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투의 스케치북
존 버거 글.그림, 김현우.진태원 옮김 / 열화당 / 201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은 아무때나 눈에 들어오지 않는다. 때에 따라 읽히는 책이 다르다. 잡지를 읽는 마음, 소설을 읽는 마음, 에세이를 읽는 마음, 원서를 읽는 마음이 다 다르다. 존 버거의 글을 읽으면서 '정확한' 구분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왜냐하면 이 책을 예전에도 읽으려다가 끝내 눈에 들어오지 않아 중도 포기하고 말았기 때문인데 이제 '맑은 정신'으로 찬찬히 읽어보니 읽히더라는 얘기다. 몸이 바쁠 때는 읽히지 않는 책이 따로 있다. 존 버거의 책은 그래서 정신이 맑을 때 읽어야 한다. 내 생각이다.

 

허나 맑은 정신으로 읽었다고해서 책 내용을 오래 기억하는 것은 아니다. 기껏 문장 몇 개와 분위기 정도? 존 버거에 따르면 그것보다 더 중요한 게 있다. 같은 책을 읽는 사람들 사이에 발생하는 '말하자면 그 이야기의 후예(자)'가 된다는 것. 존 버거가 도서관에서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을 빌리려고 했는데 소장중인 두 권 모두를 다른 사람이 대출해간 것을 알고는 질문 하나를 떠올린다.

 

  그 두 독자들 중 한 명과 내가 마주친다면-일요일에 열리는 장터에서, 지하철역에서 나오다, 횡단보도를 건너다, 빵을 사면서-우리는 서로 조금은 의아하다고 느낄 어떤 눈짓을 주고받지 않을까. 우리는, 의식하지 못한 채, 서로를 알아볼 수 있지 않을까.

  어떤 이야기에 감명을 받거나 울림을 얻으면, 그 이야기는 우리의 본질적인 일부가 되는, 혹은 될 수 있는 무언가를 낳고, 이 일부가, 그게 작은 것이든 광대한 것이든 상관없이, 말하자면 그 이야기의 후예 혹은 후계자가 된다.

(중략)

  복잡할 것도 갈등도 없는 가족관계 안에서, 우리를 만들어낸 그 이야기들이, 생물학적 조상과는 다른, 우리의 공통 조상이 된다. (90쪽)

 

같은 책을 읽고 얻는 같은 생각, 즉 '공감'을 이렇게 멋지게 얘기하다니....

 

슈퍼마켓, 우리로 치면 대형할인마트쯤 되는 곳에 대한 얘기도 재미있다.

  슈퍼마켓 여기저기에 육십여 명 정도의 직원이 있고, 비슷한 숫자의 감시 카메라가 있다.(중략) 가끔씩, 따라온 아이들을 제외하면 아무도 말이 없다. 우리 모두-손님과 직원 들-용의자이고, 우리의 움직임은 하나하나 관찰당한다. 모두 물건을 집어 들고, 수레를 밀고, 물건을 살피고, 코드를 입력하고, 조절하고, 야채 무게를 달고, 일정을 생각하고, 계산한다. 그 모든 과정이 이루어지는 거대한 창고는, 절도(竊盜)라는 개념에 사로잡혀 있다.(중략) 창고형 슈퍼마켓에서는, 우리 모두가 잠재적인 도둑놈으로 여겨진다. (109~110쪽)

 

절도라는 개념은 여기에서 그치지 않는다. 직원들의 초과근무, 허용되지 않는 병가, 무휴식, 무휴무는 '직원들의 권리에 대한 도둑질'이 된다. 땅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주도권을 빼앗는 것, 전 지구적인 식품유통업계와 연결된 것도 도둑질이다. 이 책에는 더 매혹적인 얘기도 많은데 나는 주로 이런 얘기에 흥분하는 경향이 있다.

 

중국의 대가 제백석(1864~1957)은 개구리를 즐겨 그렸는데, 마치 개구리가 수영 모자를 쓰기라도 한 것처럼 머리를 짙은 까만색으로 표시하곤 했다. 극동 지역에서 개구리는 자유의 상징이다. (129쪽)

 

제백석이라는 분이 궁금해서.

 

존 버거가 직접 그린 드로잉을 볼 수 있는 게 이 책인데, 그렇다면 존 버거에게 드로잉은 무엇인가.

  어쨌든 드로잉은 무언가를 지향하는 실천이며, 그렇게 때문에 자연에서 발생하는 다른 지향의 과정에 비유할 수 있다.

  드로잉을 할 때 나는, 하늘 길을 찾아가는 새나, 쫓기는 와중에 은신처를 찾아가는 산토끼, 혹은 알 낳을 곳을 알고 있는 물고기, 빛을 향해 자라는 나무, 자신들만의 방을 짓는 벌 들에게 조금 더 가까이 다가가는 느낌을 받는다. (155쪽)

 

산책, 내가 즐기는 산책이 말하자면 존 버거의 드로잉이 되는구나, 이렇게 이해했다.

 

그러면 '벤투'는 누구? 바로 스피노자를 가리킨다. 그래서 책 곳곳에서 스피노자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데, 사실 내가 그 인용문을 전부 이해했냐면 그건 아니고, 이해되지 않는 부분은 이해하려고 노력하지도 않았다. 다만 다음 부분은 읽고 또 읽었다. 마음이 산란할 때 위안이 되는 글이다. 너무 길어서 사진으로 찍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abina 2019-02-03 21: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인간역량을 압도하는 실재를 내게 맞출 순 없지만, 내게 실재 할 수 없는 것을 포기
할 수는 있다는 것.어떨런지...
혹자는 포기란 단어 자체를 부정의 개념으로 인식들 하지만, 삶에 있어 적정선의
포기는 평정심에 도움이 되더군요.(포기를 대체할 긍정단어 뭐 없을까요)
다만,그 적정선의 포기가 비관이 된다거나 마음에 상처로 남으면 평정이 아니겠지요.
저의 졸견입니다. 그래서 요모양으로 사나 돌아볼 일입니다.ㅎㅎ

nama 2019-02-04 14:46   좋아요 0 | URL
포기... 마음 비우기, 혹은 내려놓기 ... 쯤 될까요?
좀 더 적극적으로는 비운다는 자체, 내려놓는 다는 자체도 인식하지 않는 것.
생각할수록, 말을 할수록 배배 꼬이는 것 같다는 생각도 드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