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적인 추석 연휴의 첫날이다. 가까이에 양가 부모님이 사시기 때문에 특별한 이동이 필요하지 않고 제사를 지내지 않기에 단촐한 식사모임으로(올해는 동생들의 근무가 엇갈려서 모두 모여 식사하는 일이 불가능해졌다) 모든 명절행사가 종료된다. 오늘 같은 날 송편을 만들던 때도 있었으나 기억에 가물하다. 음식도 최소화해 가는 중이고 올해는 갈비찜도 줄이셨다. 하기야 부모님과 식사하는 일 자체가 일년에 몇회 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설이나 추석이면 가족이 화두다. 가족들끼리 모이니 그럴 수밖에 없다. 아마 가족을 떠나 있어도 그렇지 않을까.

추석의 독서거리로 가족을 떠올린 것은 전혀 새롭지 않다. 그래도 며칠 전부터 어떤 책을 고를까 궁리했다(기껏해야 일이분 머리를 쓴 것도 궁리라고 한다면). 그래서 고른 책이 사회학자 김찬호의 <한국인의 생애>(문학과지성사)다. ‘한국인은 어떻게 살아가는가‘가 부제. 2009년에 나왔던 책의 개정판이다. 유년기부터 노년기까지 한국인의 평균치적 삶의 경로를 열다섯 개의 장면으로 구성했다. 대략 그렇게들 살았지, 라거나 이렇게들 사는구나, 라는 감상을 끌어내는 책이다.

사회학자 노명우의 <인생극장>(사계절)은 한 편집자의 강력한 추천으로 상기하게 된 책이다. 저자가 돌아가신 부모의 생애를 객관적 시점으로 재구성한 책이다. 아들이 대신해서 쓴 부모의 자서전이다. <생애의 발견>에 견주면, 평균인이 아닌 고유명으로서의 한국인의 삶을 그려낸 책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 책은 나도 어디에 두었는지 찾아야 한다.

그리고 역시 사회학자 조은주의 <가족과 통치>(창비)는 저자의 박사학위논문을 정리한 것으로 ‘한국의 정상가족 만들기 프로젝트‘를 실증적으로 짚어본 책이다. 김이경의 <이상한 정상가족>(동아시아)을 읽은 독자가 추가적으로 손에 들 만하다. ‘인구는 어떻게 정치의 문제가 되었나‘가 부제. 산아제한부터 출산장려까지 지난 시대 국가의 가족정책의 변모는 그대로 한국의 가족사를 비춰주는 거울이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