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달 책&(420호)에 실은 '로쟈의 주제별 도서 소개'를 옮겨놓는다. 이달의 주제로 고른 건 '빅히스토리'다. 신시아 브라운과 데이비드 크리스천의 책들이 번역돼 나온 게 계기인데, '지구사 시리즈'도 같은 범주로 묶었다...

 

 

 

책&(13년 7월호) 지구 역사의 퍼즐 맞추기

 

“빅히스토리를 공부하면서 왜 내가 학교에 다닐 때 이런 공부를 하지 못했는지 안타까울 정도였다. 만약 그랬다면 더 많은 것에 관심을 갖고 더 많은 것을 이해할 수 있었을 것이다.” 빅히스토리에 예찬론자 빌 게이츠의 말이다. 역사학의 새로운 조류로 등장한 빅히스토리(Big History)는 무엇이고 이 ‘거대사’는 어째서 흥미를 끄는가. 여름 밤하늘을 수놓은 별들의 이야기와 지금 우리의 삶이 어떻게 만날 수 있는지 보여주는 빅히스토리의 세계로 잠시 떠나보려고 한다. 물론 국내에 소개된 몇 권의 책을 길잡이삼아서 떠나는 여정이다. 


빅히스토리가 어떤 것인지 적당한 규모로 간명하게 소개하는 책은 신시아 브라운의 <빅히스토리>(웅진지식하우스, 2013)다. '빅뱅에서 현재에 이르는 과학적 창조의 이야기'를 기록하고 있다. 저자는 역사도 과학적 작업의 한 부분인 이상, 인간이 밝혀낸 이야기를 ‘과학’과 ‘역사’로 따로 구분할 정당한 이유가 없다고 말한다. 우리가 배운 역사학에서는 흔히 문자의 발명과 그 기록을 기준으로 역사와 선사 시대를 구분한다. 자연스레 역사의 범위가 지난 5000여 년으로 한정되는데, 따지고 보면 이는 지구 일생의 단지 100만분의 1 정도에 불과하다. 빅히스토리는 역사의 범위를 기록된 문서에 얽매이지 않고 이용 가능한 모든 증거와 자료를 활용해 최대한 확장한다.


그렇게 역사의 범위가 빅뱅까지 확장되면 역사를 보는 관점도 자연히 달라질 수밖에 없다. 저자는 “지구가 인간에게 미친 영향과 인간의 행동이 지구에 미친 영향”이 책의 숨어 있는 근본적인 주제라고 말하는데, 그런 관점에서 보자면 인간의 역사를 아주 큰 덩어리로 보고 지구와 지구상의 생명의 역사 속에 포함하여 다루는 빅히스토리에서도 인간은 특별한 위치를 차지한다. 인간은 지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유일한 생물 종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특별히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은 ‘인간의 양적인 증가’다. 수세기에 걸쳐 인간은 인구와 기대수명을 늘리기 위해 놀라운 기술력을 발휘해왔고, 2000년에 이르러서는 61억의 인구에 도달했다. 이것은 지구상에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되는 500억에서 1000억의 인간 가운데 6%-12%에 해당한다. 지난 100년 동안 세계 인구는 16억에서 61억으로 늘어났는데, 이러한 증가는 말 그대로 ‘지구에 대한 실험’이라 할 수 있다. 저자는 우리 시대에 이 실험이 의미를 공기와 삼림, 토양, 물, 방사능 등의 척도를 통해 기술한다. 빅히스토리적 시각이 갖는 특징이라 할 만하다.


빅히스토리에 대한 개관에 이어서 좀더 깊이 들어가고픈 독자라면 데이비드 크리스천의 <시간의 지도>(심산, 2013)를 선택할 수 있다. 먼저 소개된 <거대사>(서해문집, 2009)는 빅히스토리(거대사)를 아주 간략하고 쉽게 풀어쓴 책으로 <시간의 지도>의 압축판이라고 할 수 있다. 저자 데이비드 크리스천은 호주의 매콰리대학에서 처음으로 ‘빅히스토리’란 이름의 강좌를 개설해 그 용어를 널리 알린 장본인이다. 그는 역사학도 과학에서와 마찬가지로 ‘대통합 이야기’를 찾을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생물학자 에드워드 윌슨의 표현을 빌리면 ‘통섭의 역사학’이라고 할 수 있다. 실제로 한국어판 서문에서 저자는 “과학과 인문학의 ‘융합’이 현재 아주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는데, 빅히스토리야말로 학생들에게 과학과 인문학이 여러 가지 면에서 대단히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줄 수 있는 대단히 좋은 방법”이라고 추천한다.


빅뱅 이후 최초 30만년의 이야기로 ‘시간의 지도’를 펼쳐놓지만 저자 역시 20세기 일어난 변화가 인류 역사의 모은 이전 시기에 일어난 변화를 다 합친 것보다 더 크다고 말한다. “인간 사회는 20세기 초기부터 생물권 전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으며, 인간의 지속 가능한 한계를 넘어 살고 있다는 증거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게 빅히스토리의 공통적인 관점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그렇다면 이러한 빅히스토리는 어떻게 마무리될까? 약 40-50억 년쯤 뒤에는 태양이 죽어가기 시작할 것이고, 아주 먼 미래에는 우주가 다시금 평형상태로 접어들면서 황폐해질 것이다. 그러한 거시적 시야에서 인간을 바라봄으로써 빅히스토리는 우리를 좀 겸손하게 만들어주는 듯하다.

 

 

데이비드 크리스천과 신시아 브라운, 두 저자의 책과 함께 ‘빅히스토리’란 명칭이 국내에 소개됐지만, 아직 국내 학계에서는 ‘글로벌 히스토리’, 곧 ‘지구사’란 이름을 더 선호하는 편이다. 빅히스토리처럼 빅뱅까지 포함하여 다루지는 않지만, 지구를 하나의 역사단위로 하여 전 지구적 역사를 다뤄야 한다는 관점으로 출간된 '지구사연구소 총서’(이화여대 지구사연구소)는 이미 국내 빅히스토리 분야에서 유명하다. 데이비드 크리스천의 <거대사>와 <시간의 지도>도 이 총서의 일환으로 출간된 것이다. 이 새로운 세계사에 대한 국내 학자들의 논문 모음집으로 <지구화 시대의 새로운 역사>(혜안, 2008)와 <지구사의 도전>(서해문집, 2010)이 출간돼 있다.

 

13. 07. 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