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랑 3 - 제1부 아, 한반도 조정래 대하소설
조정래 지음 / 해냄 / 2007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양반이라 하면 조선시대 리더 그룹을 말하고 그들은 이론적으로 선비정신에 기반을 두고 있다. 선비정신이란 대의를 위해 목숨을 내 놓을 수 있는 대쪽 같은 정신을 말한다. 송수익 같은 사람이 양반이며 선비정신의 좋은 예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3권에 등장하는 이동만이라는 인물은 동양척식회사의 앞잡이로 소작인들의 토지를 빼앗고 소작료 인상을 주도 하는 등 악행을 일삼아 소작인들의 원성을 사 그들의 기습으로 다리 병신이 되었지만 뉘우치지 않고 더욱 소작인들을 못 살게 굴었다.

 

기구한 운명의 감골댁 동학동민운동에 남편을 잃고 큰 아들 방영근은 하와이로 팔려나갔고 큰 딸 보름이는 늙어빠진 영감탱이 김참봉이 침을 흘리는 통에 무랴부랴 가난한 집으로 시집을 보내고, 둘째 딸 수국이는 언니를 탐냈던 김참봉이 동생까지 넘 보고, 일본인 하시모토가 눈독을 들이고 있었으니 백종두의 아들 백남일이가 강제로 겁탈해 버린다. 막내아들 방대근은 그의 누나를 겁탈한 백남일을 린치하고 가족과 함께 고향을 떠난다. 수국이의 겁탈 장면은 우리나라가 일본에 침략당한 모습과 너무나 흡사하여 가슴이 아팠고 방대근이의 린치는 주권을 찾고자 의병활동에 나선 의병의 모습이었다.

 

장덕풍에게 물건을 받아가는 보부상 김봉구가 나온다. 보부상은 잡화를 지방으로 돌아 다니며 행상하는 자들로써 대부분이 천민출신이었지만 관에서 허가한 관허 상인이었기 때문에 국가의 일정한 보호를 받고 유사시 동원되어 정치적인 활동을 했다. 또한 그들의 단체는 황국중앙총상회에 소속되다가 나중에 황국협회로 바뀐 다음 독립협회 해산시키는데 일조하다가 일제 강점기에 소멸되었다. 그들이 행동강령과 윤리 강령이 있었는데 첫째 망언을 하지 마라. 둘째 도리에 어긋나는 행동을 하지 마라. 셋째 음란한 행위를 하지 마라. 넷째 도둑질을 하지 마라 였다.

그런데 이들이 동민운동과 일제 강점기에 관군과 일본군의 길잡이 노릇을 하였다. 물론 자발적인 참여는 아니었을 것이다. 권력자들에게 모든 것이 나오므로 그들을 배신하는 것 보다 도움도 안 되는 농민을 배신하는 것이 훨씬 쉬웠을 것이다. 또한 수고비까지 챙겨 준다고 하니 거부할 명분은 없었을 것이라 생각한다.

소위 국가 지도자인 왕과 리더 그룹인 양반들도 목숨을 아까워하고 사리사욕을 탐하는데 하물며 못 배우고 가난한 그들을 탓할 수 있겠는가?

조선이 일본에게 나라를 빼앗길 수 밖에 없는 이유들이었다.

 

이것을 교훈 삼아 재발방지를 위해 지도자나 리더 그룹에서 대책을 세워야 할 텐데 여당은 탁상공론에 야당은 반대를 위한 반대에 목메고 있으니 지켜보고 있는 국민의 한 사람으로 답답하기 그지 없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손병흥 2013-01-17 16: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문화유산 아리랑]

詩人/靑山 손병흥

한민족의 혼 얼이 깃든 정신을 이어받아
오랜 세월동안 구전되어온 민요가락으로
눈물 한속에 얼룩져 승화된 민족의 노래

우리문화의 우수성 문화국가 위상을 드높여준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 쾌거이룬 아리랑

이제 다시금 보다 슬기로운 우리들의 지혜모아
지구촌 세계무대에 더욱더 빛을 밝히고 보존하여
계승 발전시켜 나가야할 자랑스러운 우리 문화유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