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가신 엄마는 말이 많지 않으셨다. 그건 하고 싶은 말이 없었다는 게 아니라 말을 참고 사셨다는 거다. 그러니 내 기억에는 누구와 말싸움을 하지도 않으셨고 이웃 아주머니의 통박스러운 말투도 그냥 듣기만 하셨다. 말이 나왔으니 말인데 이웃 아주머니는 말이 참 많으셨고 말도 빠르셨다. 해서 좋은 소리도 때로는 무섭게 들리기도 했다. 이제는 곧 여든을 바라보고 있지만 현재도 아주머니는 걱정도 많이 하고 싫은 소리도 많이 하고 다정한 말도 많이 하신다. 김종관의 『놀러 가자고요』를 읽으면서 내 고향의 이야기를 듣는 것 같은 착각에 빠졌다.

 

 일손이 모자라 품앗이로는 절대 농사일을 할 수 없는 현실, 논과 밭을 모두 팔아 자식들 보태주고 노인네만 남은 모습, 누구 자식이 무슨 자동차를 몰고 왔더라, 누구 자신이 사업을 망했더라, 누가 아프다더라. 한데 모여 점심을 먹고 소리 없는 말들이 넘치는 마을회관까지. 어쩌면 내가 시골에서 나고 자라지 않았다면 김종관 소설 속 인물이 쏟아내는 걸쭉한 사투리로 이어나가는 대화를 알아듣지 못했을지도 모른다. 일주일에 한 번 예배를 드리면서 뵙는 어르신들의 바로 그들이었다. 여전히 농사를 지으시고 만나면 마늘 값을 걱정하고, 아직 끝내지 못한 모내기며 요양원에 계신 이들의 안부를 묻는 익숙하고 친근한 모습 말이다.

 

 때문에 ‘장기호랑이’란 아이디로 온라인에서 장기를 배우며 오프라인에서 마주한 할아버지와 장기를 두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장기호랑이」와 한 숨 쉬는 아홉 살 아이를 걱정해서 병원을 전전하며 어머니를 생각하는 「아홉 살배기의 한숨」을 제외한 7편의 단편은 범골이라는 동네를 배경으로 한 하나의 이야기나 다름없었다. 특히 범골 마을 역사책을 만들기 위해 자료 조사격인 「『범골사』해설」이나 범골 동네 인물을 하나하나 소개하는 「범골 달인 열전」을 읽다보면 누구라도 범골이라는 마을을 아는 것마냥 느껴질 정도다. 한 동네 사람만 알 수 있는 비밀 아닌 비밀을 들은 것처럼.

 

 여전히 농사를 짓는 오빠와 한때 1가구 1소를 키우던 시절의 기억 때문인지 구제역 때문에 외부와의 소통도 어렵던 때 곧 새끼를 낳을 어미소의 장기가 먼저 나와 죽을지 살지 모를 소를 지켜보는 「산후조리」는 더욱 애틋하게 다가온다. 쏟아진 장기도 걱정인데 새끼를 낳으니 어미소와 송아지를 챙기느라 어머니는 말 그대로 소 산후조리를 한 것이다. 나는 어린 시절 소를 키우던 외양간을 떠올렸다. 정성껏 소죽을 쑤고 새끼를 낳을라치면 전선을 이어 환하게 불을 밝히던 밤. 그때는 요즘처럼 심각한 구제역도 조류독감도 없었다.

 

 그런가 하면 노인회장의 아내와 통화로 시작하는「놀러 가자고요」는 고령화된 농촌의 실상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방송을 통해 공지했지만 참여율이 낮아 직접 전화를 걸 수밖에 없다. 노인회장을 대신해 마을 사람들과 일일이 상황을 전달하는 노인회장의 아내는 같이 놀러 가자고 말하면서 안부도 묻고 각 가정의 속 사정도 듣는다. 정작 전화를 한 노인회장의 아내는 몸이 아파서 놀러 가지 못하는 상황이다. 젊어서는 일하느라 바빠서, 늙어서는 몸이 따라주지 못해 놀 수가 없으니. 거기다 자식들이 온다고 하면 자식 기다려야 한다.

 

 그런데 가정을 꾸린 자식에게 부모는 뒷전이다. 남들 다 사서 효과를 보는 욕조기를 하나 샀으면 싶은데 선뜻 사주지 않는 아들 내외에게 속상한 어머니의 마음을 읽을 수 있는 「만병통치 욕조기」는 씁쓸하다. 필요할 때만 전화하고 찾아오는 자식과 다르게 다정하게 말을 걸고 살뜰하게 챙겨주니 노인들이 정을 주는 게 당연하다고 생각하면서도 그렇다. ‘어머니, 어머니’ 하면서 상술을 부리는 판매원이 밉기까지 할 정도다. 호기롭게 4백만 원을 할부 결제할 수 없는 아들 내외의 심정은 곧 우리의 그것과 같다. 무료로 체험할 수 있다는 광고로 노인들을 불러 모으고 결국엔 안마기나 온열기를 결제하게 만드는 이들이 이곳에도 많아 소설 속 이야기로만 여길 수 없다. 이제 이 모두가 김종광의 고향 이야기며 가족 이야기라는 걸 눈치챈다. 도시가 아닌 시골의 일상, 누군가에게는 너무도 낯설고 생경하고 누군가에게는 너무도 친근해서 소설 같지 않은 이야기. 한가하고 여유로운 농촌이 아닌 누구보다도 바쁘고 치열한 삶의 현장.

 

 유쾌한 김종관의 농촌소설을 읽노라니 떠오르는 이가 있다. 누군가는 이문구를 생각하겠지만 내게는 한창훈이다. 우리 동네 어르신들 대부분이 농사를 지으면서도 바다에서 바지락과 굴을 채취하기 때문이다. 바다를 상대로 싸우기도 하고 바다의 품에 안겨 살아가기도 하는 섬사람들의 이야기를 담은 『나는 여기가 좋다』. 드세고 투박한 사투리로 섬의 하루하루를 들려준다. 비릿하면서도 시원한 바람을 안겨주는 글들이 참 좋았다. 술 한 잔 걸치고 걸쭉하게 내뱉는 정겨운 육과 아무도 모르게 가슴 깊은 자리에 숨겨두었던 사연을 끌어올리는 힘에서 섬사람의 애정을 본다.

 

 많은 이들이 힘들고 지쳤을 때 마지막 보루인 농촌으로 돌아오듯 『나는 여기가 좋다』속 누군가도 그러했다. 스스로 생을 마감하려 오는 이도 있었지만 섬에 살고 있는 사람들에 섬은 가장 안전하고 가장 평온한 삶 그 자체였다.  재미있는 건 김종관은 「놀러 가자고요」를 통해 마을 사람들에게 놀러 가자고 독려하는 에피소드를 그렸고 한창훈은 삼도노인회 제주 여행기」를 통해 섬에서 섬으로 여행을 떠난 노인들의 이야기를 담았다. 어르신을 모시고 여행을 떠나는 건 어디나 쉽지 않은 법. 그들과 함께 오랜 시간을 보내고 살아온 작가라서 현실적으로 그려낼 수 있었다. 고향을 기록하는 김종광과 섬과 바다를 떠날 수 없는 한창훈, 그들이 소설을 통해 전하고 싶은 건 사람 사는 이야기, 삶이었다. 잊고 있던 감각이 되살아난다. 맨발로 흙을 밝았을 때, 너른 갯벌을 걷을 때 발가락 사이로 간지럼을 태우듯 파고드는 감각.

 

 누군가는 잠시 머물고 놀다가는 농촌이나 바다가 그곳을 지키며 살아가는 사람들에게는 소중한 삶의 터전이다. 그 터전의 본 모습을 기억하고 조금씩 달라지는 과정 하나하나, 그 모든 걸 소설로 쓰는 김종광과 한창훈이 새삼 고맙게 느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