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한국의 글쟁이들 - 대한민국 대표 작가 18인의 ‘나만의 집필 세계’
구본준 지음 / 한겨레출판 / 2008년 8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대표작가 18인>이란 부제가 붙었지만, 그건 저자 마음이다.
아니, 편집자 마음이었을 것이다. 

나는 계속 저 '대표'란 말이 걸기적거렸다. 결국 리뷰에서 시비부터 걸게 된다. 

사람마다 '선호'가 다를 수밖에 없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 내가 참 사람을 '호오'의 기준에 따라 읽어댔구나... 하는 생각을 극명하게 했다. 

이 책에는 책깨나 읽어댔다는 나도 낯설어하는 이름들이 있어서 그들에 대해서는 호오의 느낌없이 읽을 수 있었다. 

내가 좋아하는 작가 정민, 이주헌이 맨 앞에 나선 것은 극구 반길 일이다.
좀 뒤쪽에 있긴 하지만 정재승, 조용헌도 좋아하는 작가다.  

한비야는 아무래도 작가라기 보다는 행동가다. 이원복과 이덕일은 간혹 읽긴 하지만 썩 마음에 들진 않는 편이랄까. 

두세 명은 그들의 책을 잘 읽지도 않지만, 읽었던 것들에서도 불편한 마음을 가지게 되는 작가도 있었다. 성공학이나 처세술 같은 이야기로 일관하는 사람들이 그렇다.  

이 작가들 중에는 교수인 사람도 있다. 그들은 가장 안정적으로 글쓰기를 하는 이들에 속한다.
한국에서 교수하기가 참 더러운 노릇이기 때문에(여러 대학 다니는 인간은 교수 못하는 퇴폐적 풍토, 참 한심하다.) 그걸 포기하고 글쟁이로 들어선 이들도 여럿 있다. 

나의 개인적인 호오와  상관없이, 글쓰는 이들의 특징은 '다독'이다.
우선 그들에게는 무수한 책들이 두뇌를 거쳐갔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리고, 그 자료들을 스크랩하기도 하고, 파일로 정리하기도 하는데, 정민 선생의 병원 차트 파일이 가장 오래 기억에 남는다. 나도 학문을 한다면 그렇게 하고 싶다. 정민 선생이 정약용의 지식경영법을 쓴 것은 우연이 아니다. 공병호 같은 사람이 '지식경영'에 대해 좀 알는지 모르겠다. 

한마디로 글쓰기의 요체는 <박람강기 : [博覽强記] 여러 가지의 책을 널리 많이 읽고 기억을 잘함>라고 할 만 하다. 

누구하나 박람강기의 정도를 벗어난 사람은 없었다.
그리고 표정훈씨가 말한 것처럼 <열쇳말 그물 짓기>가 독서와 글쓰기, 그리고 생각의 그물망을 완성하는 비법이다. 일단 읽고, 이리저리 얽노라면, 또다른 작가가 떠오르고, 또다른 서적이 검색 대상에 오른다. 물망에 오른 작가와 작품들을 읽어나가노라면, 박람강기는 더욱 빛을 발하게 된다. 

정민 선생 말처럼, 이런 작업에 가장 성공적으로 결과물을 제시한 이가 다산 정약용인 것이다. 

과학 저술가 이인식 님의 말 속에 '개똥철학은 피한다'는 말이 나온다. 역시 과학자 답다. 과학을 쓰는데 자기 느낌이나 생각을 슬쩍 곁들이는 일은 과학을 눙치는 노릇이 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렇지만, 뭐, 나처럼 여기(餘技)로 리뷰나 적는 사람에게 개똥철학은 글의 대부분 살덩이가 되어 버리기 어렵다. ^^ 

그리고 건축 저술가 임석재의 <눈덩이론>도 글쓰기의 핵심 키워드다. 
어느 정도 규모가 되어야 글이 굴러간다. 자료가 눈덩이처럼 어느 정도 모여야 글이 된다는 이야기다. 자료가 많아지면 생각이 넓어지고, 불필요해보이는 자료들도 버리고 나면 나머지 글들이 죽는다는 이야기도 마음에 담아둘 법하다. 

글을 써서 먹고 살 만큼 글을 잘 쓴다는 것은 드문 일이고, 부러운 일이지만,
그들의 글들에 공통적으로 추려질 수 있는 핵심들은 이런 몇 가지다. 

모두, 성실하고 부지런하고 꼼꼼하여야 할 노릇인데,
마음엔 조금 욕심이 있지만, 술마시는 자리 마다하지 않고 돌아다니는 내겐 그들의 이야기가 부럽기만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