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이웃의 식탁 오늘의 젊은 작가 19
구병모 지음 / 민음사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언젠가 결혼에 대해 생각할 때, 도저히 오래 견디기 힘들 거란 생각이 드는 것 중에 하나는 어쭙잖은 공동체 생활이었다. 내가 좋아서 하는 것을 제외하고, 친족 관계를 위해서나 가족 혹은 아이를 위해서 의무감을 우선으로 선택하고 견뎌야 하는 무수한 행동들이 상상되었다. 자의에 의해서가 아니라 울며 겨자 먹기로 무언가에 소속되어야 할지도 모른다는 부담감. 어떻게 참고 버틴다 해도 속에서 곪고 있을 스트레스.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라고 했던가. 수많은 사람들이 살아가는 공간 속에서 어떤 공동체에 소속된다는 건 어쩌면 필연적인 일이지만, 세상이 완벽하고 밝게만 돌아간다면 얼마나 좋을까.

 

 작가는 단편 <한 아이에게 온 마을이>에서 공동체에 대한 환멸을 표현한 바 있다. 사람과 사람 사이의 냉정하리만큼 차가운 무관심만큼이나, 친밀을 가장한 과한 관심 또한 굉장히 무서운 것이었다. 전작에 비해 더 넓어진 그의 장편 <네 이웃의 식탁> 또한 비슷한 의도로 쓰인 것처럼 보인다. 다른 점이 있다면 <한 아이에게 온 마을이>는 작은 마을인 시골 공동체를 배경으로 하고 있는 반면에, <네 이웃의 식탁>은 조금 특수한 경로로 모이게 된 가족들 사이에서 벌어지는 이야기다. 갈수록 떨어지는 출산율, 치솟는 집값의 대안으로 만들어진 ‘꿈미래실험공동주택’은 세 아이를 낳는 것을 조건으로 도시 외곽 산속에 지어진 열두 세대 규모의 아파트다. 서류와 면접, 추천으로 뽑힌 각기 다른 사람들이 모였고, 거의 허허벌판이나 다름없는 공간 속에서 그들은 새로운 공동체를 형성한다. 서로 돕고 의지하자는 처음의 의도는 그들의 거리가 차츰 가까워지면서 변질되기 시작한다. 공동육아, 동반 출근, 부부싸움의 공론화, 과도한 관심과 간섭, 가족과 가족 사이에 얇아도 너무 얇은 벽은 점점 공동체의 허울을 드러낸다.

 

 공동주택에 모인 사람들의 다양한 성향만큼이나 이에 대응하는 사람들의 모습 또한 제각기 다르게 비춰지는데, 여성을 주체로 쓰인 소설의 특성상 소설 속 여자들의 모습에 깊이 공감할 수밖에 없었다. 누구는 공동체로 인해 자신의 쓸모를 발견하고, 누구는 어떤 이는 한 가족을 챙기기도 벅차 애초부터 공동생활에 발을 뺄 준비를 하고 있다. 어떤 이는 공동체를 통해 힘을 얻으며 적극적으로 움직인다. 어떤 이는 이상한 점을 살피면서도 자신 때문에 일이 틀어질까 봐 전전긍긍하고 있다. 어떤 이는 이들은 현실에도 다 있는 사람들이라 누구 하나 '비정상'으로 생각되지 않는다. 각자의 상황에 맞게 스스로의 자리를 지키며 살아온 이들의 모습일 뿐이어서, 이쪽에 공감을 했다가 이쪽이 이해가 되었다가 결국엔 어쩔 수 없이 '살아가는' 사람이구나, 생각하게 된다.

 

이야기의 긴장감 또한 어마어마하지만, 구병모 작가의 숨도 쉴 수 없이 파고드는 집요한 문체는 소설을 더욱 스릴 넘치게 한다. 촘촘하고 날카로우며, 허점을 잡을 틈 없이 몰아치는 느낌이다. 주택 뒷마당에 을씨년스럽게 놓인 큼지막한 식탁의 이미지는 왠지 폭력적으로 느껴지기도 한다. 그 식탁에 앉아 웃음짓고 있는 가족들은 각자 어떤 생각을 하고 있을까. 출산율과 주거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실마리로 여겨졌던 정부의 '꿈미래실험공동주택'. 무엇도 준비되지 않고, 어떠한 기반도 다져지지 않은 땅 위에서 이 실험은 어쩌면 실패할 수밖에 없는 것이 아니었을까.

 

● 46쪽,
무엇보다도 며칠 밤을 도려내 가며 몰아친 작업으로 노그라진 몸과 마음 또한 진짜였다. 그림 작업을 하면서는 이 세상 어딘가에 젖병이나, 간 소고기랑 불린 쌀을 넣고 끓인 이유식이나, 그것을 숭고한 과업이라고 주입시키는 목소리들과, 플라스틱 폐기물이며 공공의 이익을 위한 회의 같은 것들이 존재하지 않는 어떤 장소가 있을 것만 같다는 생각이 들지만, 하나의 작업에 일단 마침표를 부실하게나마 찍고 나면, 세상 그 어떤 소음과 음식물 찌꺼기 위에 드러누워서도 잠들 수 있을 것만 같았다.

● 50쪽,
자기가 좀 도와줘요. 여보, 가다가 기름 채워 줘야 해? 그 자리에서 생뚱맞은 표정으로 좌중을 둘러보면 요진 혼자 비협조적이고 정 없는 이가 될 판이었고, 요진은 자신이 휩쓸리고 있음을 알면서도 어 그러죠 그래요 아니 천만에요 기름은 무슨, 엊저녁에 가득 채웠는걸요, 했다. 차라리 요진 자신이 먼저 합승을 제안했더라면 그리 꺼림한 기분까지는 들지 않았을지도……를 생각하자, 객관적으로 정말 별것 아닌 일인데도 요진은 자신이 고작 선의를 드러내고 보장받기 위한 선후 관계에 집착하는 예민함의 결정체가 된 듯한 느낌이었다.

● 82쪽,
아이를 낳아 봐야 진짜 어른이 돼. 그전에는 결혼하고 둘이 잘 살아 봤자 소꿉장난이고. 처음 요진은 그 말들이 저마다 스스로를 향한 격려인 줄 알았다. 출산과 함께 인생의 궤도가 틀어졌고 개성이나 욕망을 삶의 가장자리로 밀어 두는 데 익숙해졌지만 적어도 세상에 값진 생명을 내놓은 생산적인 인간이라는 성취감을 느끼고자 이를 악무는 위안의 제스처인 줄 알았다. 그러나 실상 그 말들은 자기 변호에 가까웠다. 어른이 된다는 것은 수치심을 모르는 인간, 모르지 않는다면 그것을 엉성한 뚜껑으로 덮어두거나 나일론사로 봉합하는 인간이 된다는 뜻이었다.



● 128쪽,
데면데면하다 그냥저냥. 정말 그런 걸까. 이 상황이 뭐 좋은 금붙이나 된다고 그렇게 묻고 지나가 버린 다음, 훗날 기회가 닿았을 때 다시 캐내어 더 큰 구멍을 만들고. 그러려고 사는 것 맞나, 부부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