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시사IN(342호)에 실은 리뷰를 옮겨놓는다. 마이클 해링턴의 <오래된 희망, 사회주의>(메디치미디어, 2014)를 글거리로 삼았는데, 리뷰는 간단하게만 적었다. 원서를 주문해놓은 터라 학습 삼아서 다시 정독할 계획이다. 최근에 나온 책으로 장석준의 <사회주의>(책세상, 2014)와 추이즈위안의 <프티부르주아 사회주의 선언>(돌베개, 2014)도 같이 읽어볼 만하다.  

 

  

 

시사IN(14. 04. 05) 사회주의라는 또 하나의 약속

 

사회주의 이론과 역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 오래 품고 있던 숙제였기에 마이클 해링턴의 <오래된 희망 사회주의>는 대번에 손에 든 책이다. 원제가 <사회주의: 과거와 미래>이고 저자 역시 '신뢰할 만한 사회주의자'라는 평판을 듣는 미국의 대표적 사회주의 정치사상가라고 하니 믿어볼 만했다.

 

 

'오래된 희망'이란 제목의 문구에서 미리 예상할 수 있듯이 저자는 사회주의가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여전히 '자유와 정의를 위한 희망'이라고 믿는다. 물론 예상되는 반론은 '백 년도 더 된 낡은 이념'이 어떻게 우리의 미래가 될 수 있겠느냐는 것인데, 저자는 두 가지 전략을 통해 이에 답하고자 한다. 하나는 과거 사회주의에 대한 재평가를 통해서 우리가 갖고 있는 사회주의에 대한 그릇된 인상을 교정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새로운 사회주의의 비전과 청사진을 제시하는 것이다.

 
전 지구적 자본주의라는 현실적 조건 속에서 다시 사회주의를 말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것은 자본주의가 '자유와 정의'를 위한 체제가 아니며 따라서 지속될 수 없기 때문이다. 굳이 마르크스를 인용하지 않더라도 자본주의는 "인류 역사에서 가장 큰 성취이고 급진적이고 혁신적인 체제"이다.  자본주의는 그 이전의 권위주의 시대를 해체하면서 "자유와 정의를 위해 싸울 수 있는 공간과 권리"를 가질 가능성을 열어놓았다. 하지만 자본주의자들은 이 가능성에 저항하면서 그것을 파괴하는 사회 정치적 환경도 만들어냈다. 자본주의적 사회화에 맞서서 해링턴은 이와는 다른 방향의 '사회주의적 사회화'가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사회주의라는 또 하나의 약속이라고 할까.


물론 20세기에 우리가 경험한 역사적 사회주의 혹은 현실 사회주의의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다. 자본주의적 국가주의화를 '잘못된 사회주의'라고 비판했지만, 옛 소련으로 대표되는 '독재적 공산주의' 역시 '자유와 정의의 걸림돌'이었던 건 마찬가지였다. 무엇이 문제였던가. 저자는 '사회화'의 의미에 대해서 정작 사회주의자들이 제대로 알지 못했다는 것과 대표적 사회주의 이론들이 근본적인 오류를 포함하고 있었다고 지적한다. 잘못된 이론적 기초 위에 세워진 사회주의는 '사회주의적이지 않은 사회'를 가리키는 이름이 됐다.

 

그럼 사회주의가 아니고 뭐란 말인가. 해링턴은 현실 사회주의를 "생산수단은 국유화되어 있지만 민중은 이론적으로만 경제를 지배할 뿐"인 집산주의 체제였다고 규정한다. '가짜 사회주의'라는 것인데, 핵심적인 원인 가운데 하나는 민주주의에 대한 과소평가에 있다.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에서 보면 자본주의 아래서는 민주주의가 완벽하게 구현될 수 없다. 사회경제적 불평등이 정치적 평등을 가로막기 때문이다. 이것은 거꾸로 사회주의 아래에서만 민주주의가 제대로 존립할 수 있다는 뜻도 된다. "하지만 레닌은 민주주의 그 자체를 부르주아 민주주의로 취급했다." 이러한 생각이 필연적으로 옛 소련을 볼셰비키 독재와 스탈린의 일인 독재로 몰고갔다. 소비에트 모델이 몰락한 이유다.


이러한 과오를 딛고 우리가 준비해야 할 새로운 사회주의는 어떤 것인가. 해링턴이 제안하는 사회주의는 민주적 지배 속에서 이루어지는 사회주의적 사회화다. 이것은 단기간에 가능하지 않은 장기적인 변화이자, 다수의 지지가 꾸준히 확보될 때만 가능하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사회적 힘을 결합시킬 필요가 있으며 경제뿐만 아니라 사회와 문화의 영역에서도 장기적인 개혁이 필요하다.

 

도덕적, 지적 개혁을 포함하는 사회주의적 전환은 "마르크스를 포함해 다른 사회주의자들이 생각한 것보다 훨씬 더 오래 걸리고 근본적"이다. 자본주의 사회의 반사회적인 사회에 맞서는 사회주의적 사회화는 불가피하다. 개인과 공동체의 자유를 구현할 수 있는 공간을 우리가 여전히 꿈꾼다면, 현실 사회주의의 패배와 배신에도 불구하고 사회주의는 아직 우리의 희망이다.

 

14. 04. 0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