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어 공부

- 수학과 영어에 이어 마지막 푸념 ; 국어

 

며칠 전 안해가 내게 물었다. “당신, 국어 (공부) 잘 했어요?” 좀 뜬금없어 이유를 물었더니, 지인이 안해를 통해 내게 자기 중학생 아이의 국어 성적을 올리는 방법을 물은 것이다. 그야말로 헉! 수학이라면 모를까. 그렇다고 수학에 대해 물어왔어도 답을 준다고 장담은 못한다. 내가 수학을 좋아한다는 것이 아이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는 것과 같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질문을 받고 어떤 강력한 느낌을 받은 것은 사실이다. 수학을 못하는 이유 중에 하나는 국어를 못하는 것이 포함된다. 문제가 무엇을 묻는 것인지를 모르기 때문에 수학 문제를 풀지 못하는 경우이다.

 

아이의 이런 모습을 본적이 있다. (수학도 아닌 것이, 산수도 아닌 것이, 유치원생용) 수리? 문제를 풀고 있었는데, 나는 아이에게 항상 문제를 먼저 읽으라고 한다. 아이는 문제를 읽고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고 한다. 이런 말을 한 직후 문제 아래에 있는 그림과 숫자를 보더니 ‘아, 이렇게 풀라는 뜻이구나’라고 말하면서 답을 맞혔다. 최소한 이 문제에 관해서 딸아이는 수리적으로는 문제를 풀 능력이 되었지만, 국어 능력은 그에 못 미친 예다.

 

신문기사에서 ‘실질 문맹률’이라는 글을 읽었다. 글을 읽지만 그 글이 무슨 내용인지 알지 못한다는 것이다.

 

수학과 영어는 비교적 잘하고 못하고가 분명하게 드러난다. 공부하는 방법도 (비록 잘못된 방법이라고 해도) 비교적 명확하다. 반면 국어는 성적표가 나오기 전까지 누가 국어를 잘하는지 분명하지 않다. 게다가 공부하는 방법도 명확하지 않다. 내가 아는 한, 단시간에 국어를 잘 할, 그리고 단시간에 국어 성적을 올리는 방법도 없다. 누군가는 독서를 떠올릴지 모르겠으나 나는 독서가 답에 가깝지만 정답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이것이 답이라면 유사 자폐의 하나인 ‘초독서증 hyperlexia’, ‘책 중독 증세’나 ‘실질 문맹률’이라는 용어가 있을 수 없다. 내가 생각하는 (국어 성적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국어 독해에 대한) 답은 책을 읽고 스스로 생각하고 잘 이해 안 되는 문장을 곰곰이 생각하는 것이다. (듣기, 말하기, 글짓기에 대해서 아는 바는 없다.)

 

새로 인사를 나눈 알라디너의 글에서 ‘어떻게 아이가 책을 좋아하게 만들 것인가’라는 내용의 글을 읽었다. 나도 아이에게 독서에 관해 압박을 전혀 가하지 않는다고 할 수 없지만, 항상 조심스럽다. (겨울왕국에서 이렇게 이야기한다. 머리의 상처는 어렵지만 치료 가능하고 심장의 상처는 (영화에서나 있을 법한 단 하나의 방법을 제외하고) 치료가 곤란하다.)

 

‘스스로 생각하라.’ 이것을 어떻게 아이에게 가르친다는 말인가.


댓글(4)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수이 2014-12-19 09: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스스로 생각하라_ 하고 자꾸 제 생각을 주입시키는 건 아닌가 싶어서 조심스럽기만 해요. 부모가 똑바로 서야 자식도 똑바로 선다고 왔다갔다 하는 모습을 자주 보여주는 건 좋지 않노라 선배맘들이 이야기하던데_ 워낙 태생이 귀가 얇아서 그런가 쉬이 고쳐지지는 않네요.

`초독서증`은 처음 듣는 말이라서 메모해놨어요. 마립간님 블로그 차례 이제서야 제대로 훑어봤는데 와_ 놀랍습니다. 세세하게 나눠서 분류, 정리해놓는 것도 아름답구나, 새삼 느끼고 있습니다.

마립간 2014-12-19 15:24   좋아요 0 | URL
독서를 하라고 하는 것도 압력이지만, 스스로 생각하라고 하는 것도 압력이 되겠지요. 저는 부모로서 무오류로 자녀를 양육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것이 인생이겠지요. 가능한 한 모범을 보이는 것을 최선의 방법으로 삼고 있습니다.

제 서재는 알라딘 서재 시작부터 꾸려 왔던 것이라 10년 넘는 동안 쌓아온 글들입니다. 아름답다는 것은 분에 넘치는 과찬이고요. 주제가 조금 무겁고 무미건조한 서재입니다.

세실 2014-12-19 10: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어, 사회 잘하는 비법은 독서라고 생각합니다.
마구잡이식 독서보다는 체계적인 독서가 필요하겠지만요.
일단 책을 많이 읽으면 이해력, 독해력이 좋아집니다. 책을 읽고 가벼운 느낌쓰기하면 더 좋겠지요.

이에 더해서 신문 사설 읽고 밑줄 긋기, 모르는 단어 찾아보기......확실히 좋아져요. ㅎㅎ

마립간 2014-12-19 13:25   좋아요 0 | URL
저도 독서 이외의 다른 방법이 떠오르는 것은 없습니다. 단지 독서에 대한 압력과 공부에 대한 압력을 같게 생각합니다. 아이가 극복할 수 있는 정도의 과제가 적절하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