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 IN 레드 문 클럽 Red Moon Club
기리노 나쓰오 지음, 권일영 옮김 / 살림 / 2013년 2월
평점 :
절판


한자는 표의문자여서 같은 '음'에 다양한 '의미'를 담고 있다.

'인'에는 '인연 因', '은밀 隱', '음란 淫', '그늘 陰'이 모두 일본어로 '인'이란다.

게다가 영어 <IN>은 그녀의 대표작 <OUT>의 반대편에 있는 자들이 아닌가.

인사이더를 원하는 존재들의 발버둥이 간절하다.

 

여자는 관계를 원하고 남자는 소유를 원한다.(18)

 

<무구한 사람>이라는 소설 속에는 사실 애증에 얽힌 불륜과 다툼으로 가득하다.

 

당신이 죽으면 나는 나설 수 없는 처지이니 장례식에도 갈 수 없네.(362)

 

우리가 서로 사랑한 것은 사실이니 그 흔적은 지울 수 없는 게 아닐까요?

심근경색이나 뇌경색이 일어나면 그리 심각한 정도가 아니었더라도

몸에 흔적이 남지 않습니까?

대체 연애의 흔적은 어디에 남는다는 거죠?(364)

 

당신이 쓴 무구비토가 연애의 흔적 그 자체겠죠.

우스꽝스러우리만치 허둥대는 우리 자체가 바로 연애의 모습인 거죠.

그리고 거기에서 더욱 커다란 고통이 탄생할 테고요.

무구비토는 바로 죽어가는 사람입니다.(374)

 

그때는 그렇게 생각했어란 연애의 본질이기도 하다고 다마키는 생각했다.

연애는 시간의 흐름을 견디지 못하고 은밀하게 변질되어 간다.

부패한다고 표현해도 괜찮을 것이다.

가스가 차서 한꺼번에 폭발한다.

폭발한 뒤에는 두 사람 다 제각각 내동댕이쳐져 주위를 둘러보면

눈앞에 낯설고 거친 들판이 펼쳐진다.(76)

 

은밀한 음행의 <인>

그렇지만 이 소설은 또 그녀의 소설론이기도 하다.

 

진실은 진실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진실이라고 생각하는 것을 소설에 쓰는 바로 그 시점에 그건 픽션이 됩니다.

그걸 알고 있는 작가는 진실이라고 생각하는 것을 매력적으로, 그리고 재미있게 만듭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진실로 착각할 픽션이 필요한 거죠.

그래서 작품은 모두 픽션입니다. (313)

  

소설이란 사람들의 무의식을 그러모아

이야기라는 시간 축과 리얼리티를 부여해

무의식을 다시 재편하는 것이라는 사실을 깨달았다. (274)

 

<아웃>이 살아있는 인물들의 행동이 빚어내는 생동하는 스토리였다면,

<인>은 좀 작위적인 챕터 구성과

소설론에 대한 목소리를 더하려 했던 것이 재미를 덜하게 한 소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