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의 발견'으로 대니얼 헬러-로즌의 <에코랄리아스>(문학과지성사, 2015)를 고른다. '언어의 망각에 대하여'가 부제. 저자는 프린스턴대학의 비교문학과 교수인데, 조르조 아감벤의 주요 저작을 영어로 옮기기도 했다. 아감벤 번역자이면서 그 자신이 독특한 저작을 여럿 갖고 있는 저자다. 가령 이런 책들이 있다고.

 

<운명의 얼굴: 장미 이야기와 우연성의 시학>(2003)을 필두로 온갖 시대와 분야를 종횡무진하면서 독특하고 통찰력 있는 다양한 저서들을 격년 단위로 출간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내적 접촉: 감각의 고고학>(2007), <만인의 적: 국민국가들의 법과 해적>(2009), <다섯번째 망치: 세계의 불협화음과 피타고라스>(2011), <검은 혀들: 사기꾼과 수수께끼를 내는 자들>(2013) 등이 있다.  

 

저자가 번역한 아감벤 책과 함께 한두 권 정도는 이번 기회에 구해봐야겠다. 말 그대로 '발견'감이 될지도 모르겠다. <에코랄리아스>는 어떤 책인가.

이 책의 제목인 ‘에코랄리아스’란 ‘언어메아리’ ‘메아리어’ ‘반향어’ 정도로 번역할 수 있는데, 그것은 저 자신은 망실되었으나 완전히 사라지지 않은 채 마치 메아리처럼 ‘다른’ 언어의 틈새에서 살아남아 그 존재의 ‘지층’이 되는 언어의 특성을 암시한다. 21편의 에세이로 구성된 이 책은 고대, 중세, 근대를 넘나들며 신화에서부터 현대 언어학 이론까지 다양하고 재미있는 일화를 소개하면서 말과 글, 기억과 망각 사이의 관계를 탐색해나가는 동시에 ‘망각’이야말로 언어의 본질적 특성이라는 저자의 특별하고 독창적인 통찰을 전해준다.

모처럼 독서욕을 자극하는 철학적 에세이다.

 

 

역자는 아감벤의 <빌라도와 예수>(꾸리에, 2015), <유아기와 역사>(새물결, 2010) 등을 옮긴 조효원 평론가다. 철학적 에세이 <다음 책>(문학과지성사, 2014)을 펴내기도 했다. 벤야민이나 아감벤의 사유가 한국어로는 어떤 반향을 이끌어낼 수 있는지 보여주는 사례로도 보인다...

 

15. 07. 2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