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는 왜 여자의 말을 믿지 않는가 - 은밀하고 뿌리 깊은 의료계의 성 편견과 무지
마야 뒤센베리 지음, 김보은.이유림.윤정원 옮김 / 한문화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의사는 왜 여자의 말을 믿지 않는가>

요즘 페미니즘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면서 무엇이 성차별이고 무엇이 긍정적인 페미니즘일까? 궁금해하다가 이 책을 만나게 되었다.

책 소개 글엔 이런 문구가 나와있다.

"나쁜 의학과 게으른 과학이 여성을 무시하고 오진하고 병들게 한 진실에 대한 보고서"

난 사실 병원에서 성차별을 느껴본 적이 없어서 제목만 보고는 공감하지 못했다. 그런데 이 책은 작가 마야 뒤센베리가 단순히 자신의 생각만을 정리하여 만든 것이 아니다. 의사와 연구자 또는 사회 각층의 인터뷰, 미국 여성들의 다양한 사례, 각종 의학 논문과 수치로 나와있는 정보들을 모아 만든 책이다. 이 책을 읽으며 그다지 놀라지는 않았다. 평소에도 한국에서 여자로 살면서 굳이 병원이 아니더라고 다른 여러 장소에서 성차별을 느낀 적이 많기 때문에 '아 병원에서도 충분히 일어날 수 있는 일이었구나' 공감했을 뿐이다.

'의사는 왜 여자의 말을 믿지 않는가' 제목처럼 이 책은 의료계의 젠더 편향이 어떻게 여성을 차별하는지 세세하게 고발하고 있다. 한 가지 예를 들자면 미국의 자가면역질환 환자는 3/4이 여성 환자이고 또 그 비율은 해마다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런데 이 유행하는 질병에 대해서 남성 중심의 의료 사회가 모두 관심이 없다는 사실이 적혀있다. 여자와 남자의 의사 채용 비율이 겉으로 보기에는 비등해 보일지라도 수치로 나타내면 진료를 보는 여성 의사는 1/3이 채 되지 않는다는 사실도 적시하고 있다. 이는 큰 문제로 집결된다. 자가면역질환의 대부분의 환자는 여성인데 비해 여성을 이해하지 못하는 남성 의사들이 다수를 차지하다 보니 의료체계, 의료 정보들은 알게 모르게 남성 중심으로 돌게 되었고 여성들의 질병 확진을 늦추고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여성들이 피해를 보는 것이 만연하고 있다는 결정적인 증거는 임상실험에도 나와있다.

임상 연구와 진료에서는 남성과 여성을 구분하지 않고 천편일률적인 모델을 이용한다고 한다. 수십 년 동안 의학이 발달하는 과정 속에서 채택한 유일한 임상 실험 모델은 몸무게 70KG의 백인 남성이다. 가임기 여성은 임상 연구, 특히 신약 연구에서 아예 배제되어 여성들이 피해를 볼 수밖에 없는 상황인 것이다. 1990년 이후 현재 다양한 인종과 여성도 연구 대상에 넣자는 의견이 늘어나 점차 실험에 대한 다양성이 생기고 있는 추세긴 하지만 그동안 쌓아온 남성 중심의 추론은 여전히 여성 질병 진단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여성의 몸은 호르몬 체계에 따라 남성과 같은 약을 복용하더라도 방법에 달라져야 하는데 여전히 남성 임상실험으로 만들어진 약만을 똑같이 처방한다는 것이다.

책에서 다른 사례를 찾아 예를 들어주지 않아도 이미 이 사례 하나만으로 나는 의학계에서 성차별이 만연한 것이 현실이구나 알 수 있었다. 이뿐만 아니라 응급실에 실려온 복통 환자들이 치료를 받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남성은 평균 49분, 여성은 평균 65분이 걸린다는 것을 보고 놀랐다. 이는 여성의 고통을 히스테리적으로 바라보는 관점으로 고통을 진실로 인지하지 않고 무시하는 행위라고 생각했다. 물론 진짜로 히스테리적인 여성이나 단순한 건강 염려 증인 여성 환자들도 있을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모든 여성들이 마찬가지일 거란 건 너무 터무니없는 일반화가 아닌가 생각했다. 어쩌면 이 책은 나와 같은 여성들보다도 젠더 감수성이 부족한 의사들과 남성 의사들이 필히 보면 좋을 책인 것 같다. 의사가 여성 환자들을 성차별하기 시작하면 여성들은 여러 병원을 전전하며 자신의 진짜 병이 발견될 때까지 마음의 병까지 얻게 될 것이다. 의사들이 이러한 여성들을 수고를 덜어주길 진심으로 바란다.

-의사는 왜 여자의 말을 믿지 않는가 서평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