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연말에 예술론 강의에서 아서 단토의 <예술의 종말 이후>를 읽었고, 이번주부터는 <미를 욕보이다>를 읽는다. 강의자료를 만들다가 자연스레 앤디 워홀의 책들에도 눈길을 주게 된다. 더불어 단토의 책도 몇 권 더.


 













예술론 강의에서는 단토 입문격의 책으로 마지막 저작 <무엇이 예술인가>(2013)를 읽고, <예술의 종말 이후>(1997)를 다루었는데, <미를 욕보이다>(2003)는 그 사이에 발표된 책이다. 이어서 <앤디 워홀>(2009)을 읽을 수 있지만, 국내 번역서 <앤디 워홀 이야기>는 유감스럽게도 청소년 위인전으로 변조된 엉터리책이다. 단토의 <앤디 워홀>은 아직 번역되지 않은 것으로 쳐야 하기에, 워홀에 대해서는 다른 책들을 따로 봐야 한다. 














워홀 소개서들을 제외하고 살펴보니 그래필 노블로 나온 <앤디 워홀>이 있다. <앤디 워홀의 철학>과 <앤디 워홀 일기>는 앞서 나온 책들. 
















단토에 관한 책으로는 <아서 단토: 팝의 철학자>도 있는데(비교저 얇은 책이다), 그의 <앤디 워홀>과 짝이 될 만하다. 단토는 팝아트를 20세기의 가장 중요한 예술운동으로 평가하고 있기에(예술의 종말론이 바로 팝아트에서 이끌어내는 주장이다) '팝의 철학자'라는 별칭도 어색하진 않다. <미를 욕보이다>와 함께 읽어보려 한다. 















국내에 소개된 단토의 책 가운데 나머지는 주요 저작에 포함되는 <일상적인 것의 변용>과 <철학하는 예술> 등이다. <철학하는 예술> 등은 절판되었고 번역도 좋지 않아서 별로 의미가 없다. 대신 단토 사후에 나온 유작과 연구서들이 번역되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밑이자 주말이었던 어제 배송받은 책의 하나는(마지막 주문들 가운데 하나는 배송이 월요일로 넘겨졌다) 마사 누스바움의 <연약한 선>이다('Nussbaum'은 여러 표기가 경합했는데 '누스바움'으로 안착되는 듯하다). 1947년생인 저자의 첫 주저로 1986년에 초판이 나왔고 15년 뒤인 2001년에 개정판이 나왔다. 국내 소개된 20권쯤의 저서 가운데서도 가장 앞서는 책이면서 누스바움의 이력에서도 출발점에 해당하는 책(1971년부터 초고를 썼다고 한다. 대학원시절이었겠다). 개인적으로 두꺼운 원서를 일찌감치 구해둔 책이어서 번역서의 출간이 반가웠다. 
















누스바움의 책으로는 2021년에 나온 신작 <교만의 요새>도 최근 번역돼 나왔으니, 대략 시작과 끝에 해당한다고, 적자마자 확인해보니 1월에 <동물을 위한 정의>가 예고돼 있다. 75세라는 나이를 고려하면 아주 정력적이다. 


내가 처음 만난 누스바움은 <시적 정의>의 저자이면서, 애국심론과 역량론의 저자였다. 고전학자 누스바움에 대한 궁금증 때문에 <연약한 선>에 관심을 두게 되었는데, 이후에 주로 동정, 연민, 혐오, 수치, 분노 등의 감정에 대한 책들이 국내에 주로 소개되었다. 40권에 가까운 전체 저작이 다 소개되진 않을테고 다 읽을 만한 여력도 갖고 있지 않지만 <연약한 선>에 대한 독서를 앞두고(2023년의 첫 관심저자가 내겐 누스바움과 앤디 워홀이다. 물론 강의와 직간접으로 연관돼 있는 저자들이다) 누스바움의 주요 저작을 연대기적으로 따라가본다. (위키피디아를 참고하면) 여섯 권이다. 


<연약한 선>(1986/2001)






 










<인간성 수업>(1997)

















<성과 사회 정의>(미번역)
















<혐오와 수치심>(2004)















<혐오에서 인류애로>(2010)
















<역량의 창조>(2011)
















대략 주제별로 안배돼 있는데, 나로선 <정치적 감정>(2013)도 주요 저작으로 꼽고 있다. 국내에는 <감정의 격동>과 <분노와 용서> 등도 번역돼 있다.  
















미국의 대표적 여성 인문학자(미국의 첫 여성 고전학자다)로서 누스바움의 경험과 학문적 이력은 표본적 의미를 갖는다. 비록 70년대까지만 해도 여성이라는 이유로 고전학계에서 차별적인 대우를 받기도 했지만, 현재는 세계적인 석학으로서의 평판을 누리고 있으며 이를 입증이라도 하듯 2018년에는 베르그루엔 철학상을 받기도 했다(2016년부터 시상된 상으로 '철학의 노벨상'이라고도 불린다. 상금이 100만달러이며, 지난해 수상자가 일본의 가라타니 고진이다. 참고로 첫 수상자는 캐나다의 찰스 테일러였고, 누스바움은 미국의 첫 수상자였다. 여성으로서는 2017년 영국의 오노라 오닐에 이은 두번째 수상자). 
















덧붙이자면, 누스바움이 고전학자에서 출발하여 인문학 전반과 사회적 정의의 문제로까지 관심을 확장해나가는 중요한 계기가 된 건 인도 출신 경제학자 아마티아 센과의 만남, 그리고 협력이었다. 센의 저작들도 같이 참고할 필요가 있다. 아래 사진은 1992년의 누스바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중국사에서 대표적 난세로 일컬어지는 위진시대(확장하면 위진남북조시대)의 문인그룹 ‘죽림칠현‘에 대해서는 고등학교 교과서에서 배운 이래로 더 관심을 두지 않았다. 하지만 이번 대선 결과에 낙망하여(패배의 가능성도 있었지만 패배는 상상할 수 없었다. 후쿠시마 원전사고가 그랬듯이) 떠올리게 되었고 책도 몇권 구했다. 안팎으로 난세인 시대 혹은 ‘절대 난세‘에 처하여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 자문을 구해보는 심사(더불어 민주주의에 대한 책도 몇 권 구입).

위진시대에 관한 책은 좀 되고(위진현학을 다룬 책들) 그 가운데 죽림칠현을 주제로 한 책도 몇권 있다. <야만의 시대, 지식인의 길>과 <죽림칠현, 빼어난 속물들>이 일단 손이 간 책들이고, 이중톈의 중국사에서 <위진풍도>는 찾아보는 중이다. <야만의 시대, 지식인의 길>의 저자 류창은 1970년생으로 젊은 세대에 속하는 학자. 중국CCTV의 ‘백가강단‘ 프로그램에서 죽림칠현을 주제로 강의했다니까 대표성을 인정해줄 수 있겠다.

근현대문학 강의가 많다 보니 중국 고대사를 읽을 기회가 드문데, 이런 식으로도 기회는 만들어지는구나 싶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4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울목 2022-03-18 23: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자치통감, 세설신어, 진서등에서 죽림칠현 부분을 보면 고위직을 맡지않았다면 좋았을 인물들이 그러지 않아서 국가와 국민을 파멸로 이끈 것을 볼 수있습니다.

물론 죽림 칠현 전부가 고위직인것은 아니었지만 그 풍조에 물든 고위직은 많았지요.

저는 완적의 작품을 좋아하며 예술문학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죽림칠현과 같은 사조를 당연히 선호하겠지만,그 시대의 민초들에게는 무능의 극치로 느껴졌을겁니다.

로쟈 2022-03-19 16: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래서 ‘빼어난 속물들‘이라 부르는 모양이네요. 죽림칠현은 100년쯤 후대에 붙여진 거라니까 당대보단 후대의 바람과 상상력이 반영된 듯도.

여울목 2022-03-19 17: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속물이라는 표현은 저자가 잘 붙인 명칭이라고 보기는 힘들 것 같네요.

중국 역사저자들중에는 다르게 보여야한다는 강박증이 있어서인지 파격적인 해석을 하는 경우들이 있는데 좀 별로라는 느낌입니다 .

로쟈 2022-03-19 23:44   좋아요 0 | URL
번역본 제목이 그렇고, 원제는 그냥 ‘죽림칠현‘이네요.
 
 전출처 : 로쟈 > 철학은 행복의 형이상학이다

2년 전에도 바디우에 대해 적었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로쟈 > 바디우와 레비나스

16년 전 페이퍼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