뤽 페리와 단짝을 이루는 알랭 르노는 <68사상과 현대 프랑스 철학>(인간사랑, 1995)으로 우리에게 소개돼 있다. 칸트와 피히테 전문가라는 그는 68사상, 혹은 그들이 '반휴머니즘'이라고 규정하는 구조주의 시대 철학자들을 비판하면서 새로운 주체 철학, 혹은 새로운 개인주의를 모색하고 있다. 나의 견문으론 그렇다.

 

 

 

 

알랭 르노의 <개인: 주체철학에 관한 고찰>(동문선, 2002)은 짐작에 그의 또다른 주저 <개인주의의 시대>(1989)의 또다른 버전, 혹은 포켓북 버전이 아닌가 싶기도 하다. 컴팩트한 분량이어서 프랑스에서의 개인주의 논쟁의 전말과 페리/르노가 주장하는 개인주의 철학이 어떤 것인지 일목요연하게 정리해줄 수 있을 듯한 책. 하지만, 이 역시나 양질의 번역일 경우이다.

 

 

 

 

우리에게 <패션의 제국>(문예출판사, 1999)으로 번역 소개된 질 리포베츠키의 책을 <덧없음의 제국>이라고 옮길 때부터 좀 의심이 가기 시작하더니 <사유의 패배>(동문선, 1999)의 저자 알랭 핑켈크로트를 다룬 절에서의 아래와 같은 번역은 역자가 어떤 '계산'으로 번역했는지 도저히 가늠할 수 없게 한다.

"민주적 개인주의의 전망인 난폭함. '유로디즈니'로 회사를, '쥐라기 공원'으로 영화를, 또는 마돈나의 콘서트를 나타냄으로써 구호 만들기의 요구에 스스로를 바치는 방법이 잔인함의 엄청난 희생자들에게 모욕은 아닌지 우리는 분명 자문할 수 있을 것이다. 말놀이는 그 근본원리가 신비한 단어를 대상으로 하는 건 아니지만 단어들이 아주 심각하게 사물들을 구속할 때는 아마 더 이상 적절하지 않을 것이다. 아무튼 우리가 잔인함이 표현되는, 이론의 여지가 있는 형태를 빼고 생각한다 해도 반론은 계속될 것이고, 그 반론의 논리 또한 검토되어야 한다."(43-4쪽)

이 책은 영어로도 번역돼 있지 않으며 국내 도서관에는 불어본도 들어와 있지 않다. 그러니 나로서는 원문의 내용이 어떠한지 확인할 길이 없고, 그저 이 '난폭한' 번역에 '모욕'을 느끼면서 '희생자'가 되는 수밖에는 없다. 그 모욕을 역자에게 되돌려 주고 싶다. "도대체 번역이란 것의 근본원리가 원문을 신기한 단어들로 대체하는 건 아닐 텐데, 이런 식으로 아주 심각하게 오역을 해놓으면, 그건 더 이상 번역으로서 적절하지 않을 것이다. 아무튼 우리는 이런 식의 번역에 잔인하게 대응할 필요가 있는바, 아무리 정상참작의 여지가 있다손 치더라도 그냥 내버려두다면 '반역'(=번역)은 계속될 것이고, 그 반역의 논리 또한 더더욱 뻔뻔스러워질 것이다." '덧없는 번역'은 이젠 그만 나와도 좋지 않을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05-04-21 00: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적으로 동감합니다..
가끔 전 번역의 문제가 아니라 내가 무식해서가 아닐까 고민할때도 있습니다만은..^^

근데 번역글들을 읽어보면 이해를 못했기에 그런 글을 쓴다는 생각이 들고 외국어라는게 제대로 번역하기에 쉽지 않은게 사실인만큼 과연 얼마나 나은 번역을 갖게될지는 희의적입니다.
번역을 교수들 논문실적으로 쳐주거나 (이거 아직도 그렇죠? 갑자기 자신없네요..) 돈을 엄청 주거나 그럼 나아질까요?

로쟈 2005-04-21 17: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번역을 연구업적으로 평가하는 데 좀 인색한 게 사실입니다. '돈을 엄청 준다면' 당연히 나아지겠죠.^^ 더불어 당연한 얘기지만, 고전이나 중요한 인문/과학 서적의 번역을 위한 국가적/사회적 지원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그때까지는 번역자들이 좀더 정신 차려서 해야 하지 않나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