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에도 다시 잠을 자고 저녁이 다 돼서야 연휴 일정을 가늠해보았다. 연휴라고는 하지만 다음주 목요일부터는 정상적인 강의일정이 잡혀 있으므로 생각만큼 길지는 않다. 연휴 독서계획도 늘 그렇듯 계획에서 끝나기 십상이겠다. 그런 무망한 계획 가운데 하나는 전쟁 관련서들을 읽는 것이다. 톨스토이의 <전쟁과 평화>에 대한 강의로 한해를 시작하기도 해서 자연스레 ‘전쟁과 평화‘가 올해의 화두가 되었다.

관심을 갖는 주제는 그것이 어떤 조건하에서 선택이 되는가이다. 전쟁의 가능성은 거꾸로 평화의 가능성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두 차례의 세계대전도 마찬가지고 한국전쟁도 그렇다. 역사에서 필연이 있다면 왜 그런가. 만약 선택의 여지가 있었다면 어떻게 해서 전쟁이 선택되었는가. 평화를 희구하고 영구평화의 시대를 갈망한다면 그것이 가능한 조건이 무엇일지 생각해보는 것은 당연한 과제다.

그런 관심에서 전쟁과 전쟁사 관련서들을 모으고 있는데 최근에도 여러 권이 출간되었다. 그 중 하나가 일본 도쿄대 교수 가토 요코의 <왜 전쟁까지>(사계절)다. 일본 근현대사가 전공분야인 저자의 책은 몇권 소개되었는데 모두 전쟁은 주제로 한 책들이다. 제목에도 드러나지만 저자는 주로 일본이 왜 전쟁을 선택했는가를 묻는다. 그것이 선택이었던 상황에서 어째서 전쟁으로 기울 수밖에 없었는가를 복기해보는 것이다.

전쟁이 우연이라면 우리는 전쟁사에서 배울 게 없다. 필연이어도 마찬가지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 없을 것이기에. 그렇지만 우연과 필연 사이에 놓여 있다면, 그래서 어느 정도까지 선택의 문제라면, 더 나은 선택을 위해서 공부가 필요하다. 더 나은 선택의 조건은 무엇이고 어떻게 마련될 수 있는가. 그렇기에 전쟁학은 평화학의 조건으로서만 의미를 갖는다. 이 문제에 대한 더 진전된 생각을 갖기까지 당분간 전쟁과 평화는 독서의 화두가 될 전망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