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의 윈도우가 업데이트되는 동안 황동규 시인의 <연옥의 봄>(문학과지성사)을 읽는다. 제목과 다르게 작년 늦가을(11월말)에 나온 시집이다(혹은 연옥에서는 11월이 봄인지도). 의당 갖고 있는 줄 알았는데 구매내역에 없어서 어제 뒤늦게 주문했던 시집.

문학과지성 시인선의 간판 시인이기도 한 그의 시집은 <나는 바퀴를 보면 굴리고 싶어진다>(1978)부터 모두 갖고 있는 듯싶다. 대학 첫학기에 ‘대학영어‘를 황동규 교수에게 들은 인연 때문에 내가 기억하는 시인은 주로 30년 전 언저리의 모습이다. 어느새 시인도 팔순이고 시집의 다수 시편이 ‘마지막 날‘의 상상과 ‘별사‘로 읽힌다(마지막 시집이 아니길 희망한다). 시집의 문을 여는 ‘그믐밤‘도 그렇다.

여행 도중 받은 아끼던 제자의 부음,
벌써 가는 나인가 하다 정신이 번쩍 들었다.
별이나 보자꾸나, 민박집 나와 언덕을 오를 때
휴대폰 전짓불이 나갔다.

냄새로 달맞이꽃 무리를 거쳐
반딧불이만 몇 날아다니는 관목 덤불을 지났다.

빛이 다가오는가 했더니 물소리였다.
불빛 낮춘 조그만 방같이 환(幻)한 여울을 건넜다.
기다렸다는 듯 하늘에서 별이 하나 떨어졌다.

걸음 멈추고 아는 별들이 제대로 있나
잊혀진 별자리까지 찾아보았다.
더 내려오는 별은 없었다.
땅으로 숨을 돌리자 풀벌레 하나가
마음 쏟아질까 가늘게 울고 있었다.

시만 보더라도 누가 썼는지 알 수 있는 시다. 그만큼 황동규 풍이 완연하다(하기야 대다수 그의 시가 그러하다). 일단 그는 가면을 쓰지 않는다. 시적 페르소나가 따로 없어서 시에서 ‘나‘는 시인 자신이다. 이른바 맨얼굴의 시인이고 따라서 연기하지 않는다. 그의 시는 솔직하고 정직하다. 그럼에도 시가 되는 것은 소위 ‘시적 긴장‘을 만들어내는 그의 언어 구사력과 발견술 덕분이다. 시인은 항상 발견하고 감탄하고 마음 환해진다. 그 환해진 마음을 적는 것이 또한 그의 시다.

이 시에서 시인은 여행길에 제자의 부음을 듣고서 별을 보러 언덕에 오른다. 관목덤불을 지나고 여울을 건너 어렵사리 언덕에 올라 별이 하나 떨어지는 것을 본다. 별이 지면 사람도 진다는 오랜 믿음! 그렇게 별과 인간의 운명이 상응하기에 마지막 연에서 별들의 안부를 유심히 관찰한다.

걸음 멈추고 아는 별들이 제대로 있나
잊혀진 별자리까지 찾아보았다.
더 내려오는 별은 없었다.
땅으로 숨을 돌리자 풀벌레 하나가
마음 쏟아질까 가늘게 울고 있었다.

˝더 내려오는 별˝이 없자 그나마 안도하며 언덕을 내려온다. 그러자 제자의 죽음으로 인한 슬픔을 비로소 절감한다. 그 대목을 시인은 ˝풀벌레 하나가 마음 쏟아질까 가늘게 울고 있었다˝고 표현했다. ˝나는 숨죽여 흐느꼈다˝ 정도를 대신하는 시구인데, 이런 대체에 의해 시적 긴장이 만들어진다. 시는 다르게 말하는 방법이기에. 그리고 이런 게 황동규 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