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의 산 -상 을유세계문학전집 1
토마스 만 지음, 홍성광 옮김 / 을유문화사 / 200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밑줄긋기)

 

 

"아! 사랑이란…… 육체, 사랑, 죽음, 이 셋은 원래 하나야. 육체는 병과 쾌락이고, 육체야말로 죽음을 낳기 때문이지. 그래, 사랑과 죽음, 이 둘은 다 육체적인 것으로, 거기에 이 둘의 공포와 위대한 마술이 있지! 그러나 죽음은 한편으로는 미심쩍고 후안무치하며 얼굴을 붉히게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아주 장엄하고 존엄한 힘으로 ㅡ 돈을 벌고 즐기며 희희낙락하는 삶보다 훨씬 더 고귀해 ㅡ 시간에 대해 이러쿵저러쿵 말하는 진보보다 훨씬 더 존경할 만하지. 왜냐하면 죽음은 역사적인 것이고 고상함이자 경건함이고 영원함이며 신성함이기 때문에, 우리가 모자를 벗고 발끝으로 조심조심 걸어야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육체도, 육체에 대한 사랑도 음란하고 난처한 성질을 띠고 있어. 육체는 스스로를 두려워하고 부끄러워하여 피부를 붉게 물들이기도 해. 하지만 또한 육체는 숭배할 만한 위대한 영화(英華)이고, 유기 생명의 기적과도 같은 형상이며 형태와 아름다움의 불가사의한 신성함이야. 그리고 이에 대한 사랑, 인체에 대한 사랑은, 이 역시 아주 인문적인 관심이며, 세상의 온갖 교육학보다 더욱 교육적인 힘이야! 아, 이 매혹적인 유기체의 아름다움은 화구(畵具)나 돌 같은 것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살아 있는 부패성 물질로 되어 있고, 생명과 부패라는 열을 내는 비밀로 가득 차 있어! 자 그럼, 인체 조직의 불가사의한 대칭 구조를 봐! 양 어깨와 허리, 양 가슴의 꽃 같은 젖꼭지, 그리고 양쪽에 두 개씩 나란히 달리는 갈비뼈, 부드러운 복부와 가운데의 배꼽, 다리 사이의 검은 보고(寶庫), 등의 매끄러운 피부 아래에서 견갑골이 움직이는 모양을 봐! 그리고 싱싱하고 풍만한 두 엉덩이를 향해 내려가는 등뼈의 모양, 몸 기둥에서 겨드랑이를 통해 사지로 뻗어 나가는 혈관과 신경의 굵은 가지, 두 팔이 두 다리의 구조에 대응하는 모양을 봐! 아, 팔꿈치와 무릎 관절 안쪽의 부드러운 부분, 그리고 그 살의 쿠션에 쌓인 부분의 유기체가 지닌 수많은 비밀! 인체의 이 감미로운 부분을 애무하는 것은 얼마나 커다란 희열일까! 아, 당장 죽어도 여한이 없을 환희! 아, 정교한 관절 주머니가 지방을 분비하고 있는 네 무릎의 피부 냄새를 맡게 해 줘! 너의 온 허벅지에서 고동치고, 훨씬 아래에서 두 개의 경부 동맥으로 갈라지는 대퇴부 동맥에 경건하게 내 입술을 닿게 해 줘! 너의 털구멍에서 나는 분비물을 냄새 맡고, 너의 부드러운 털을 애무하게 해 줘! 물과 단백질로 이루어져 무덤에서 분해될 운명을 지닌 인간의 형상이여, 너의 입술에 내 입술을 대고 영원히 죽게 해 줘!"(651∼652쪽)

 

 - 토마스 만, 『마의 산_상권』, 《제5장》, <발푸르기스의 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겨울호랑이 2017-09-02 00: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육체, 사랑, 죽음이 하나라는 구절이 인상적입니다. 삼위일체가 연상되기도 하네요. 그리고, 육체와 상대되는 정신의 짝은 무엇일까도 생각해보게 됩니다. 정신-냉정-영원이 상대가 되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oren 2017-09-02 13:57   좋아요 1 | URL
<육체, 사랑, 죽음이 하나>라고 말할 수 있다면, <정신, 이성, 삶이 하나>라고 말할 수도 있지 않을까요? 정신이 죽어 있으면 그 자체로 ‘삶‘이라고 부를 수조차 없을 테니까 말이죠.

겨울호랑이 2017-09-02 17: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 그렇네요. 죽음의 대칭은 삶이 더 잘 어울리는 것 같습니다.

oren 2017-09-02 23:57   좋아요 1 | URL
그냥 즉흥적으로 써 봤지만, 곰곰 따져보면 조금 이상한 느낌도 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