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리의 춤 비판세계문학 3
오까 루스미니 지음, 이연 옮김 / 비(도서출판b) / 201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 읽는 인도네시아 소설이다. 발리에 가기 전이었다면 이 소설을 읽지 않았을 게 분명하다. 인도네시아를 포함한 동남아시아 일대를 여러 번 여행했지만 그들의 문학작품을 애써 찾아서 읽는 일은 별로 없었다. 미안하고도 부당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서구편향적인 교육을 받은 폐해임에 틀림없다. 개인적인 게으름도 있을 테고.

 

1967년 발리 태생인 오까 루스미니라는 생소한 이름의 작가가 쓴 이 소설은 2003년 인도네시아 문교부 최고 작품상과 2012년 태국 동남아시아사 작가상을 수상한 작품이다.

 

인도네시아는 세계 최대의 이슬람 신자 수를 가진 나라이다. 그러나 발리는 독특하게도 힌두교 전통을 유지하고 있는 곳이다. 인도의 힌두교와는 약간 다르지만 여전히 신분제인 카스트가 삶을 지배하고 있다는 것을 이 소설을 통해서 확인하게 되었다. 여행자의 입장에서는 도저히 감이 오지 않는 그네들의 깊숙한 삶의 이면을 이 소설을 통해서 들여다볼 수 있었다. 발리를 여행했다면 이 정도는 읽어줘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내용은 책 뒷 표지에 실려있는 글을 옮긴다.

 

<발리의 춤>은 각자 다른 방식으로 행복을 추구하는 두 세대 발리 여성의 삶을 그리고 있다. 주인공 뜰라가의 어머니 루 스까르는 카스트의 가장 낮은 계급인 수드라 출신이었으나 사회적 신분을 상승시키고자 브라만 계층의 남성과 결혼하여 귀족의 신분을 얻는다. 그러나 그녀가 공들여 키운 딸, 뜰라가는 어머니와 반대로 수드라 계층의 남성인 와얀 사스미따와 사랑에 빠지게 된다. 브라만 계층의 여성과 수드라 계층의 남성과의 결혼을 금지하는 발리 전통과 그러한 결혼이 큰 불행을 가져오리라 믿는 집안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두 사람은 결혼을 감행한다. 뜰라가는 자신의 선택을 책임지려는 강한 의지로 삶의 변화에 자신을 적응시켜 나가려 노력한다. 그러던 와중 남편이 와얀이 병으로 죽게 된다........

 

이런 줄거리도 재밌지만 특히 내가 주목하게 된 부분은 뜰라가의 춤 선생님인 깜브렌의 등장 부분이다. 우붓에서 이틀 밤에 걸쳐 보았던 발리전통춤이 아직 생생하게 머릿속에 남아있기 때문이다. 우붓에서는 거의 매일 시내 이곳저곳에서 발리전통춤 공연이 상연된다. 춤은 매우 세련되어서 기교도 섬세하고 화려해서 볼거리로서는 최고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따지고보면 이 세련됨은 그들 전통 그대로의 모습이 아니라, 일찍부터 이곳의 매력에 홀린 서유럽 사람들이 그들의 입맛에 맞게 조리해놓은 작품에 불과하다. 춤 선생님인 깜브레는 그런 점에서 발리 여성의 자존심을 대변하는 것 같다.

 

" 내 말을 잘 새겨들어라. 발리 여성에게 있어 일이란 제사 예물을 만들고 기도하고 예식에서 춤을 추는 거란다. 그것이 바로 이 예술을 지탱해주는 거야. 옛날 사람들은 무엇이 개인의 활동이고 무엇이 예술 활동인지 굳이 구별 짓지 않았다. 그저 사원에 예식이 있으면 춤을 추었던 거야. 허나 지금은 더 이상 그렇지 않다. 난 이 춤의 은총을 계속 지키기 위해 태어났다. 그런데 소위 고등교육을 받았다고 하는 사람들이 내 춤의 은총을 망쳐 버렸어. 그들은 춤의 영감이 어디서 오는지 그리고 무엇이 춤을 만드는 사람을 힘들게 하는지 통 이해하지 못했다. 그저 어떻게 해서든지 우리를 외국인 앞의 무대에 세워 팔아먹을 생각만 했어. 그들은 이 귀한 전통 유산을 어떻게 지켜나가야 하는지 외국에서 배워오지 않은 모양이더구나. 문화는 무엇을 주고도 살 수 없는 것인데도 말이야."(98~99)

 

"너도 발리에 사는 다른 외국인들과 다를 바가 없어. 서양 사람들은 우리를 어리석은 사람들로 바라보지. 거짓말을 하고 속이기 적당한 사람으로 우리를 생각해.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우리들이 서양 사람들과 비교할 때 훨씬 더 대단한 문화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인정하고 있지."(105)

 

"난 그저 사람들이 내가 이 땅을 위해 한 일을 존중해주길 바란단다."(113)

 

그들의 전통공연을 보면서, 그들의 전통춤이 외국인들의 입맛에 맞게 변질되어버렸을 거라는 생각이 들었다. 타협은 삶의 연속성을 위해서는 어쩔 수 없다는 씁쓸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