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학자 미야지마 히로시가 주도하는 '19세기의 동아시아' 시리즈 2,3권이 출간되었다. 1권 <동아시아는 몇 시인가?>(너머북스, 2015)의 뒤를 잇는 2권 <동아시아에서 세계를 보면?>과 3권 <19세기 동아시아를 읽는 눈>(너머북스, 2017)이 그것이다.

 

 

그 가운데 일단 3권을 손에 들었는데, 도쿄대 명예교수이면서 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 석좌교수인 미야지마 히로시를 제외하면 모두 국내 학자들의 논문 모음이다. 자연스레 국내 한국사와 동양사 연구성과도 가늠해볼 수 있겠다.  

"이 책을 기획한 미야지마 히로시 교수(성대 동아시아학술원) 는 "서구 근대를 기준으로 다른 지역의 근대를 파악하는 방법을 넘어서 각 지역의 개성적인 근대를 파악한 다음 보편적 근대의 문제를 생각하는 작업이 요청된다"면서 동아시아 세계가 이 문제를 검토하는 가장 적합한 지역이라고 한다. 따라서 <19세기 동아시아를 읽는 눈>은 다만 서구적 근대를 향해 달려나가는 종래의 19세기 묘사나 연구들과 매우 다르고, 나아가 시각에 대한 전복적 접근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이 책은 동아시아의 상호교류와 트랜스내셔널한 시점의 접근, 문화와 사유, 삶의 방식을 유교와 적극적으로 연결하여 이해함으로써 이전과는 다른 동아시아 역사상을 그려낸다."

 

기억에 내가 미야지마 히로시에 매료된 것은 <미야지마 히로시, 나의 한국사 공부>(너머북스, 2013)를 읽은 다음부터인 듯하다. 외부자적 시각에서 한국과 한국사를 바라본 사례로 미국의 제임스 팔레와 함께 귀감이 될 만한 학자가 미야지마 히로시다. 그에 대한 신뢰 덕분에 그가 관연한 책들에 대해서도 믿음을 갖게 된다. '19세기의 동아시아' 시리즈도 마찬가지다. 이런 수준의 교양학술서도 독자들에게 많이 읽히면 좋겠다. 그래야 책이 또 나오기에 그렇다.

 

 

 

한편, 동아시아 담론의 또다른 출처는 최원식, 백영서 교수를 중심으로 한 창비다. 한눈에 조감할 수 있도록 해주는 책은 '최원식 정년기념논총'으로 나온 <민족문학론에서 동아시아론까지>(창비, 2015)다. 출간 당시에 간단히 언급한 바 있는데, '동아시아론' 관련서들과 함께 폭넓게 읽을 만하다. 더불어, 미야지마 히로시 사단의 동아시아관과 비교해봄직하다...

 

17. 06. 2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