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 8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지난주에 최근 출간된 이광래 교수의 <해제주의와 그 이후>(열린책들, 2007)에 대한 촌평을 적은 바 있는데(http://blog.aladin.co.kr/mramor/1573384), 다소 부정적인 선입견에도 불구하고 한때 "프랑스 철학의 대변인 같았고 전도사와도 같았던" 저자의 근황과 식견이 궁금하여 책을 구입했다. 니체와 데리다 관련 대목만 약간 훑어보다가 한 문장이 목구멍에 걸렸다. '데리다의 해체실험들'을 다룬 장에 나오는 한 문단의 일부이다:  

"파리 고등사범학교 시절 심리학과 정신 질환 등 무의식에 대하여 관심을 가졌던 푸코와는 달리 데리다는 주로 의식철학, 그것도 후설과 하이데거의 현상학에 대하여 지대한 관심을 보였다. 그가 학위논문을 후설과 현상학적 미학에 관해 쓰려고 했던 것만 보아도 그러한 그의 관심사를 쉽게 알 수 있다. 사실상 최초로 그의 이름이 실려 출간된 책도 <후설의 기하학의 기원: 전통과 도입L'Origine de la geometrie. Tradition et introduction>(1962)이라는 번역서였다. 이 책은 후설의 본문보다 데리다의 서론이 다섯 배 정도나 많았으므로 번역서라기보다는 데리다의 후설 연구서로 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 결국 그는 이 책으로 '카바이예 철학상'까지 받게 되었다. 그러나 이때까지만 해도 후설이나 현상학에 관심을 가진 사람들 이외에 그를 주목하는 사람은 별로 없었다."(119쪽)

'데리다의 기원'이라고도 부름직한, 후설의 <기하학의 기원>에 대한 데리다의 번역과 해제는 내가 오래전에 영역본으로 읽어보려고 시도했던 책이고 또 모스크바에서 러시아어본도 '비싸게' 구입한지라 나름대로 '관심도서'라고 할 수 있다. 한데, 이 책에 대한 저자의 소개는 눈을 의심하게 한다. 책 전체에 걸쳐서 저자와 도서명에 원어가 병기돼 있는 건, 다소 번거롭고 독서를 방해한다 하더라도 출처를 명확하게 밝히겠다는 학술적 고려의 소산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단, 그것이 정확한 정보일 경우이다.

저자는 엉뚱하게도 'L'Origine de la Geometrie. Traduction et introduction'이란 원서명에서('Traduction et introduction à l'origine de la géométrie d'Edmund Husserl '이라고 표기되기도 한다) 'Traduction'(번역)이란 말을 'Tradition'(전통)이란 말로 오기했다(introduction은 왜 '도입'이 된 것인지?). 그리고는 '전통'이라고 옮겼다! 저자가 책을 읽지 않고(심지어 안 갖고 있을 듯하다) 2차문헌에만 기대어 적어놓은 것밖에 되지 않는다.  

데리다가 후설 사후에 출간된 비교적 짧은 텍스트를 처음 번역 소개하면서 우리식의 '해제'를 붙였는데, 그 분량이 상식을 좀 넘어선다. 언급된 대로 '다섯 배 정도'나 많기 때문이다(러시아어본을 기준으로 하면 데리다의 서론은 거의 200쪽 가까운 분량이고 후설의 텍스트는 36쪽 가량이다). 하지만 덕분에 데리다는 자신의 '실력'을 인정받고 우수한 인식론 저작에 주어지는 '장 카바이예상'까지 수상함으로써 전도유망한 철학자로서의 첫 발을 내딛게 된다. 어쨌든 이런 식의 내용이야 '전통과 도입'에만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면 그냥 접수하고 넘어갈 수 있다.

하지만 나의 독서경험상 이런 사소한 꼬투리들이 많은 걸 암시해주며 또 많은 의혹을 낳는다(그러니 '침식주의'라 부를 만하다). 해서 앞뒤로 몇 페이지를 둘러보는데 116쪽의 데리다 인용문에서는 음소(Phoneme)와 문자소(Grapheme)은 번역 없이, 'Phonene나 Graphene'이라고 오기했다. 오타라 하더라도 너무 눈에 띄는 오타이다. 112쪽에서는 데리다와 카트린 클레망의 인터뷰를 싣고 있는 잡지 <아르크(L'arc>)를 '아르크Arch'라고 오기했다.

Жак Деррида Диссеминация La Dissemination

조금 뒤로 가보니 168쪽의 미주에서 저자가 <파종>이라고 옮기고 있는(보통은 <산종>이라고 옮긴다) 데리다의 'La dissémination'(1972)이 'La deissémination'이라고 오기됐다(이 경우엔 탈자가 생긴 게 아니라 특이하게도 첨자가 생겼다). 지나가는 김에 말하자면, <산종>은 올해 러시아어본이 출간됐다(들뢰즈/가타리의 <안티오이디푸스>도 올해 러시아어본이 나왔다). 

거기에 본문에서 저자가 "편집증세가 심한 네오-프래그머티스트'로 폄하하고 있는 리처드 로티(Richard Rorty)는 'Richard Rotty'로 오기됐다. 찾아보기에서까지 'Richard Rotty'라고 표기된 걸로 보아 저자는 Rorty가 아니라 Rotty를 읽은 모양이다...

이런 식으로 따지자면 끝이 없겠다. 내가 다 읽어보지 않았기에 저자가 이런 실수들에도 불구하고 대단한 책을 썼을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다. 하지만 나의 '취향'은 이미 책을 진지하게 읽어야 하는지에 대한 회의를 불러일으킨다. 데리다에 대한 저자의 판단처럼.

"데리다는 왜 실없는 말을 하려는 것이었을까? 그의 농담은 진담에 대한 진저리이다. 그는 누구보다도 진담을 구토한다. 그는 늘 진담들을 해체하려 한다. 철학은 너무 오랫동안 '진담하기'에 주눅 들어왔기 때문이다. 그러면 그는 어떻게 그 주눅을 벗어던지려 했을까? 그는 철학의 진담들을 모두 단두대에 올려놓아야 한다고 외친다. 해체란 단두(斷頭)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고 그가 믿기 때문이다."(110-111쪽)

침식주의 또한 진담에 대한 진저리인 것이다...

07. 09. 21.


댓글(3)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열매 2007-09-21 17:41   좋아요 0 | URL
서양철학을 열심히 공부한 이들 중 일부는 서양의 전통에 대한 외상으로 인한 반작용으로 동양의--그리고 한민족 고유의--전통에 대한 집착으로 빠지곤 하는 모습을 봅니다. 영국으로 유학갔던, 서양의 전통과 학문에 대한 위압감으로 정신병까지 얻었던 것과 같은, 소세키의 고민이 그대로 백년후의 한국에서 반복되는 것같은 기시감이 듭니다. 일본어로 일본의 근대를 그대로 받아들였던 시대가 지나--중역의 시대였던-- 한국어로 학문을 해야하는 시대가 도래하고 나서야 시작되는 근자의 '번역론'에 대한 무성한--하지만 별무실한-- 논의처럼 말이죠.

이광래씨도 그런 고민을 꽤 했던 듯합니다.
그가 습합習合 운운하며 한국의 서양철학 수용사나 일본 학문에 대해 연구한 것 역시 잃어버린 전통에 대한 집착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자신의 서양 철학에 대한 공부를 이렇게 강박적으로 부인하는 것을 보니 더더욱.
이교수의 공부가 잃어버린(만들어진) 전통에 대한 집착이나 도취가 아니라, 동서양의 이분법을 떠나 보다 급진적으로 나아가길 바랍니다.
동서양의 이분법에 잘못 빠지면, 김두규씨처럼 전통풍수 운운하는 삼천포로 빠지지요.

강원대와 약간 관련된 지인의 말에 의하면, 이광래교수는 불어보다는 일어에 능하다고 하더군요.초창기 저작들도 일본어 저작들에 많이 의존했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아마 일본의 근대학문과 그 수용으로서의 한국의 근대 학문에 대한 연구가 나온다면 한국 학계의 많은 미스테리들이 풀리지않을까하는 의문을 항상 가지고 있습니다^^

로쟈 2007-09-21 17:47   좋아요 0 | URL
저로선 그런 집착이나 유혹에 별로 기대하지 않는 편이지만(가령 박동환 교수의 '3표 철학'을 '숭배'하는 후학들의 모습이 저로선 퇴행 이상으로 보이지 않습니다), 다른 걸 다 떠나서라도 학문적인 정확성/엄격성은 지켜져야 한다고 봅니다. 대충대충이 '동양적'이라고 강변할 수 있는 게 아니라면. 책의 266쪽에서는 찰스 샌더스 퍼스(Charles Sanders Peirce)를 '찰스 앤더슨 퍼스'라고 표기하고 'Charles Sander Peirce'라고 병기해놓았네요(탈자가 있습니다). 이런 책을 진지하게 읽기는 어려운 일입니다...

자꾸때리다 2007-09-21 21:38   좋아요 0 | URL
저도 공부는 많이 해보지 않았지만 열매님의 의견에 많이 동감이 되네요. 동양/한국 철학에 대한 너무 과한 강박증을 느끼는 사람들이 상당수 되는 듯해요. 서양 철학에 대한 무분별한 추종이나 또 그에 대한 반작용으로 생긴 동양철학에 대한 강박증에서 모두 자유로워질 수 있는 때가 왔으면 좋겠네요.
 

생각난 김에 '한 줄 오역'을 지적하려고 하니까 부지기수다. 어제 학교에서 들고 온 리처드 커니의 <현대 사상가들과의 대화>(한나래, 1998)의 첫 장도 예외는 아닌데, '스스로에게 이방인이 되어(Strangers to ourselves)'란 제목의 이 장은 크리스테바와의 대담이다(크리스테바는 같은 제목의 책을 썼다). 한 대목만을 따라가본다. 이 대목은 민족주의와 코스모폴리타니즘에 대한 것이고 전체 대담은 1991년 파리에서 이루어졌다. 참고로 이 책은 러시아어로도 번역돼 있다.

커니: 프랑스 국민으로서의 당신의 코스모폴리타니즘과, 당신의 출신지(*불가리아)에 대한 충성을 어떻게 결합시키겠는가? 민족적 또는 지역적 출신 기원을 어느 정도 인식하는 것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하지는 않는가? 당신은 민족주의가 병적 현상이라는 견해를 보였지만, 그건 단지 우리가 어떤 민족적 정체성을 위해 기본적인 인간적 요구를 부정할 경우에만 그렇게 되는 것 아니겠는가?

크리스테바: 내가 보기에 발틱, 시베리아, 슬로바키아, 크로아티아의 민족주의는 퇴행적이고 우울증적 태도다. 잠시 옆길로 새서 약간의 정신분석을 해보아도 좋다면, 이 분리주의적 민족주의자들은 오랫동안 자신의 정체성이 굴욕을 당해온 사람들이다. 소비에트 마르크스주의는 이런 정체성을 인식하지 않았고, 그래서 현재 조증의 형태를 띤 반울증적 반작용이 있게 된 것이다. 이런 식으로 표현해도 좋다면 말이다.(29쪽)

일단 여기서 끝으면, 먼저 오역은 '세르비아(Serbian)'를 '시베리아'로 옮긴 것이다. '발틱(Baltic)'도 형평에 맞게 옮기자면 '발트국' 내지는 '발트 3국'이라고 해야겠다. 마지막 문장의 원문은 "Soviet Marxism did not recognize this identity, so they have now an anti-depressive reaction which takes manic forms, if I may put it like that."(9쪽)인데, 여기서 'recognize'는 내가 보기에 '인식하다'가 아니라 '인정하다'로 옮겨야 한다. 소비에트 블록 하에서 구 동구권 국가들의 민족적 정체성이 인정되지 않고 억압돼 왔으며 이것이 사회주의 몰락, 사회주의 블록 해체와 함께 거의 조증의 형태로 폭발했다는 얘기다. 이러한 현상의 문제점?

출신 기원과 의고적 민속 가치를 찬양하는 것은 폭력의 형식을 띨 수 있는데, 이는 사람들이 적을 원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더 이상 공산주의가 적이 아니므로 다른 것이 적이 된다. 다른 종족 집단, 다른 민족, 희생양 등등 말이다. 이 병적 상태는 오래 갈 수 있고 또 이런 낡은 원한을 품는 것은 그 나라들이 필요로 하는 경제적-문화적 발전을 막거나, 또는 분명히 불리하게 만들 수 있다. 이 병적 상태가 좀더 빨리 지나가도록 돕기 위해 사람들은 그 과정을 가속화시키려 노력할 수 있고, 정체 상태에 빠지는 것을 피하려 애쓸 수 있다. 그리고 그 차원에서 한편으론 교회가, 한편으론 지식인이 할 수 있는 일이 엄청나게 많이 있다.

내가 보기에 '동유럽' 가톨릭 교회는 공산주의 반대 저항운동에서 주된 역할을 했다. 오늘날 민족주의를 초월하는 일에서, 그리고 사람들에게 이상 - 순전히 종족의 것이거나 낡은 민족적 이상이 아닌 - 을 부여하는 일에서 교회가 맡은 바 역할이 크다. 최근에 작성된 교황의 회칙을 보면, 교회가 전체주의에 대항하면서 또한 일종의 '아메리카니즘'에도 대항하는 도덕적 투쟁에 지대한 관심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나도 기독교 교회가 저 민족주의들 - 지나치게 신속히 없애 버려서는 안되겠으나 초월하고자 노력해야만 하는 -을 위한 치료책으로 이러한 코스모폴리탄, 보편주의의 이념을 제시한 데 깊은 감명을 받았다.(29-30쪽)

대담 번역에서 하이픈(-)을 집어넣는 것은 '현명한' 처사는 아닌 듯싶다. 여하튼 당연해보이는 것은 스스로를 언제나 '이방인'으로 간주하는 크리스테바가 민족주의를 경계하고 보편주의로서의 코스모폴리타니즘을 옹호하는 것이다. 그리고 인상적인 것은 그러한 보편주의의 이념을 제시하는 데 기독교, 특히 동유럽 가톨릭을 높이 평가하고 있는 대목: "교회가 전체주의에 대항하면서 또한 일종의 '아메리카니즘'에도 대항하는 도덕적 투쟁에 지대한 관심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나도 기독교 교회가 저 민족주의들을 위한 치료책으로 이러한 코스모폴리탄, 보편주의의 이념을 제시한 데 깊은 감명을 받았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기독교의 보편주의(=바울주의)에 대해서는 바디우나 지젝 등이 최근에 강조하고 있는 것이기도 하다. 그와 관련된 부분만 조금 더 읽어본다.

커니: 당신은 종교가 특정 종파나 분파를 넘어서 어떤 공통의 보편적 비전을 투사함으로써 어떤 긍정적 역할을 할수 있으리라고 시사하는 것인가?

크리스테바: 배타적 종교들에는, 당신이 그들의 전제들을 공유하지 않는다면 당신을 이방인으로 만들 그런 어떤 동질성이 있다. 말하자면 우리의 유일신 종교들은 타자 개념을 발전시키려 노력해 왔던 것이며, 바로 이것이 우리가 풍부하게 하고 발전시켜야 하는 서구 사상의 유산이다. 계몽주의자들은 그것을 추론해내려고 애썼고, 오늘날 우리는 그것을 다시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기독교적 사랑'이라는 카리타스(caritas)의 이념은 오늘날 기독교 교회에 어떤 힘을 준다. 이를테면 '가톨린 구호단' 또는 프랑스의 기독교인들이 외국인들을 위해 조직하는 여타의 행동 양식들을 보면 이것이 발전한다는 걸 알 수 있다. 이주 노동자들과 그 가족들에게 읽기를 가르치고, 물질적 도움을 제공하는 등의 그런 일들 말이다. 나는 종교 문화의 이런 측면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것이 대중적 지지를 누리고 또 협소한 민족주의의 위험에 대응할 수 있는 한에서는 말이다.(31-32쪽)  

 

크리스테바는 이러한 관점에서 개인에 주목하며 그 단독성(singularity)의 차원을 발전시켜야 한다고 주장한다(가라타니 고진도 같은 의견이지만, 오직 단독성의 차원만이 보편성을 보장한다). 그녀의 '사랑의 정신분석', 혹은 '사랑으로서의 정신분석'이 뜻하는 바가 그런 것인데, 거기서 정신분석은 기독교적 사랑(카리타스)과 만난다. 사실 크리스테바 자신이 프랑스 도미니크 수녀회에서 운영하는 학교를 다녔고 그러한 교육에 의해서 그녀의 삶 자체가 결정된 거나 다름없었다. 이러한 그녀의 독특성(singularity)이 보편적 이론의 차원에 어떻게 스며들고 있는가를 확인해볼 수 있어서 흥미롭다...

07. 09. 05-0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땅한 제목이 없어서 그냥 '헌팅턴과 미국의 정체성 위기'라고 붙였다(이때의 정체성은 당연히 '국가 정체성'을 말한다). 실상은 <새뮤얼 헌팅턴의 미국>(김영사, 2004)의 한 문단 읽기이고, 재미있는 한 오역에 대한 지적이다. 마침 9.11과 관련된 내용이라 '시의성'은 있는 듯해서 적어둔다.

 

헌팅턴의 책은 '우리는 누구인가(Who Are We?)'란 원제와 (직역하면) '미국의 국가정체성에 대한 도전들(The Challenges to America's National Identity)'이란 부제(국역본에는 '미국의 정체성 위기'라고 돼 있다)에 충실한 내용으로 짜여져 있다. 그의 지적대로, 이 정체성 위기가 세계적인 차원의 것이라면 비단 미국의 국가정체성에 별로 관심이 없는 독자라 하더라도 참조할 만하다. 내가 읽을 대목은 '국가정체성의 위기'란 1장의 한 문단인데, 이렇게 시작한다.

"세상에 영원한 사회는 없다. 루소는 이렇게 얘기했다. "스파르타와 로마가 명망했는데, 어떤 나라가 영원히 계속될 수 있겠는가?" 가장 성공한 사회들조차도 언젠가는 내부 분열과 해체의 위협에, 그리고 더 격렬하고 무자비한 외부의 야만적 힘에 노출된다. 결국에는 미국도 스파르타와 로마, 그밖의 인간 공동체들과 같은 운명에 처할 것이다."(28쪽)

여기까지는 흔히 말하는 '제국의 종말'론을 따른다(더 나가면 '문명의 붕괴'가 되겠다). 헌팅턴의 입장은 그래도 그러한 '자연적인' 종말을 좀 지연시켜보자는 것일까?

역사적으로 미국의 정체성 실체는 인종, 민족, 언어와 종교로 대변되는 문화, 그리고 이념이 규정했다. 그중에서 인종과 민족에 의한 미국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그리고 문화에 의한 미국은 위협을 받고 있다. 소련의 경험이 잘 보여주듯이, 이념은 공동체의 인종, 민족, 문화의 원천이 부족한 사람들을 하나로 묶는 힘이 부족하다. 그래서, 로버트 캐플런이 주장했듯이, 일부에서는 "다른 어떤 나라보다 미국은 처음부터 죽기 위해 태어났는지도 모른다"고 이야기한다."

여기서 헌틴턴이 국가정체성의 구성소로 카운트하고 있는 것은 (1)인종(race), (2)민족(ethnicity), (3)문화(culture), (4)이념(ideology), 네 가지이다(문화의 가장 중요한 구성소는 언어와 종교이다). 이 중 미국의 경우에 인종, 민족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으며(다인종, 다민족 국가인 만큼 인종과 민족은 더이상 미국의 국가정체성의 변수가 될 수 없다는 것이겠다), '미국식' 문화라는 것도 쇠잔해간다는 것. 그렇다면 남는 건 이념, 곧 이데올로기뿐인데. 이건 소련의 경우에서 알 수 있듯이 '확실한' 구성소가 못된다. 결론적으로 미국의 국가정체성이라는 게 아주 취약하다는 얘기이다. 인용문의 '로버트 캐플런'은 최근에도 <제국의 최전선>(갈라파고스, 2007)이 우리에게 소개된 '로버트 카플란'을 가리킨다.   

"그러나 일부 사회는 자신들의 존재를 위협하는 심각한 도전에 직면할 때 국가정체성, 국가의 목표, 그리고 공동의 문화 가치를 갱신해 붕괴와 해체를 연기시키고 중단시킬 수 있다. 미국인들은 9.11사태 후에 그렇게 했다. 그리고 다가올 3001년에도 그들이 마찬가지로 직면한 도전은 공격을 받지 않아도 국가와 공동의 정체성을 계속 갱신할 수 있느냐에 따라 달라진다."(28쪽)

이 대목은 오역이 포함돼 있으므로 원문을 같이 인용한다(예전과 달리 영문 인용이 깨져보이는 건 유감스럽다). "Yet some societies, confronted with serious challenges to their existence, are also able to postpone their demise and halt disintegration, by renewing their sense of national identity, their national purpose, and the cultural values they have in common. Americans did this after September 11. The challenge they face in the first years of the third millennium is whether they can continue to do this if they are not under attack."(12쪽)

'재미있는 오역'이라고 한 건 맨마지막 문장을 가리킨다. "그리고 다가올 3001년에도 그들이 마찬가지로 직면한 도전은 공격을 받지 않아도 국가와 공동의 정체성을 계속 갱신할 수 있느냐에 따라 달라진다."라고 옮겼는데, 뜸금없이 '3001년'이 왜 나오는가?(현실정치를 다루는 정치학자가 천년 후의 일을 왜 걱정하겠는가?) 역자가 좀 무신경하게 옮긴 경우인데, 'third millennium', 곧 '세번째 밀레니엄'은 3000년대가 아니라 2000년대이다. 그리고 'the first years'를 '3001년'이라고 해놓았는데 전문번역가의 솜씨라고는 믿기지 않는다(하청을 주었다면 몰라도).

다시 옮기면, "2000년대 초반에 그들이 당면한 도전은 외부의 공격을 받지 않더라도 그들이 그러한 일을 계속해나갈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국가라는 건 쇠퇴해가기 마련이지만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그러한 과정을 연기하거나 중단시킬 수 있다는 게 헌팅턴의 생각이다. 그리고 9.11이라는 국가적 도전에 직면해서 미국사회는 일시적으로나마 '단합'함으로써 확고한 국가정체성("우리는 미국인이다!")을 확인시켜주었다고 평가한다. 문제는 그러한 '단합'을 어떻게 상시화하느냐이다. 즉, 외부로부터 공격받거나, 9.11과 같은 비상시국이 아니더라도 어떻게 미국의 전통적인 가치와 국가정체성을 확고하게 유지해나갈 것이냐 하는 것. 그러한 문제의식(위기진단)과 나름의 해법제시가 책의 골자이다.  

물론 그 이면은 국가적 단합을 '상시화'하기 위해서 차선의 방책으로 계속적인 외부의 공격과 위협을 만들어낼 수도 있다는 것이다. 내부적으로 어찌해보겠다는 거야 누가 말리겠는가...

07. 09. 05.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瑚璉 2007-09-05 22:02   좋아요 0 | URL
"third millennium" 말씀이지요?

로쟈 2007-09-05 22:28   좋아요 0 | URL
맞습니다. 귀가하는 사이에 '퀴즈'가 돼 버렸나요?^^
 

필요 때문에 에른스트 벨러의 <아이러니와 모더니티 담론>(동문선, 2005)을 급하게 펴들었는데, 예전에 도서관에서 대출했을 때도 느꼈던 것이지만 역자들 또한 책을 너무 급하게 옮긴 듯하다(급하게 번역한 책이라 책값은 더 비싼 걸까?). 읽어나가면서 께름칙한 대목들이 눈에 자꾸 들어온다. 시간이 없는 탓에 '한줄'만 지적해둔다.  

 

 

 

 

'현대사상에서의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을 다룬 1장의 한 대목인데, 참고로 벨러의 저작에 관심있는 독자라면 <데리다-니체, 니체-데리다>(책세상, 2003)가 더 안전하겠고, 니체와 포스트모더니즘에 관해서라면 데이브 로빈슨의 <니체와 포스트모더니즘>(이제이북스, 2002)이 더 자세하겠다. 읽어볼 한줄은 바로 그 '니체와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것이다.

"역사적으로 볼 때 포스트모더니즘은 니체의 목적론뿐 아니라 진리와 전체성을 동일시하는 헤겔주의 전반을 거부하는 니체의 시각과 연결되어 있다."(18쪽)

이 문장은 아무리 읽어봐야 이해가 되지 않는다. 일단 우리말 문장이 안되기 때문인데, 게다가 '니체의 목적론'이라니? 조금 요령있는 독자라면 얼토당토 않은 '니체의 목적론'에서 '목적론'이 헤겔주의와 관련된 것이라는 것 정도는 감지할 수 있을 것이다(그 경우에 '니체의' 다음에 쉼표가 와야 한다). 그러면 절반의 이해 정도는 가능하다. 하지만 제대로 이해하려먼 원문을 참조하는 수밖에 없다.

"Historically speaking, postmodernism is an alignment with Nietzsche's perspectivism and refusal of Hegelianism, of Hegel's equation of truth with totality, as well as of his entire teleology."(6쪽)

짐작대로 'his entire teleology'에서 역자는 'his'를 헤겔이 아닌 니체로 본 것인데, 나로선 상식밖이다. 그리고  'Nietzsche's perspectivism'을 '니체의 시각'이라고 옮긴 것도 예상밖이다(니체에 관해서라면 전혀 문외한이라는 얘기이다). '원근법주의' 혹은 '관점주의'라고 옮겨지는 용어이다.

다시 옮기면, "역사적으로 말해서, 포스트모더니즘은 니체의 관점주의와 연계되는 것이면서 헤겔주의에 대한, 헤겔식 목적론뿐만 아니라 진리=총체성이라는 헤겔식 등식화에 대한 그의 거부와 바로 연결되는 것이다."   

무성의해 보이는 번역서라고 해서 소득이 전혀 없는 건 아니다. (포스트)모더니즘 이론서로 분류될 수 있는 책이지만 '포스트모던 번역'에 대한 진단으로서도 읽히기 때문. 가령, "포스트모던한 스타일을 사용하는 작가들의 경우 그들이 다루는 주제의 모호함은 어떤 피상성, 아마추어 수준의 전문지식, '빈약한 철학', 한계 위반 등과 뒤섞여서 나타난다."(21-22쪽)는 지적은 '포스트모던한 스타일'을 '포스트모던한 번역'으로, 그리고 '작가들'을 '역자들'로 대체할 경우에 그대로 포스트모던 번역론이 된다.

그것이 억지는 아닌 것이 'poor philology(빈약한 문헌학)'를 이미 역자는 '빈약한 철학'으로 대체해놓았기 때문이다. 요즘 좀 다른 의미에서 '빈약한 철학'을 지적하는 말들이 많지만 실상은 'poor philology'(나라면 '빈약한 공부'라고 옮기고 싶다)부터가 문제되는 것 아닐까? 필롤로지의 기본은 차근차근 읽는 것이다(짜집기를 글쓰기와 혼동하는 포스트모던한 공부는 공부 이후에 하는 것이다)...

07. 06. 2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실 좀 지나간 일이 돼 버렸지만 서재 방문자수가 지난달말인가 20만명을 넘어섰다(그 사이에 7천명 넘게 방문한 것으로 돼 있다). 하지만 서재의 문을 일시적으로 닫고 '휴가'에 들어갔던 때인지라 따로 챙기질 못했다. 다행인지 우연인지 20만을 캡쳐해두긴 했는데, 날짜를 다시 확인해보니 6월 1일이다. 아래가 남은 기록이다(today는 왜 다운된 건지 모르겠다). 

183200000 

그 사이에 또 조촐하게 기념하려고 했던 즐찾 1111명도 훌쩍 지나쳐버렸다(지금은 1147명이다). 요즘은 시간적인 여유가 없어서 퍼오는 글이 많고 아주 '대중적인' 글들을 올리는 것도 아닌데 방문객이 이처럼 많아진 것은 반가운 일이기 이전에 다소 의아한 일이다(당신은 무슨 기대로 '로쟈의 서재' 아니 '로쟈의 저공비행'을 찾는가?). 하긴 대다수는 아무런 흔적도 남겨놓지 않기 때문에 나는 동료 알라디너보다는 외계의 염탐꾼들이 더 많이 다녀가는 것으로 짐작하고는 있다. 여하튼 그런 숫자에 현혹되어 매일같이 서재에 물붓기를 하는 것은 아니지만 모종의 책임감으로부터 자유롭지는 못하다. 나처럼 책임감이 좀 부족한 경우에도(나는 줄줄이 '가'를 받은 초등학교 성적표에서 책임감이 '나'였다). 

그래서 기획하게 된 것이 '로쟈의 한줄'이다(벌써 몇 차례 아이템은 잡아놓았는데, 한줄 정도야 수시로 주목해볼 수 있는 것이어서 작업량이 꽤나 늘어날까 미리부터 걱정되긴 한다). 취지는 그냥 카테고리가 말해주는 대로이다. 눈에 띄는 한줄에 대해서 자세하게 뜯어보거나 뒷조사를 해본다는 것. 가령 며칠 전에 옮겨놓은 인터뷰(http://blog.aladin.co.kr/mramor/1322403)에서 작가 황석영의 말.

세르게이 본다르추크의 <워털루>(1970)를 보라고. 그 사람이 워털루 싸움의 앞뒤 사흘로 나폴레옹의 정점과 몰락을 카메라로 어떻게 담아내나 보라고. 윌리엄 프레이커 감독의 <몬티 월쉬>(1970)를 또 봐. 그렇게 촬영감독이 중요한 거야.

 

 

 

  

 

여기서 오늘의 한줄은 "세르게이 본다르추크의 <워털루>(1970)를 보라고."이다. 본다르추크는 <전쟁과 평화>(1968)로 잘 알려진 러시아감독이다. 그리고 워털루는 러시아 진격에 실패한 나폴레옹이 절치부심 끝에 치른 마지막 전쟁이다(알다시피 그는 여기서도 패장이 됨으로써 역사의 뒤안길로 영원히 사라지게 된다): "1815년 6월, 엘바섬에서 돌아온 나폴레옹이 주도한 프랑스군과 웰링턴이 주도한 영국군, 프로이센 등을 포함한 연합군이 벨기에 남동부 워털루에서 대전한 전투를 말한다. 이 전투로 프랑스군은 패배하고, 나폴레옹은 세인트 헬레나 섬으로 유배되었다."(위키백과)

이탈리아와 러시아 합작으로 찍은 이 영화는 아마도 전작인 <전쟁과 평화>에 고무되어 제작된 게 아닌가 싶다(http://www.youtube.com/watch?v=IEYvfy8zKzk). <워털루>를 본 기억은 없지만 전투장면의 스틸사진상으로는 <전쟁과 평화>와 구별이 되지 않는다. 장쾌한 스펙터클을 뽐내지 않았을까 싶지만(가장 잘 만들어진 전쟁영화의 하나로도 꼽힌다) 동시대 러시아 감독인 타르코프스키의 평은 아주 신랄했다. <타르코프스키의 순교일기>(두레, 1997)에서 그는 이렇게 적었다('본다르츄크'란 표기는 '본다르추크'로 고쳤다).

"오늘 본다르추크의 <워털루>를 보았다. 불쌍한 작가다. 수치스런 작품이다. 본다르추크에게 작품 <워털루>를 위임했던, 이탈리아의 디노 라우렌티스 제작팀에서 온 로베르토 쿠오마라는 이탈리아 사람의 방문을 받았다. 영화감독으로 이탈리아에 초대하고 싶은데 올 수 있겠느냐고 묻기에, 토마스 만의 <요셉과 그의 형제들>이란 소설을 읽어보라고 권했다. 일이 잘만 된다면 카뮈의 <페스트>를 영화화하고 싶다."(49쪽)


 

 

   

 

1970,년 9월 18일자 일기의 한 대목인데, 국역본에서 9월 14일자 일기로 처리돼 있다. 영역본을 옮기면 "Today I saw Bondarchuk's Warterloo. Poor old Seryozha! It's embarrassing."(21쪽). '세료자(Seryozha)'는 '세르게이'의 애칭이다. 속되게 말하면 '맛이 갔군, 세료자!' 정도가 될 수 있을까? 문제는 본다르추크와는 달리 타르코프스키는 자신이 찍고 싶은 영화를 찍을 수 없었다는 것. 결과적으론 <요셉과 그의 형제들>도 <페스트>도 그의 필모그라피로 남지 않았다. 두번째 영화 <안드레이 루블료프>로 상당기간 마찰을 겪은 후에 그가 찍게 된 세번째 영화는 <솔라리스>였다.  

해서, "<워털루>를 보라고."란 황석영의 말은 "<워털루>를 보았다."란 타르코프스키의 말에 의해 반향되고 굴절된다. 그것은 이중적이다. 워털루 자체가 나폴레옹 자신의 영광과 굴욕을 상징하게 되듯이 말이다. 이 서재의 운명 또한 그러할 것이다...

07. 06. 2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 8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