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어 랄프 로렌
손보미 지음 / 문학동네 / 201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공간은

우주속에 포함되어있는 형식이 아닙니다.

정반대죠.

바로 우주가 시공간의 일부분일 뿐.(38)

 

이런 물리 이론도 등장하는데,

줄거리를 쓰자면... 횡설수설이다.

 

사람은 자기가 살아가는 짧은 '시간' 속에

자기가 경험한 좁은 '공간'에서

단편적으로 일방적인 시점을 가지고(FPS,  first person shooter)

그것도 편향적인 기억을 가지고 살아가는 사람이다.

 

한국이라는 공간에서 현대에 살아가는 데 필요한 재능은

청소년기 멍청하게 반복학습할 수 있는 능력과,

부모의 관심과 재산 정도일까?

 

그렇게 살아서 우수하던 종수는 유학 생활에서 고난에 직면한다.

방황하던 종수가 꽂힌 것은 고딩 시절 친구 수영과

랄프 로렌에게 쓰던 영문 편지.

 

누군가가

당신 마음 속 서랍에서

무언가를 꺼내서 가지고 가버린 거죠.(41)

 

이런 상실감을 극복할 방법은 없지만,

랄프 로렌에게 다가가는 복잡한 이야기들을 손보미는 능청스럽게 적고 있을 뿐이고,

그의 '임시 교사'와 '산책'에 매료되었던 나는

그 능청스러움이 좀 지겨웠을 뿐이고.

 

재미있는 부분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그가 듣는 녹음 테이프에서 겹쳐지는 배음의 남녀 이야기를 찾는 구절이었다.

 

우습지 않아요?

당신과 만난 지 오분밖에 지나지 않았는데

그동안 우리 사이에 있었던 그 모든 일이 아무 것도 아닌 게 되어버린 것 같아요.

사랑은 죽지 않으니까.(347)

 

무수히 많은 사람들이 등장하지만,

우리가 듣는 이야기는 사실 포커스가 아닐 수 있고,

정확한 초점을 맞추는 것은 힘든 것일 게다.

 

다만, 어떤 기억인가를 품고

상냥하게 이야기나눌 수 있는 상대가 있다면, 그걸로 '순간'은 사는 것이고.

 

손보미의 이야기를 읽다 보면,

종수의 연구 중단은 청천벽력같은 소리일 수 있지만,

뭐, 그런 것도 사소해 보일 수 있는 것이고,

초탈해버린다기보다는

'Dear~'에 담긴 포근한 애정으로 삶을 바라볼 수 있게도 한다는 기분이 든다.

 

폴로는 단순함과 정확함을 동시에 추구하는 운동.(56)

 

그의 컬렉션은 복잡한듯 간결하고 단순한듯 오묘하다.(57)

 

'나'는 세상의 중심이 아니다.

그렇지만 또 내 기준으로 세상은 오묘하게 이해가 된다.

따스한 애정을 가지고 살만한 곳이 세상이다...

나는 이런 메시지를 읽는다.

 

작가가 던진 공과 다른 곳을 쳐다보고 있는건지도 모르지만,

뭐 어떤가.

세상엔 '디어~ 손보미' 같은 마음도 있는 것인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설계자들
김언수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소설은 완전 구라이며

여기 등장하는 멋진 똥폼 잡는 남자들은 세상에 없는 인간들이다.

그러나...

대한민국의 21세기에 벌어지는 사건들은,

어딘가에 그 설계자들과 도살자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

대통령 5촌 살인사건이나, 각종 국정원 직원 자살 사건 등을 본다면

이런 소설들이 픽션인건지 의문이다.

 

책이 있어서 이 세상이 더 행복해졌을까?

글쎄 난 잘 모르겠어.

제대로 된 것들은 모두 책밖에 있는데 말이지.(395)

 

킬러들의 본산지가 도서관이라니, 이것부터가 낭만적이다.

 

깨어나서 5일만에 먹는 이 따뜻한 음식이,

염치없게 너무나도 맛있었다.

래생은 죽 한 그릇을 다 비우고 다시 잠이 들었다.(349)

 

다음 생에나 있을 법한 멋진 인간, 래생은

멋진 킬러이지만 생각이 많다.

 

푸주는 결코 감옥에 갇히지 않는다.

푸주는 감옥보다 훨씬 더 큰 세상이고

사실상 감옥 역시 또 다른 푸주이기 때문.(195)

 

세상은 재단될 수 없다.

악한 세력을 가둘 수도 없다.

악을 처벌할 기준 역시 만들기 힘들다.

세상은 그런 의미에서 푸주이고, 다들 푸주한들이다.

 

누구나 인생에는 한 방이 있대요.

웃기는 소리다.

인생은 멀리서부터 복잡하게 꼬여온다.

그러므로 그것은 한 방에 풀리지 않는다.(197)

 

그렇다.

인생은 한 방에 꼬이지도 한 방에 풀리지도 않는다.

복잡하게 꼬인 인생을

재미있게 풀어보려는 시도가 소설이다.

그리 본다면 몇 시간 래생과 함께 재미있게 즐길만 하다.

현실에서 나에게 닥칠 일이 아니라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최척전 : 어지러운 세상 인연의 배를 띄워 국어시간에 고전읽기 (나라말) 7
황혜진 지음, 박명숙 그림 / 나라말 / 201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작이 남원부터다.

임진왜란 최대의 피해처는 진주와 남원이었다.

남원의 학살 이후 각자 도생, 민중은 뿔뿔이 흩어지고...

 

최척과 옥영은 만나고 헤어지면서

스토리가 전개된다.

우연한 만남의 배경은

중국에서 안남까지 이어진다.

 

글로벌 시대는 이때부터 전개된 듯,

아이들 몽석, 몽선의 인연까지

슬프면서도 애절한 이별과 재회의 이야기다.

 

어지러운 세상이라 해도

다사로운 정을 나누는 사람도 있는 법이다.

 

아무튼

전쟁의 가장 큰 피해자는 힘없는 백성임을

여실히 보여주는 고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산시로 현암사 나쓰메 소세키 소설 전집 7
나쓰메 소세키 지음, 송태욱 옮김 / 현암사 / 201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산시로라는 이름은 '따로(첫째)'나 '지로(둘째)'에 비하면 평범한 이름이다.

셋째나 넷째를 지칭하는 '아무개'처럼 들린다.

중국 성어중에 '장삼이사'가 아무개인데 중국에 흔한 성 장씨네 셋째나 이씨네 넷째처럼 그저 그런 이름이다.

 

주인공 산시로는 후쿠오카 촌놈으로 도쿄로 간다.

기찻간에서 만난 여인에게서 얻은 <당신은 참 배짱이 없는 분이로군요>라는 말은

촌놈의 경험없음을 단적으로 지적한 말이다.

 

대학에 간 산시로는 요지로라는 독특한 인물을 만난다.

대학의 강의를 재미있게 듣고 있는데, 요지로는 '멀리 구름 걸린 하늘의 두견새'라는

뜻모를 하이쿠를 선생의 그림 옆에 적어 두었다.

 

이 하이쿠는 이 소설에서 상당히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ひさかたの くもいの そらの  ほととぎす

소세키와 도쿄대를 같이 다니고, 후에 <호토토기스>라는 문집을 같이 낸

<시키>를 한자로 쓰면 <子規>가 되는 것이다.

자규 子規는 친구 '시키 子規'이면서 '호토토기스(소쩍새,子規)'의 호명이다.

 

'우미인초'를 읽다 보니

<꾸모이 くもい>가 담배의 일종이라는 해설이 나온다.

그렇다면, 저 하이쿠는

머얼리 담배연기 하늘에 시키 생각이...

이럴 수도 있으리란 상상을 한다.

 

子規と漱石の往復書簡集

 

 

 

결국 이 소설집의 표지에 바친 저 하이쿠는

친구 시키에게 바치는 노래라는 헌사다.

 

도시의 여자 미네코가 계속 <구름> 이야기를 하는 것도 이 하이쿠와 연결된다.

스트레이 십이라는 길 잃은 양 이야기는 시키에 대한 그리움을 반추하는 화자의 마음이기도 하다.

 

나른한 우울감과

숨길 수 없는 쾌활함의 통일(82)

 

소세키의 대학 생활은 그러했을 것이다.

그런데 나는 이 소설을 읽으면서 '늙은 교수의 강의'나 들으러 가야 했던

윤동주의 시선을 느꼈다.

'무덤'이나 '무성한' 이라는 단어를 만나면,

윤동주가 읽었을 소세키는 얼마나 슬픈 것이었을지를 느끼게 된다.

 

그들에게는 희망찬 시절이었을 20세기 초,

문명세계의 불안감이라고는 전차에 치어 토막사체가 된 여인의 모습 정도.

윤동주 같이 조국 잃은 청년에게 이런 소설은 청춘 소설이라기보다는

우울한 소설이고, 스트레이 십의 슬픔을 반추시킨 소설이었을 게다.

 

전 아까부터 저 하얀 구름을 보고 있었어요.(117)

 

미네코의 구름은 밝고 투명하다.

성장 소설이자 청춘 소설의 빛깔이다.

 

소세키에게도 <머언 구름 너머 하늘의 소쩍새 소리>처럼

나른하고 아련한 것이 젊음의 추억이었을지 모른다.

 

그 소쩍새 소리는 절친 <시키>의 죽음을 떠올리게 하는 슬픔이 내재되어 있다.

 

소세키와 시키는 둘다 1867년 생으로 동갑이지만,

시키는 1901년 서른 다섯의 나이로 세상을 뜨고 만다.

도회지와 시골의 차이도 어린 나이의 친구들에게는 아무 것도 아닌 것.

 

1908년에 연재된 산시로에서

시키의 그림자에 대한 회상이 그득했던 것은

시키와의 추억에 대한 이야기를 남기고 싶었던 것이 아닌가 한다.

 

 

번역이 궁금한 곳 하나.

 

"오가와, 자넨 메이지 몇 년 생인가?"

"난 스물 셋이네."(97)

 

아마도... 메이지 23년 생이란 이야기 아니었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채봉감별곡 : 바람에 실려 온 사랑, 가을날 노래가 되어 국어시간에 고전읽기 (나라말) 5
조윤형 엮음, 김은정 그림 / 나라말 / 201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전 책의 제목은 <달빛 아래 맺은 약속 변치 않아라>인데

새 책의 제목은 <바람에 실려온 사랑, 가늘 날 노래가 되어>이다.

채봉이 부른 노래가 추풍감별곡임을 생각할 때 새 제목이 낫다.

 

고전 소설은 조선조때 읽던 소설인데,

방각본, 딱지본으로 일제 강점기에도 유통이 되었다.

일제 강점기에도 사람들의 머릿속은 봉건적이었을 터이니...

이런 봉건적인 책이 맞았을 것이다.

 

채봉은 장필성과 혼약을 맺지만,

아버지가 늙다리 허판서의 첩으로 주기로 하고 벼슬을 산다는 갈등에서부터...

아비를 구하려 기생이 되고, 다시 평양 감사의 비서가 되어 장서방을 만난다는 해피 엔딩.

 

채봉의 적극적인 행보는

오히려 신소설에 나오는 <무정>의 영채보다도 낫다.

 

조선의 양반 문화를 읽노라면,

요즘의 <내부자들>의 행태랑 똑같다.

한국 사회는 아직도 봉건적 구태를 벗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근대도 없이 현대의 질곡만 사는 현실에서는

이런 고전을 읽는 일도 새롭다.

새로이 읽을 줄 알아야한다.

 

김은정의 그림이 참 아름답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