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읽기와 글쓰기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서재’라는 공간에 대한 로망이 누구나 있으리라. 그 글쓰기가 꼭 거창한 것이 아니더라도 무언가를 끼적이기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어떤 방해도 없이 끼적댈 수 있는, 그런 공간을 갖고 싶지 않을까? 나 또한 그렇다. 지금 내 방은 완벽하게 ‘서재’라고는 말할 수 없는데, 양쪽 벽으로 책꽂이가 가득하고 그 가운데 창을 바라보며 책상이 하나 놓여 있다. 창밖으로는 하늘이 보인다. 창을 열고 책상에 앉아서 무언가를 쓰고 있노라면 고양이가 턱하니 올라와 창틀에 앉아 물끄러미 나를 바라본다. 그런 자기에게 관심을 보이지 않으면 이윽고 노트북 위에 앉거나, 내가 무언가를 쓰고 있는 종이 위에 철퍼덕 배를 깔고 엎드려 버린다. 


질 크레멘츠의 <작가의 책상>에도 그런 모습이 보인다. 에이미 탄의 책상 위에는 고양이 대신 요크셔테리어로 보이는 강아지 한 마리가 떡하니 올라와 있다.  윌리 모리스의 서재에는 흰 고양이 한 마리가 제풀에 지쳐 식빵 굽는 자세로 잠들어 있다. 아마도 집사인 윌리 모리스가 놀아주지 않자 눈을 감아버린 것 같다. 다른 작가의 서재에서도 고양이와 개의 모습은 심심치 않게 보인다. 스티븐 킹의 책상 아래에는 웰시코기 녀석이 천진난만한 얼굴로 카메라를 응시하고 있다. 반려동물이 아닌 젖먹이 아기가 바닥에 누워 한가롭게 젖병을 빨고 있는 경우도 있다.


포토저널리스트이자 작가들의 초상사진가로 잘 알려진 질 크레멘츠는 커트 보니것의 아내이기도 하다. 그래서 그런지 맨발에 등을 구부리고 앉아 작업 중인 커트 보니것의 모습은 이 책에 실린 다른 작가의 사진보다도 한결 편안해 보인다. 생활그대로의 모습이랄까. 내가 이 책에 관심을 갖게 된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중에서도 작가들의 책상을 엿보고 싶다는, 그리고 그들은 어떤 환경에서 작업하는지에 대한 호기심이 가장 컸다고 할 수 있다. 


<작가의 책상>과 비슷한 책으로 <글쓰는 여자의 공간>이 있다. 이 책은 여성 작가로 그 대상을 한정했으며 ‘작가의 책상’이 아닌 ‘그녀들을 글쓰기로 몰아붙인 창작의 무대’라는 부제에서 알 수 있듯이 책상이나 서재만이 아니라 그들이 주로 글을 쓰는 공간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작가의 책상>이 ‘책상’과 ‘작가’ 사진에 중점을 두고 있다면 <글쓰는 여자의 공간>은 좀 더 폭넓은 공간을 다루고 있다고나 할까. <글쓰는 여자의 공간>에서는 주변 디테일이나 책상, 서재 등의 분위기를 보면 그녀가 어떤 작업 환경이나 생활환경에 있었는지를 추론할 수 있다고 말한다. 이러한 환경, 즉 작가가 사는 곳, 주변 풍경, 작업 공간, 책상 등 모든 요소들은 작가에게 영감을 주며, 어떤 경우에는 작품을 탄생시키기도 했다고 보는 것이다. 두 책 모두 사진과 함께 작가들의 글에 대한 생각, 창작방식을 엿볼 수 있어 흥미롭다.


<작가의 책상>을 보면 서재나 책상은 한 작가의 개성을 뚜렷하게 드러내준다. 서재나 책상이 어지럽게 흩어진 사람이 있는가 하면 깔끔하게 치워진 사람도 있고, 벽에 무언가를 정신없이 붙여놓은 사람이 있는가 하면 그림이나 사진 등으로 그것을 제한한 작가들도 보인다. 앞서 말했듯이 반려동물이 함께 하는 경우도 많지만 전혀 그렇지 않은 쪽도 있다. 잠옷 바람으로 눈을 뜨자마자 침대에서 글을 쓰기 시작하는 사람도 있지만 정갈하게 옷을 갖춰 입고 글을 쓰는 이도 있다. 존 치버는 후자에 속할 듯한데, 사진 속에서 단정하게 빗어 넘긴 머리가 책상 위에 어지럽게 흩어진 꽁초와 대비를 이룬다. 무엇보다 넓은 창은 필수인 것 같다. 서서 글을 쓰는 작가도 이따금 보인다. 예전에 어느 책에선가 헤밍웨이도 종종 서서 글을 쓴다고 읽은 기억이(사진으로도 본 기억이) 난다. 오랜 시간 앉아있으면 허리도 아프고, 아무래도 몸에 무리가 가니, 좋은 방법이라는 생각이 든다. 


사진들을 보고 있자니, 내 서재 로망이 구체적으로 정리되기도 한다. 내가 가장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글쓰기 공간은 이 책의 표지를 장식한 한 장의 사진. 즉, 엘윈 브룩스 화이트의 집필 공간과 거의 비슷하다. 이곳은 서재가 아니다. 책도 없고 오로지 책상 하나와 글쓰기를 위해 필요한 도구- 그러니까 종이나 펜 또는 컴퓨터(타자기)를 제외하고는 아무것도, 그리고 누구도 없다. 컴퓨터 또한 인터넷과 연결되지 않아야 한다. 열린 창으로 사진처럼 호수 또는 바다가 보인다면 더 바랄 것이 없겠지만 초록으로 뒤덮였거나 하늘이 보여도 좋다. 절대적인 고독의 공간. 엘윈 브룩스 화이트의 책상이 그렇다. 오직 글과 작가만이 존재한다. 그런 공간이 있다면 더 바랄 게 없을 듯하다. 물론 이때 책이 잔뜩 쌓인 ‘서재’는 어딘가에 따로 있어야 한다.


 

엘윈 브룩스 화이트의 책상, <작가의 책상> 중




크리스타 볼프의 서재, <글쓰는 여자의 공간> 중



그러나 현실적으로 그런 공간을 꿈꾸기에는 조금 무리가 있으니 서재와 책상이 함께 있는 정도로 로망을 다시 수정해본다면, <글쓰는 여자의 공간>속 크리스타 볼프의 서재처럼 책으로 가득한 공간도 좋을 것 같다. 책상은 널찍하면 좋겠지만 책상 위는 깨끗하길 바라고, 창을 향하면 좋겠다. 수잔 손택의 책상은 널찍해서 탐이 난다. 그런데 그 위의 전화기는 사절이다. 그렇지만 손택에게 전화기는 필수였으리라. 글쓰기 말고도 다른 여러 가지에도 미칠 듯한 흥미를 느끼고, 누군가와 이야기하며 소통하기를 즐겼던 그녀이니까 말이다. 요즘 읽고 있는, 작가들의 인터뷰집인 <오리지널 마인드>에서 수전 손택은 글쓰기를 이렇게 말한다. 


저는 글쓰기가 세상에 존재하는 한 가지 방식이라고, 내가 아닌 바깥의 것들을 관찰하고, 주목하고 더욱 강렬한 관계를 맺는 방식이라고 말했지만, 그 말이 전부 사실이긴 하지만, 실제로 글을 쓰는 과정은 무척 고독합니다. 괜찮은 글을 만들어 내려면 쓰고 다시 쓰고 또 다시 쓰면서 수천 시간 동안 방 안에 혼자 있어야 하지요. 가장 강렬하고 고립된 경험이지요. 조종사이자 유일한 승객으로 혼자 우주선에 타고 있는 것과 같습니다. 저 역시 글쓰기에 대해서 복합적인 감정을 가지고 있어요. 저는 쓰지 않으면 못 견디는 사람이 아닙니다. 무척 흥미가 당기는 다른 모든 것들을 멀리해야 했다는 점이 아쉬워요. 연극과 공연 예술은 우선 협업이기 때문에 정말 즐겁습니다. 다른 사람과 힘을 합쳐서 뭔가를 만드는 것은 정말 큰 즐거움입니다. (<오리지널 마인드>, 278~279쪽)


<작가의 책상> 서문에서 존 업다이크는 ‘책상은 개념을 낳는 순결한 침대’라고 했다. <작가의 책상> 속 사진들은 하나 같이 그 작가들이 어떻게 글을 쓰며 ‘개념을 낳는지’를 고스란히 보여준다. 책상은 단순히 가구가 아니라, 작가의 머릿속이나 마찬가지인 셈이다. 때문에 이 책을 읽노라면 그들에게 중요한 것은 책상 자체, 책상은 어떠어떠해야 한다가 아니라, 그런 공간에서 탄생하는 이야기에 있음을 깨닫게 된다. 책상은 주인의 머릿속을 그래서 자연스레 닮아가는 게 아닐까. 


<글쓰는 여자의 공간>에서 엘케 하이덴라이히는 과거에 여자들이 글을 쓰는 곳은 아마도 부엌이었을 것이라고 말한다. 실제로 부엌에서 틈틈이 글을 써서 작가가 된 사례도 많다. 아이를 낳은 뒤에야 글을 썼다는 토니 모리슨처럼 육아를 병행하면서 글을 쓰는 작가들이 ‘서재’ 또는 ‘자기만의 책상’을 따로 두지 않고도 틈틈이 여기저기 앉은 자리에서 글을 쓰며 세계적인 작가가 된 사실은 왠지 더 감동적이다. 이 책에 실리지는 않았지만 레이먼드 카버는 아이들을 피해 자신의 차안에 들어가 글을 썼다고도 하지 않는가. 반면 카페처럼 공공장소를 주된 생활공간으로 삼으며 글을 쓴 작가도 보인다. 시몬 드 보부아르가 그 대표적인 예로, 그녀는 일생 동안 모든 가정사를 거부했다. 가사야말로 여자들의 자유와 삶, 글쓰기를 방해하는 덫이라고 여겼기 때문이다.


그러나 결국, 그들 모두는 어떤 공간에서든 썼다. ‘썼다’는 사실에 그 모든 위대함이 있다. <작가의 책상> 속 아이작 바셰비스 싱어의 말은 글쓰기라는 그 고독한 작업에 대한 거의 모든 ‘정수’를 담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앤 페트리의 말과도 통한다. 그들의 말을 되새기면서 다시 내방을 둘러본다. 서재 로망에는 조금 부족하지만 그렇다고 나쁘지도 않다. 틈틈이 놀아달라고 방해하면서 좀 쉬라고 충고하는 고양이도 있고 말이다. 응? 쉬라고? 난 요즘 더위 핑계로 너무 누워서 책만 읽었다. 이제 서늘한 바람도 제법 분다. 책상에 좀 앉자.


어떤 작가들은 저 멀리 외딴 섬으로 가야만 글을 쓸 수 있다고 하는데, 글쎄 그런 식으로 방해를 벗어나려면 달나라쯤은 가야 하지 않을까. 내 생각에 정작 글쓰기를 가로막는 것은 자기 자신이 아닐까 싶다. 한편으론 방해를 받는 것도 우리 삶의 한 부분이며, 글 또한 멈춤과 진행을 반복해가며 써나가는 편이 유용할 수 있다. 사람은 쉬는 동안, 혹은 덜 중요한 무언가로 인해 바쁘게 돌아가는 사이에 자신의 관점이 바뀌거나 시야가 넓어지곤 하기 때문이다. (아이작 바셰비스 싱어, <작가의 책상>, 103쪽)


글을 쓰기 위해 어디에 앉느냐는 중요하지 않아. 그냥 어디든 앉아서 쓰는 거야. (앤 페트리, <작가의 책상>, 112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