태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정치에 무관심한 유권자의 '무모한 투표' 행위를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 ‘후보자의 정치공약을 진정으로 이해하기보다는 직감이나 부모의 신념 혹은 충동에 따라 표를 던지는 행위’ ‘성격이나 외모가 마음에 들어 표를 던지기도 하고, 선거 광고나 심야 토론회를 보고, 또는 부모님이나 친구의 말에 솔깃해서 선뜻 표를 내주는 행위’ 등을 중단해야 한다는 것이다. 지금이라도 ‘우리 세대’에게 이로운 공약을 내 세우는 사람, ‘우리를 이롭게 하는 이를 선택하라’고 거듭 촉구한다.

우리나라 또한 부동산 가격폭등의 수혜자도 결국 기성세대이며(부자 부모를 못만난 대부분의 2030세대는 부동산은커녕 전월세 방 한 칸이라도 얻는 것에 허덕이지 않은가), 국민연금제도 또한 기성세대들 위주로 돌아가고 있다. 그럼에도 좋은 일자리는 기성세대가 차지하고 있는 등 대부분의 국가 정책은 2030세대를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그들보다 앞선 세대를 위해 집행되고 있다. 왜? 젊은 세대가 정치에 무관심하기 때문이다. 무지가 악을 계속 부르는 것이다.

대선을 앞둔 이 시점. ‘우리를 이롭게 하는 이를 선택하라’는 저자의 말이 우리나라의 젊은이들에게도 깊이 각인되었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해본다.

끝으로, 이 책에서 좀 생뚱맞았던 것은 마지막 8장이다. ‘한국 실정에 맞는 대안을 제시’한다며 저자의 의도와는 전혀 상관없는 글을 덧붙였다(8장을 쓴 사람은 저자와 다른 사람으로, ‘500만원으로 45억 원을 만든 뒤, 다시 제로에서 25억 원을 만들어낸 분석투자의 귀재, 브라운스톤이라는 사람이다. 어떤 글을 써놨을지는 뻔하다). 진짜 왜 붙였나 싶다. ‘새로운 투자법을 배우고’ ‘개인경쟁력’을 키우라니. 이 책 저자가 이 사실을 알면 완전 100000% 분노했을 거 같다. 혹시라도 이 책을 읽을 분은 8장은 꼭 제하고 읽기를 권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7-04-27 11: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각 후보들마다 장단점이 하나씩 있습니다. 단점, 즉 네거티브가 눈에 띄면 장점을 보지 못하는 경우가 있어요. 그렇기 때문에 ‘우리를 이롭게 하는 이를 선택하라’는 말이 어떻게 보면 맞는 말 같습니다. 그러나 한편으로 생각해보면 찝찝한 말입니다. 장점만 보게 되면, 정말 심각한 단점을 발견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박사모가 그런 함정에 빠진 사람들입니다.


잠자냥 2017-04-27 12:05   좋아요 0 | URL
ㅎㅎㅎ 그럴 수도 있겠군요. ㅎㅎ 어쨌든 여기서(이 책에서) 말하는 ‘우리‘란 젊은 세대를 뜻하는 말이니.... 그들이 자신들을 위한 정책을 펼치는 후보에게 한 표 행사하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