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때 소중했던 것들 (볕뉘 에디션)
이기주 지음 / 달 / 2018년 7월
평점 :
품절


이기주와 황현산을 번갈아가면서 읽는데,

확연하게 차이가 느껴진다.

이기주는 예쁜 말들에서 울컥하는 감정을 떠담으려 애쓰고 있지만,

내 마음의 시선은

세상이 마뜩잖고 불편하고 불쾌하고 내내 못마땅해 혀를 차는

부글거리는 분노에 휩싸인 황현산에 가까웠다.

 

황현산의 글에서는 지난 몇 년간의 우울과 분노가 오롯이 묻어났지만,

이기주의 글에서 눈에 띄는 '세월'이라는 단어조차

생각없음으로 보일 정도로

내 눈은 세상의 빛에 닳고 닳았던 모양이다.

 

당신의 눈물이 빠져나간 자리에

햇볕이 스며들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마음에 햇살이 어른거리지 않으면

우린 언제나 겨울이다.(작가의 말)

 

우리가 살아온 계절이 겨울이 아니면 뭐란 말인가.

요즘 '계엄령' 뉴스를 보면서 정말 두려웠다.

한국의 민주주의는 촛불로 계엄령을 겨우 막은 정도의 당랑거철에 지나지 않는 것인가...

세월호 수장 뉴스 역시 가슴을 치게 만든다.

그런 뉴스를 애써 외면하려는 듯한 기자 출신 작가의 깔끔한 사진조차 나는 낯설다.

 

대부분 사람은 기운으로 사는 게 아니라

기분으로 살아가는 것 같아요.(110)

 

어떤 약사의 말을 인용하는데, 역시 스트레스는 인체의 적이다.

지난 며칠간 나는 우울의 늪에서 허우적거렸다.

그야말로 기분이 최악이었고, 기운이 하나도 없었다.

누가 쿡 찌르면 금세 울어버리고 말 것 같은 기분이었다.

사표를 내버리고 싶었고, 지구를 떠나고 싶었다.

스트레스를 이기는 것은 시간이지만,

갈수록 삶과 맞닥뜨리는 스트레스가 송곳처럼 날카롭게 짓처들어오면

삶은 속절없다.

 

아무리 노력해도 안 되는 게 있다는 사실을 깨닫고

아무리 열심히 달려도 도달할 수 없는 세계가 있음을 뼈저리게 느낀다.

과연 나답게 산다는 것이 무엇인가.

어떻게 이 조직에서 나를 지켜내야 하는가.(24)

 

직장인이라면 이런 우울을 떨쳐버릴 수 없으리라.

조직에서는 내가 잘한다고 즐거울 수는 없다.

조직원들은 늘 게으르고 마음에 안 들기가 쉽다.

결국 조직을 떠나는 시점을 고민하는 수밖에 없다.

 

이기주의 낱말들이

조금 더 세상 속의 사람들의 아픔 속으로 다가서면 좋겠다.

어쩔 수 없는 황현산의 글들처럼...

 

 

155. 이 글에서 '대갚음'이라는 말을 들었다. '되갚음'이라면 모르되, '대갚음'이라니...

그런데 찾아보니 '되갚음'이란 말은 없고, '대(對-)갚음'이 표준어라 한다.

마음이 조금 상한다.

맛있는 '무우'를 거두절미 '무'로 표준어 처리한 것처럼 서운하다.

 

85쪽. 천품의 한자가 틀렸다. 물건 품이 아니라 '稟' 여쭐 품, 자를 처야 한다. 기안 올릴 때 '품의'한다고 쓸 때는 여쭈어 본다는 뜻이고, 천품에서는 '내려받다'는 뜻이다. 하늘이 내린... 자질이라는 말이다. 편집자들이 젊어지는 것은 이런 한자에 무지한 것을 보면 아쉬운 점이다. 한문이 담고 있는 상형문자의 함축성에 맹하게 노출된 한글 세대도 한문 공부 좀 해야한다. 편집자라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