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身邊雜記 170918

 

* 신문읽기

 

부안 교사 억울한 죽음성희롱 아니라고 학생들이 탄원서까지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1672285&code=61121111&sid1=soc

'학생 성희롱' 의혹 부안 교사, 억울한 죽음? 학생들이 보낸 탄원서 내용 보니

http://news.joins.com/article/21830488

 

‘240번 버스 논란CCTV 공개요구까지

http://www.hani.co.kr/arti/society/area/810694.html

“240버스 CCTV 공개, 아이 엄마가 강력 반대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1750538&code=61121111&sid1=soc

 

내 관점에서는 이 두 사건이 같은 사건(, 즉 같은 기제 mechanism)으로 보인다.

 

그리고 캣맘이 벽돌에 맞아 사망한 것을 초등학생의 사고로 밝혀지기 전까지 의도적 살인으로 여론이 몰고 간 것 역시 같은 이유이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10/16/0200000000AKR20151016031154061.HTML

 

캣맘 벽돌 사망 사고가 있었고, 사고 전말이 나오기 전, 직장 동료들과 이 이야기를 하였다. 나를 제외한 나머지 사람들 모두 캣맘 혐오 살인 사건으로 단정하고 있었다. 개인적 경험으로 이야기할 수 있겠으나 알라딘 서재에서도 사실이 밝혀지기 전까지 캣맘 혐오에 비판글이 다수 올라왔다.

 

이 세 사건의 공통점은 혐오 미러링 (혐오?) 사건이다.

 

이런 사건에 대해 두 가지 견해가 있음을 안다. 하나는 약자의 분노는 존재하나 혐오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견해다. 이 주장에 의하면 약자는 윤리적으로 면책된다. 이 경우 피해자는 있으나 가해자는 없다. 그러나 지금은 활동이 뜸하신 알라딘 면장이라는 별명을 가진 여성 알라디너가 여성혐오만큼 남성혐오도 늘었다고 하셨는데, 나는 이 의견에 동의한다. 혐오와 분노는 다른 감정이다.

 

두 번째는 공리주의적 접근이다. 수 많은 여성이 피해를 입고 있는데, 남성 한 두 명이 죽거나 사회적 린치lynch에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를 갖게 되는 것을 큰 일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공리주의가 정의 justice의 일부이기는 하지만 동치는 아니다.

 

혐오? 이들이 뭘 어쨌다고.

 

뱀발) 링크된 책은 아직 읽지 않은 책임.

 


댓글(6)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만화애니비평 2017-09-18 08:59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알라딘에는 지식인 내지 엘리트가 많으나, 가끔 제가 우려되는 게 어느 사안을 두고 바라보는 일관적인 관점이 없는 것이죠. 남자가 그래서 그렇다가 아니라 남녀노소를 구분하지 않고 바라보는 게 옳죠

마립간 2017-09-18 10:35   좋아요 3 | URL
저는 어떤 답을 가지고 문제를 제시하기보다 저의 의구심을 표현하기만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면서 제 자신에 대해서는 일관성-완결성을 이루려 합니다.

‘철학의 역할이 익숙한 것을 낯설게 보기‘라는 말이 있습니다. 사회에서 익숙하게 보는 것에 대해, 진보진영, 페미니스트, 알라디너가 낯설게 보기를 제안한다면, 저는 진보진영의 주장, 페미니스트의 주장, 알라디너의 주장을 낯설게 보기에 저의 역할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만화애니비평 2017-09-18 10:47   좋아요 2 | URL
인터넷에서 페미니스트의 기고문을 보고, 알라디너의 글을 보면서 느끼는 것이지만, 사회적 기반에 깔린 여성비하적인 관점은 문제가 있지만, 그게 단순히 여자니깐 비하당하는 것만이 아니라, 역으로 ˝여자에게 비하당해서 그것에 대한 불만으로 여성혐오‘로 이어지는 경우에 대해 문제의식을 가지지 않습니다.
가령 남편이 아내를 살해했는데, 그 아내가 남편을 구타하고, 밥도 안 주며, 매일 모욕을 줍니다. 이래서 범죄가 일어나는 경우,
역으로 아내가 남편을 살해하는데, 그 남편은 맨날 술만 마시고 아내를 구타하고, 욕설을 하며, 온갖 학대를 하면 어느 게 나쁘냐에서 모두 나쁘다로 봐야 하는데, 가끔씩 그들의 주장을 보면 이런 관점이 모호해지는 경우를 많이 봅니다. 전후맥락을 보고 판단하는 게 바르다고 여기는데, 거기에 대한 심층적 고찰보단 표면적 결과로 귀결하는 일반화가 ˝겨울호랑이님˝이 우려하는 것처럼 표출되는게 아닌가 싶네요.

마립간 2017-09-18 10:54   좋아요 3 | URL
세상의 모든 사람이, 세상의 모든 것을 이해하고 공감하며 살 수 없겠지요. 과거의 인간사도 우려스럽지만 이제까지 굴러왔듯이 현재도 그런 방식으로 미래로 진행하겠죠.

겨울호랑이 2017-09-18 09:47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모든 행동에 의미를 부여하고, 이를 통해 사회문제를 단순화해서 바라보는 관점은 분명 위험한 태도라고 생각됩니다. 사회문제를 기존 사회과학의 일반적인 틀(연령, 성, 지역, 학력, 소득, 종교 등)로 segmentation하여 특정 집단, 개인의 문제로 바라보는 것에서 벗어나 보다 본질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하게 되네요.그렇지 않을 경우 편견에서 벗어나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마립간 2017-09-18 10:47   좋아요 3 | URL
일반론의 관점에서 볼 것이냐, 특수성의 관점에서 볼 것이냐/존재론의 관점에서 볼 것이냐, 관계론의 관점에서 볼 것이냐 ; 이 모든 것이 (철학적) 논쟁의 주제가 되겠지요.

모든 행동에 의미를 부여하고, 이를 통해 사회문제를 단순화해서 바라보는 관점 ;은 제가 비판하는 상대에게 제가 적용하는 관점이기도 하지만, 반대로 저를 비판하는 상대가 저를 보는 관점이기도 할 것입니다. 그래서 저는 저의 관점을 옳다고 표현하기보다 선호로 표현할 때가 있습니다.

안타까운 것은 대화 자체도 안 될 때가 있다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