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닫힌 교문을 열며 - 전교조 27년, 그리고 그 후를 위하여
윤지형 지음,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기획 / 양철북 / 2016년 11월
평점 :
품절


올해로 28년이 된 전교조.

이명박 시절부터 박해를 당하고,

명단 공개 등으로 억압을 받다가,

박근혜 시절 드디어 법외노조의 길을 걷는다.

 

노조원이 해고되면, 싸워주는 것이 노조이거늘,

해고 노조원을 노조에 남긴다고 시비를 거는 것은 참 한심하다.

그렇게 법외노조가 되어 여럿 해직되고 싸우고 있다.

 

이제 5월 대선이 끝나면 어떻게든 다시 합법 노조의 지위를 되찾겠지만,

이 책에 담긴 그간의 역사를 읽노라니

슬프고 눈물나다가도,

억울하고 한숨짓게 되고,

분노와 함께 의지를 다지게 된다.

 

전교조 분회원 한명 한명이 다 훌륭한 것은 아니다.

그리고 모든 교사들이 수업 실력이 좋지도 않고

학생들과 사이가 좋지도 않다.

전교조 조합원이면서 정치성향이 모호한 사람도 많고,

직장에서 인정받지 못하는 왕따도 있을 수 있다.

 

문제는 노조 자체를 압살하려는 이 땅의 독재 세력이

오랜 세월 민주주의를 짓밟는 동안

시나브로 사람들 머릿속에서 진보의 이상이나,

아니 당연한 권리조차 겁먹고 움츠러들어 버린 것이다.

 

노조 가입률이 아주 저조하고(이건 독재자가 의도하는 바다.)

노조원도 정치성이 아주 약하다.

 

그나마 교육감들이 우리편이 많아서

혁신 학교 등의 숨통을 통해

그리고 자율적 교사 학습 기관 등을 운영하면서

희망적인 학교로 나아갈 맹아를 틔우고 있는 것이 희망이다.

 

절망의 교실에서 희망을 보아야 하는데,

세상은 아직도 어둡고 캄캄하다.

 

학교를 행정 중심에서 교육 중심으로,

통제 중심에서 소통 중심의 자치 공동체로

경쟁과 차별에서 발달과 협력의 교육과정으로

학생의 삶이 중심인 공동체로...(323)

 

민주 정부 시절,

NEIS 거부 투쟁 등을 통해 과도한 에너지를 낭비하면서

민주주의를 앞당기지 못했다.

 

이제 9시 등교 같은 것들이 서서히 정착되고 있으나

아직 우리학교는 8시 등교다.

 

소통을 통해 교육이 살아나는 세상을 보면 좋겠다.

이제 10여년 후면 나도 정년 퇴직이다.

 

닫힌 교문 밖으로 교사를 쫓아내던 1989년 여름의

그 눈물을 생각하면서

이제 다시 좋은 교실을 위해 애써야 할 때다.

 

심기일전하도록 만들어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