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내가 있는 이곳은 한때 가장 떠나고 싶었던 곳이다. 아이러니하게 인생은 나를 이곳으로 돌아오게 만들었다. ‘정착’이라는 단어를 쓸 정도는 아니지만 말이다. 지방의 소읍에서 시간의 속도는 아주 느리다. 지방 국도의 규정 속도로 살고 있다고 말해도 좋을 정도다. 모두가 그런 건 아니고 내 삶의 속도는 적어도 그렇다. 돌아왔다고는 하나 익숙한 곳은 아니다. 여전히 나는 이곳에 대해 잘 모르고 맛 집이나 관광지를 묻는 질문의 답을 찾지 못한다. 그것들에 상관없이 살아갈 뿐이다. 줌파 라히리의 『내가 있는 곳』을 자꾸만 ‘내가 사는 곳’이라 읽게 된다. ‘있는 곳’과 사는 ‘사는 곳’은 같은 것 같지만 전혀 다르다. 어쩌면 그건 줌파 라히리가 이방인이라 그런지도 모른다. 모국어가 아닌 이탈리아어로 글을 쓰는 일, 아니 그것으로 소설을 쓰는 일은 얼마나 많은 노력이 필요했을까.

 

소설을 읽으면서 잠시 머무는 곳 그 이상의 의미를 두고 쓴 것 같다는 생각도 들었다. 소설이라고 분류했지만 이 책은 소설보다는 일상의 관찰이며 기록이라 하고 싶다. 46개의 짧거나 긴 글에서 그녀의 주변에서 일어나는 일에 대해 차분하게 정리한 글로 보인다. 그렇다고 해서 무미건조하고 메마른 건 아니다. 소설의 화자인 ‘나’는 학생을 가르치는 교수이며 혼자 살고 있고 주변의 동료나 친구들과 사귐에 있어 수동적이다. 어쩔 수 없이 맺어진 관계, 혹은 그런 사이를 유지하는 일에 대해 힘들어한다. 일로 엮인 모임이나 만남에서 겉돌고 사랑했던 연인과의 현재 관계도 마찬가지다.

 

이따금 내가 사는 동네 길거리에서 함께 어떤 이야기, 어쩌면 인생을 같이 만들어나갈 수도 있었을 한 남자를 만난다. (「길에서」)

 

한때 사랑했던 남자를 언제 어디서든 만날 수 있는 곳에 그녀가 산다. 집 주변 보도, 다리, 서점, 길거리, 카페, 식당, 병원 대기실, 박물관, 산책길, 빌라…. 그곳에서 마주할 수 있는 일상은 지극히 보편적이다. 그러나 그녀의 시선에 비친 일상은 보편적이면서도 특별하다. 그 모든 곳이 그녀에겐 내면의 공간이며 심적인 공간이기 때문이다. 그곳에서 만나고 헤어지는 이들에 대한 감정도 비슷하다. 혼자라는 삶에서 묻어나는 외로움을 견디는 일상, 그리고 그 안에서 발견하는 거룩하고 존엄한 삶의 모습들.

 

노부인은 지금 공원에서 시끄럽게 소리치며 놀고 있는 아이들보다 더 활기가 넘쳐 보인다. 끈으로 연결된 두 사람이 이미지가 날 감동시킨다. 그들 사이의 헌신, 연결된 삶을 비로소 이해할 수 있다. 난 우리 안에 흐르는, 순환되어야 하는 규칙적으로 제거돼야 하는 물질을 생각한다. 숨겨진, 흉하지만, 중요한 작업들. (「빌라에서」)

 

나는 나이면서 그렇지 않아요. 떠나지만 늘 이곳에 남아 있어요. (「산책길에서」)

 

소설 곳곳에서 그녀는 떠나기를 원하면서도 주저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예민하고 복잡 미묘한 내면의 감정을 느낀다. 어떤 공간에서 느끼는 묘한 안도감, 혹은 두려움을 생각한다. 공간의 힘은 그런 것이다. 기억 저편의 자리에서 여전히 살아있는 공간, 사라졌지만 사라지지 않은 공간이 갖는 능력처럼 말이다. 줌파 라히리에게 이탈리아는 어떤 공간이며 어떤 의미일까. 어쩌면 그것은 우리가 살아가는 동안 마주하는 특정 장소, 공간과 다르지 않을지도 모른다. 줌파 라히리의 소설에서 마주하는 공간은 건축가 유현준이 『당신의 별자리는 무엇인가요』에서 들려주는 공간 이야기가 전해주는 감정과 닮았다. 유현준의 공간에는 기억과 추억이 있고 줌파 라히리의 소설 속 공간에는 그것들이 생성되고 자라고 있다. 어쩌면 그녀에게 필요한 건 유현준의 이런 문장은 아닐까.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공간은 가장 많은 삶을 빚는 공간이다. 그곳이 좋아야 그 사람의 삶의 질도 좋아진다. (『당신의 별자리는 무엇인가요』)

 

모든 길은 다 통한다. 홍대에서 한남동으로 가야 한다고 치자. 가는 길은 수없이 많다. 강변북로를 타고 가도 되고, 삼각지와 이태원을 거쳐서 가도 되고, 남산 순환도로를 통해서 가도 된다. 신촌오거리를 통해서 가다가 길이 막히면 아현동 사거리에서 우회전해 공덕동을 통해서 돌아가도 된다. 길을 바꿔 가도 목적지는 같다. 다만 경치만 달라질 뿐이다. 인생도 마찬가지다. 계획했던 길이 막히면 다른 길로 가면 된다. 그리고 그것이 모여서 새로운 풍경이 되는 것이다. (『당신의 별자리는 무엇인가요』)

 

공간은 우리의 생이 완성되는 과정을 지켜보는 목격자이며 동반자다. 내가 있는 곳에 하루하루가 쌓인다. 언젠가 이곳을 떠난다 하더라도 삶의 흔적은 고스란히 남는다. 많은 시간이 지났어도 문득 그곳을 지나치거나 생각하면 지우고 싶은 감정과 인연들까지 떠오르는 걸 보면 말이다.

 

줌파 라히리의 소설을 빌려 내 삶의 현재인 이곳을 천천히 둘러본다. 어두운 새벽에 등불처럼 환했던 벚꽃나무 길, 자주 찾는 식당과 카페, 멀리서 사는 친구가 오면 항상 방문하는 바닷가, 수목원…. 누군가 나를 생각하면서 떠올릴 공간도. 처음에 뿌리내린 곳을 벗어날 수 없는 나무와 다르게 우리는 그곳에서 살다가 이곳으로 옮겨오고 다시 그곳으로 가기도 한다. 내가 있는 곳은 영원한 공간처럼 여겨지기도 하고 찰나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내가 있는 곳을 사랑하고 그곳에서 보는 삶의 풍경, 그리고 맺어지는 관계에 대해서도 다르지 않다. 삶은 그런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