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르만 헤세의 <데미안>(1919)을 강의에서 읽었다. 작품의 지명도 때문에 강의에서 가장 많이 다룬 헤세의 작품이다. 아이러니한 건 내가 가장 마음에 들어하지 않는 작품이기도 하다는 것. 강의에서 다룰 때마다 유감지수가 높아져서 이제는 심지어 ˝불쾌하고 어리석은 작품˝이라는 평까지 하게 된다(주로 전쟁에 대한 어리석은 의미부여가 불만의 원인이다).

<페터 카멘친트>(1904)에서 <유리알 유희>(1943)까지 그의 주요작 가운데 이제껏 일곱 편을 강의에서 다뤘다. 내게 미지의 헤세는 얼마남지 않은 셈인데 12권짜리 현대문학판 전집을 기준으로 하면, 에세이와 동화집을 제외한 세 편이 ‘내가 모르는 헤르만 헤세‘가 된다. 자전소설 <수레바퀴 아래서>(1906)와 <데미안> 사이에 놓인 작품들로 <게르트루트>(1910), <로스할데>(1914), <크눌프>(1915)가 그 세 편이다.

이 가운데 <게르트루트>는 중학생 때 <사랑의 삼중주>라는 제목의 번역판으로 읽은 적이 있다. 너무 오래전이라 어렴풋하게만 기억에 남아있다. <게르트루트>와 <로스할데>는 예술가소설로 분류되고(<유리알 유희> 계보다) <크눌프>는 이름을 붙이자면 방랑자소설에 든다. 그럼 또 대략 가늠은 되는군.

그렇더라도 이미 알고 있는 작품을 다시 읽는 것과 미지의 작품을 처음 읽는 건 기분이 다르다. 비록 <수레바퀴 아래서>를 처음 읽고서 받았던 감동이 다시 재연되기는 어려울 테지만(요즘 들어서 그의 작품세계가 새삼 너무 협소해 보인다) 그래도 ‘옛정‘이 있는 작가의 읽지 않은 작품이 남아있다는 게 위안이 된다. 아직 펴보지 않은 카드가 세 장 남아 있는 것처럼.

번역본은 전집판 외에 몇 종이 더 나와있다. 전집판으로 읽으려고 하지만 다른 번역판들도 참조할 계획이다. 전집판은 서고에서 찾아와야 하지만 민음사판의 <크눌프>는 책장에 있다. 범우사판은 주문해야겠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wo0sun 2018-04-13 00: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쟁도 하나의 에피소드(전쟁이 프란츠 크로머와 동급)가 될만큼
어떻게 이렇게 철저하게 ‘나‘ 만 있는건지~
헤세에게 ‘나‘의 바깥은 없는건가요?

로쟈 2018-04-13 09: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황야의 이리가 바깥의 최대치 같아요

로제트50 2018-04-13 17: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헤세의 마지막을 지킨 니논 헤세의
글을 보면 헤세는 매우 이기적인
사람 같아요~~

로쟈 2018-04-13 23:15   좋아요 0 | URL
인생은 자기에게로 가는 여정이라는 게 헤세의 인생관이니 그에 충실했던 것이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