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거릿 애트우드의 [시녀이야기]는 매우 흥미로운 소설이다. 1985년에 나왔으니 이미 32년이나 세월이 흘렀다.

이런 원작을 영화화하지 않으면 도대체 뭘 영화화할만 하겠나 싶을 정도로  강렬한 이야기, 풍부한 상상과 이미지, 색깔을 구사하고 있다.

 

우리에게는 그저 복지수준 높고, 평화롭고, 시민들이 대체로 안정적인 삶을 사는 선진국으로 알고 있는 캐나다가 미국이라는 거대국가와 인접한 국가로서 열등감과 살아남기라는 주제에 천착할만큼 국가 정체성을 고민하기도 했다는 거에 새삼 놀랐다. 

애트우드는 빅토리아기 문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고, 19세기 판타지작가 연구로 박사학위에 도전했지만 끝마치지 못했다고 한다. 60년대 하버드대학은 Lam ont 도서관에 여성을 금지시켰다. 현대시가 소장되어 있던 이 도서관의 자료를 충분히 활용하지 못했던 모양이다. 하버드대학 시절이 애트우드에게는 여성과 캐나다라는 국가에 대해 생각해볼 계기를 마련해준듯하다.

 

빅토리아기 문학과 판타지작가 연구. 애트우드가 천착하는 주제가 소설에 고스란히 반영되어 있는 듯하다.

[눈먼 암살자]와 [시녀이야기]가 그녀의 작품으로 읽어본 전부인데 비슷한 느낌을 받게 된다.

구조라든지 특히 페미니즘적 관점에서 해석해볼 여지가 많은 작품을 쓰는 작가인데, 짧고 파편화된 지식만 가지고 있는 내가 이 주제에 대해 뭐라 말하기는 어렵겠다. 

 

[시녀이야기]의 에필로그에 해당하는 "시녀이야기의 역사적 주해"를 왜 붙여야 했는지 잘 모르겠다. 

'역사적 주해'는 세월이 흘러 2195년이라는 시점에 [시녀이야기]라는 텍스트에 대한 연구보고회 형식을 빌려 이 이야기가 어떻게 생산된 것인지, 이야기에서 충분히 밝혀지지 못한 점들을 조사연구한 결과를 말함으로써 독자에게 풀리지 않은 몇가지를 추론해볼한 키를 제공해주기도 한다.

'시녀이야기'는 화자인 길리어드라는 국가에서 '시녀' 신분이었던 '나', 이름은 소유격으로 붙여진 '오브프레드(프레드의 것)'가 구술한(테이프에 녹음된 것이니까) 이야기이다.

길리어드에서 '시녀'는 임신가능한 여성으로 재혼과 혼외정사 관계를 맺고 있었던 여성들로 수급했다. 

'시녀'들은 고위관료계급 중 아이가 없는 집을 임지로 지정해 파견된다.

대재앙 후 권력을 탈취한 극단적인 근본주의 기독교정파의 전체국가 길리어드는 철저히 계급과 신분으로 위계화한 통제시스템으로 굴러가는 국가다. 억압되고 숨기고 억제된 감시사회지만 한편으로는 은밀하게라도 유통되지 않는 게 없고, 감추어지는 비밀도 없다.

 

처음부터 화자인 '나'는 이야기를 하고 싶어한다.

첫번째 '밤'에서 화자는 '이게 내가 꾸며내는 이야기라고 믿고 싶다'고 말한다. 그러나 '이건 내가 지어내는 이야기가 아니다'.

'청자'에게 이야기하는 것이다. '내'가 '당신'에게.

소설 마지막에 '나는 이야기한다. 고로 당신은 존재한다. 그래서 나는 이야기를 계속할 생각이다. 그래서 스스로 견뎌낼 작정이다.'(457~458)라고 털어놓는다. 

'나'는 이 소설에서 화자인 동시에 굉장히 수동적 위치에 놓여있을 뿐 아니라 실제로 수동적이기도 하다. 

모이라, 재닌, 세에라 조이, 오브글렌, 그리고 인물들 사이에서 이야기될 뿐인 페미니스트 활동가로서 엄마 등에 비하면 분명해진다. 저항조직 '메이데이'라든지 수없이 어딘가에서 '암약'하고 있을 탈주자들.

 

'나'의 저항, '내'가 이 완전하게 숨막힐 듯 통제된 채 임신가능한 '자원'으로만 존재해야 한다는 부여받은 역할에 도전하는 길은 '사랑'뿐이다.

닉에게 매달려 사랑을 갈망하는 '나'는 [눈먼암살자]에서도 나타났던 듯하다. 

사랑에 도전하면서 '나'는 주의하고 경계해야 할 것들에 게을러지며 해이해져간다. 

그렇게 다가온 파국. 

결국 내가 한 건 이 이야기를 남겼다는 것일 것이다. 나를 탈주시켜준 이들의 도움에 의해서 살아남아 이 이야기를 남긴 것이다. 

그런데 왜 이 이야기를 '역사적 주해'를 만나야 완성되게 작가는 했을까. 왜 이 이야기마저.

 

여성작가,여성화자가 하는 이야기. 그런데 [시녀이야기]는 '역사적 주해'에 따르면 [켄터베리 이야기]의 제프리 초오서를 기리기 위해 붙인 표제라고 한다. 굳이 왜?

오히려 무라시키 시키부의 [겐지이야기]처럼 여성작가의 여성화자의 이야기가 친연성이 있다면 친연성이 있었을텐데. ...하긴 캐나다지.

 

 

 

 

 

 

 

 

 

 

 

 

 

 

문득 생각이 나 [겐지이야기]를 찾아봤더니 oren님의 페이퍼에 이렇게 쓰여있다.

클리프턴 패디먼과 존 S. 메이저의 [평생독서계획]에서 인용한 글을 옮겨적어 놓은 것인데 ... 대단한 독서권유문장이다.

 

28. 무라시키 시키부, 976년경∼1015년, 겐지 이야기

독자가 『겐지 이야기』를 처음 집어 들면, 너무 두꺼운 책이라는 생각이 들 것이다. 그것을 극복하고 책을 읽어나가면 소설의 속도가 너무 느리고 너무 기이하여 인간의 세계가 아닌 느낌이 들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속 읽어나가기를 바란다. 마르셀 프루스트[105]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와 마찬가지로 일단 다 읽고 나면 평생 되풀이하여 읽게 될 책임을 알게 된다. 어느 지점에 이르면 기이함은 경이로움으로 바뀌게 된다. 무라사키의 산문은 너무나 세련되고 심리적으로 예리하여 독자를 상상력의 세계로 풍덩 빠트린다. 이것은 위대한 예술적 성취가 아닐 수 없다.

 

http://blog.aladin.co.kr/oren/436985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