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닥치는 대로 끌리는 대로 오직 재미있게 - 이동진독서법>이 올 설연휴의 책이 되었다. 책을 많이 읽는 사람들의 생각은 비슷한 것 같다. 책을 통해 그 어떤 즐거움보다 큰 행복을 느끼고 여러 권의 책을 동시에 읽으며, 책을 정리하면서 기쁨을 얻는다 등등. 이동진님도 행복에 관해 언급을 하는데 앞서 읽었던 사이토 다카시 <만두와 사우나만 있으면 살만합니다>가 떠올랐다. 요 책은 신기하게 처음 읽을 때는 별루라고 여겨졌었는데 다시 읽으니 참 괜찮은 듯하다. {왜지?}

동진 왈, 행복한 사람들은 습관이 좋다고 한다. 습관이 없으면 안정성이나 자기동일성이 유지가 안 되고 습관 부분에 재미를 느끼는 이들이 진정 행복한 것이라고. 다카시의 방법은 행복의 축(자신에게는 만두와 사우나)을 가지고 기분이 나쁜 때나 우울해질 때 이것들을 행하는 것이다. 즉 행복은 단순한 데에 서 오는 거고 자신만의 안전망을 잘 구축해 놓으면 행복해질 수 있다는 것. 스스로 노력하고 고생한 끝에 원하는 것을 차지한 사람이 진정으로 행복해질 수 있다.(사이토 다카시, 33p)

행복은 인생의 목적이 아닐 것이다. 그렇지만 돈이 목적이 아닌데 자주 그렇게 되듯 행복도 목적처럼 갈구되는 때가 온다. 이동진독서법은 술술 잘 읽혔다. 아마 인터뷰라서 또 책에 관련한 내용이라서 그런 것 같다. 많은 사실을 배웠다. 특히 정영문과 비슷한 류의 한국소설가를 알게 된 게 가장 큰 득이다.


한국소설의 경우도 최수철, 이인성, 정영문, 박상륭 이런 작가들의 소설을 어떻게 영화화할 것인가. 영화화한 적이 있기는 하죠. 박상륭의 소설 <죽음의 한 연구>를 영화화한 것이 [유리]인데 사실 좀 이상한 영화죠. (이동진, 121p)



첨에는 책과 정체성을 같이 한다는 데에서 언뜻 이해가 가지 않았다. 하지만 아래 내용은 동감됐다. 독서는 시간이 오래걸리고 과정 자체가 중요하다. 단순한 목적성을 가지고 하지 않는, 재미가 무엇보다 중요한 동기라는 점.
독서에 관한 생각들을 깊이 해본 적이 없는데 그를 통해 새롭게 인식했다. 가장 가까이 있지만 어떤 존재인지 생각하지 않는, 어떤 관계인지 정의하지 않는 이상한 정상 가족처럼 말이다.


일단 책이라는 것 자체가 삶의 일부가 되도록 끌어안는 게 중요해요. 그러다보면 책이 우리에게 질문을 하게 해준다는 거죠. (이동진,92p)


깨달음.
책은 나의 삶의 큰 부분임. 인공지능보다 엄청나게 느리지만 저자와의 대화를 통해 질문하고 답하고 스스로 성장하고 있음. 만 권을 읽는다면 인생이 아닌, 나 자신이 어찌 변하게 될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8-02-18 08:3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는 책을 엄청 좋아지만 책이 삶의 전부라고 생각하지 않아요. ‘책을 읽는 타인‘도 책 읽는 삶의 일부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그 사람들을 만나서 대화를 하면 나에 대한 새로운 질문들이 나오거든요. 다독을 강조하는 독서 전문가들은 책을 많이 읽으면 삶이 달라진다고 말합니다. 하지만 저는 그런 생각에 동의하지 않아요. 삶을 변화시키는 변수는 다양해요. 책 한 두 권 읽고나서 삶이 달라질 수 있고요, 나와 비슷한 독서 취향을 가진 사람을 만나는 순간이 삶이 달라질 수도 있는 특별한 계기가 될 수 있어요. ^^

:Dora 2018-02-18 13:58   좋아요 0 | URL
삶이 바뀌는 건 해보지 않아서 잘 모르겠지만 가치관이나 생각의 빙향이 바뀌는 건 맞는 것 같아요. 딱히 독서토론에 참여하지 않다보니 타인이 잘 의식은 안 되구요. 일종의 희망사항 아닐까요? 돈 로또보다 허망하지는 않으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