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讀書日記 130306

 

<아이들은 어떻게 배우는가> 서평 별점 ; ★★★

 제목에서 충실한 답변이다. 하지만 내가 기대했던 것은 ‘아이들이 어떻게 배우는가’ 이외에는 ‘어른들이 가르치려 하는 것을 아이들이 어떻게 배우는가’가 궁금했다. 정글북의 모글리(이 책의 예를 든다면 늑대소년 빅토르)처럼 아이들이 무엇인가를 배울 것이다. 내가 기대하는 것은 어떤 지향점이 이미 존재한 것에 대한 (예를 들면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에 대한) 호기심 및 이것을 탐구할 수 있는 능력을 어떻게 아이가 갖을 수 있을 것인가하는 것이다. <홈스쿨링을 만나다>책과 비슷한 느낌인데, 부모의 욕심으로 될 만한 것은 없는 듯.

 

좌뇌와 우뇌, 학습지능와 실용지능, 학자적 지능과 예술가적 지능. 표현은 다양하게 될 수 있지만, 넣어 주어야 할 것이 있고 스스로 깨우칠 것이 있다. 넣어주는 것에 매몰되어 스스로 깨우칠 여유를 주지 않는 것이 문제이다. 괴델은 숫자 -1의 개념을 스스로 깨우쳤다고 한다. 가르치지 말고 무작정 기다려야 하나?

 

주입식 교육의 반대말은 창의적 교육이다. 그러나 창의력의 반대말이 있나? 굳이 창의 반대말을 고르라면 성실. 뫼비우스 띠처럼 성실은 창의적 결과를 가져온다.

 

사랑을 베풀 것이다. 그러나 항상 옳게 사랑하고 있는지 회의가 든다.

 

* 밑줄긋기

p 41 아이들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지성적이고 영리하고 참을성 있고 재주가 많다. 그리하여 전문가들이 흔히 아이들은 할 수 없다고 확신에 가득차서 말하는 일들을 완벽하게 해낸다.

p 136 세계에 대한 아이의 이해는 불명확하고 임시적이다. 따라서 우리가 아이에게 너무 많은 질문을 하거나 날카롭게 묻는다면 아이들의 이해는 오히려 악화될 가능성이 많다. 반면 우리가 믿음을 가지고 그대로 놔둔다면 아이의 이해력은 더욱 빨리 성장할 것이다. ; 부모가 없는 고아는 일찍 어른이 되지만 바람직하지 않고 이해력이 높아 훌륭한 학자가 더 되기 쉬운 것도 아니다. ‘너무’와 ‘가능성’ 어느 정도를 말하는 것일까. 위인은 거인의 어깨 위에 올라 선 사람들이다.

p 283 IQ 검사란 뭔가 하는 방법을 얼마나 많이 알고 있는가를 검사하는 게 아니라 그 방법을 모를 때 어떻게 행동하느냐에 대한 검사라고 말했었다.

p 305 과학 안에서 무작정 놀기/p 311 우리는 무지와 통찰의 경계를 몇 번씩이나 가로질러야 할 뿐 아니라, 옛 흑인 영가의 노랫말처럼 그 자신 말고는 그 경계를 대신 넘어줄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고. 그러므로 우리는 직접 그 경계를 넘어야만 한다. 떠밀리거나 이끌려서 경계를 넘는 것 좋지 않다. ; 좋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나쁜가?

p 363 ‘무작정’ 놀아 보는 일을 충분히 하기 전에, 조각들이 움직이는 방식에 대한 내적 모델을 세우기도 전에, 조각들을 움직일 수 있는 모든 방법을 탐구할 시간을 갖기도 전에 추론을 해버린 것이 내 문제였다./p 369 이론을 세기 전에 먼저 보라./p 372 추론과 분석이라는 익숙한 함정

p 396 배우길 ‘원하는 것’이 배워야 ‘할 것’ ; 이에 대한 동치는 배워야 할 것을 원했던 것처럼 배우기.

p 399 ‘모든 사람이 알아야만 되는 어떤 지식이 있지 않나요? 그러니 아이들이 그 지식을 아는지 확인하는 게 우리의 의무 아닌가요?’/또한 지식이란 끊임없이 변화하므로 지금 쓸모 있고 가치 있다 해서 영원히 그러리라는 보장은 없다.

 

 

 

 

 

 

 

<천재들의 창조적 습관> 서평 별점 ; ★★★

 나에게 창조성 0점의 결과에 대해서 위로healing이 되는 책. (지금 사라진) 야후 코리아에서 창의력 심리 검사가 있었다. 점수가 10점미만으로 나와 재검을 하였더니 0점이 나왔다. 어렸을 때 창의력은 나의 열등감 중의 하나였다. 그러나 어른이 되면서 열등감은 점차 없어졌다. 그 이유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창의적이지 않다. 그리고 천재들의 창의적 업적도 성실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뉴턴 ‘거인의 어깨에 올라서서 더 넓은 세상을 바라보라’라는 말로 요약할 수 있다.

 

* 밑줄긋기

p 13 창조성은 규칙과 습관의 산물이다./p 18 그것은 모든 예술작품이란 뭔가 초월적이고 설명할 수 없는 디오니소스적인 영감의 번득임, 또는 이 세상에 <마적>과 같은 작품을 선보이도록 허락하는 신의 입맞춤의 산물이라는 믿음과 노력의 산물이다라는 두 믿음 간의 끝잆는 논쟁이다.

p 21 모차르트의 집중력은 지독했다.

p 40 움직임은 우리가 알아채지 못하는 방식으로 우리의 뇌를 자극한다.

p 41 미스터리와 엉터리는 의식에서 큰 부분을 차지한다.

p 59 그것은 내 창조적 DNA의 일부가 아니다.

p 68 비오스bios는 각각의 생명체를 구분하는 반면, 조에zoe는 집합체를 의미한다./조에와 비오스의 차이는 신성함과 세속의 차이와도 같다.

p 96 창조성은 사실과 헉, 그리고 우리가 비축해둔 감정들을 바탕으로 그들을 연결하는 새로운 방법을 찾아내는 것에 가깝다. 여기서 말하려는 것이 바로 메타포다. 메타포는 모든 예술의 생명줄이며, 예술 그 자체라고도 할 수 있다.

p 99 연마하기 위해 이와 비슷한 과정을 거쳤다.

p 246 완벽한 기술은 완벽한 자신감을 가져다주며 단순해질 수 있는 대담함을 허락한다.

p 248 인격도 기술이다.

p 257 기술이 불필요하다. 그렇지만 자신의 노력을 통해 최선의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다들 위의 카테고리 가운데 최소한 3분의 2는 사용해야 하지 않을까?

p 315 실패는 창의력 완성의 첫걸음

p 345 헌신과 끈기 없이 롱런은 없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녀고양이 2013-03-06 19: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시행착오하는 과정에서 용기를 북돋아줄 것, 그리고 적절한 힌트를 줄 것...
정답은 없다는 것을 알려줄 것..... 등등등, 생각도 많고 좋은 권유 사항도 많은데 항상 실행이 어렵죠...
진짜로 하려면 막막하거든요. ^^

마립간 2013-03-06 19:30   좋아요 0 | URL
완벽한 부모가 되기 보다 좋은 부모 정도... 그것도 어렵죠.^^ 저의 바람은 모든 부모가 그러하듯 저보다는 나은 사람을 성장하기를 기대, 그것조차 과욕일까요.

마녀고양이 2013-03-06 19:44   좋아요 0 | URL
마립간님은 충분히, 아니 너무나 멋진 분이니,
그보다 더 나은 사람으로 성장하시기를 바라는 것은 과욕이옵니다... 아하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