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을 잘 쓰고 싶다며 어떻게 해야 할까요? 글쓰기 처방전

사람이 의사표현을 하는 방법은 말하기, 글쓰기가 있는데~
글쓰기는 아이들이 참~~ 좋아하지 않는 거 중에 하나인 거 같아요.
말을 잘하는데 글이 잘 안되는 아이들도 있고요.
그럴때는 자기가 한 말을 글로 옮겨보자고 해도~
아이들은 막상 글을 쓰기 어려워해요.
또, 초등학교에 들어가서 독서록, 글쓰기, 일기 숙제 때문에
엄마들인 고민을 하기도 해요.
아이들이 어떻게 하면 글쓰기를 잘 할 수 있을까?
또, 왜!!! 글쓰기가 빨리 늘지 않을까? 라는 이야기도 많이 하죠.
아이들이 글쓰기가 잘 안된다면 이야기 할때~
어른들은 글쓰기가 잘 될까? 어른들은 얼마나 글을 쓸까?라는 걸 생각해보면
아이들의 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거 같아요.
일단, 아이들의 마음을 이해하고 나면
글쓰기가 싫다는 아이들을 재미있게 글쓰기 할 수 있는 방법을 함께 찾아보는 거죠.
동화 작가 채인선의 하루 한 장 글쓰기 처방전은
글쓰기 어려워하고 싫어하는 아이들과 재미있게 해 나갈 수 있는 방법을 알려줘요.
아이들이 글쓰기를 할 때 가장 먼저 하는 말은
뭘 써야할지 모르겠어요.에요.
그건 글감을 찾지 못하는 거에요.
글쓰기를 한다는 것이 특별한 무엇을 써야한다는 생각에서 비롯되는 거 같아요.
글감을 찾았다면 글쓰기의 첫단추를 잘 키운셈이에요.
글쓰기 처방전은 하루에 하나씩 글쓰기를 할 수 있는 글감에 대해서 알려줘요.
이렇게 365일 차근차근 글쓰기를 해 본다면
더 많은 글감을 아이들 스스로 찾아볼 수 있을거에요.

글 쓰기는 싫어도 글을 잘 쓰고 싶은 것이 아이들 마음일거에요.
아이가 글쓰기 실력이 늘지 않는다고 고민하기도 하더라구요.
글쓰기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는 일기가 최고라고해요.
그래서 다양한 일기 쓰기 방법을 알려주는 책들도 많아요.
그 책들에 보면 일기쓰기가 잘 안되는 것 중에 하나가 바로
밤에 일기를 쓰는 거죠.
일기는 왠지 하루를 마무리하는 밤에 써야할 거 같은거죠.
그건 고정관념!!! 그 고정관념을 깨는 거에요.
그리고 일기는 하루중에 가장 기억에 남는 일, 특별한 일이라고 생각하는데,
사실, 매일이 똑같은 하루중에 가장 기억에 남는일, 특별한 일이 얼마나 되겠어요...^^;;
아이들에게 이렇게 이야기 하면 분명, 이런 대답이 돌아와요.
기억에 남는일 없었는데요~ 특별한 일 없었는데요...^^;;
그래서 일기를 어디 다녀와서만 써야한다고 생각하는 아이들도 있어요.
일기에 대한 생각을 바꾸면 좀 더 일기랑 가까워질 수 있어요.
편지일기, 동시일기, 그림일기, 감상일기, 관찰일기 등등
다양한 방법으로 일기를 써 보는 거에요.
우리가 가지고 있는 고정관념이 글쓰기를 방해할 수도 있어요..^^

글쓰기 처방전은 1년 365일 하루하루 글쓰기 글감을 알려줘요.
이 책을 받은 여누는 내년 1월 1일부터 시작한다고...ㅎㅎ
꼭 그럴 필요는 없는데 말이에요.
어쨌든, 아이의 선택이 1월1일부터 시작하고 싶다면 그렇게 하는 걸로....
하지만, 매일매일이 어렵다면 쓰고 싶은 글감부분을 찾아서 써보는 것도 좋을 거 같아요.

아이들과 무엇은 무엇이다 라고 정의를 내려보는 글쓰기를 하면
처음에는 어렵지만, 참 기발한 생각을 하는 경우가 있어요.
글쓰는 것을 아이들이 어떻게 생각하는지 적어보는 것도 좋은 거 같아요.
좀 더 나아가면 왜냐하면~까지 함께 해보면 더 좋더라구요.
여누가 한 정의 중에 기억에 남는 이야기가 있어요.
친구는 무엇이다라는 정의 내리기를 했는데
친구는 피아노다.
왜냐하면 피아노 소리가 다 다른 것처럼 친구들도 모두 다르기 때문이다.
피아노가 소리가 모두 달라 멋진 소리를 내는 것처럼 다른 친구들과 노는 것도 재미있다.
와우~~ 라고 칭찬해 주었어요..^^
다름의 긍정적인 면을 알고 있는 거 같아서 뿌듯했어요.
그리고, 아이들의 글을 보면 엄마들은 지적을 먼저 하죠.
왜냐면, 잘못된 것이 먼저 눈에 들어오거든요..^^;;
하지만, 가장 먼저 해야할 것은 잘못된 부분, 틀린 맞춤법을 지적하는 것보다
잘된 부분을 칭찬해주는 거에요.
그래야~ 다음에 또!! 할 수 있는 힘이 나거든요..


무엇을 써야할지~ 글감 찾는 것이 참 어렵게 느껴지지만
글감은 우리 주변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아이들의 가장 글을 쓰면
~~는 재미있다. 재미있었다. 재미없다. 또 가고 싶다. 좋다. 등등
으로 쓰면 좀 더 길게 쓰라고 이야기하죠.
길게 쓰라는 것은 아이들에게 부담이고, 글을 쓰게 재미없게 만드는 방법인 거 같아요.
길게 쓰라는 말 대신 자세하게 쓰라는 말을 하는 거에요.
자세하게 쓰다보면 좀 더 길어지고, 다양한 글을 쓸 수 있어요.
자세하게 쓸 때 감정을 표현하는 문장 쓰기를 알려주면 좋아요.
아이들이 생각보다 감정을 표현하는 어휘나 문장을 많이 모를 수 있어요.
그럴 때 감정을 표현하는 어휘들을 뽑아서
오늘은 이중에서 어떤 기분이였니 등등으로 하나씩 골라서 써보게 하는 것도 좋아요.

재미있는 글쓰기는 다양한 글감을 접해보는 것인데~
요일로도 만들어 볼 수 있어요.
요일로 만들어 보면서 아이들은 여러가지 다양한 생각을 할 수 있고
재미있는 이야기들도 많이 나올거에요.

삼행시, 오행시 짓기 간단하게 생각할 수도 있지만
막상 해보면 잘 안되는 것중에 하나에요.
독서록 쓰기를 하는데 선생님이 다섯줄 이상 써오라고 했다며~
다섯줄을 채우려고 힘들어 하는 아이를 본 적이 있어요.
또, 그 다섯줄을 느낀점으로 다 채워야한다며....
자기의 느낌점은 재미있다라며...
아이가 참 고민이 되겠죠?
그럴때~ 이렇게 오행시로 해보는 거에요.
오행시를 지어보면서 재미있게 생각해 볼 수 있고,
선생님이 다섯줄 이상이라고 말씀하신 것도 성공할 수 있고요...^^
사실, 이렇게 몇줄 이상 써오기는 아이들에게 참 부담되는 것 중에 하나인 거 같아요.
몇줄이상 써오기 보다~ 어떻게 몇 줄 이상 써보자, 자세히 쓰는 방법을 알려주는 것이 더 좋을 거 같아요.

글을 잘 쓰는 방법중에 첫걸음은 바로 관찰이에요.
그냥 보는 것하고 자세히 보는 것하고는 아주 다르거든요.
한두줄 쓰고 다 썼어요. 더 쓸것이 없어요 라고 이야기하는 아이들에게
더 길게 써야지라고 이야기하면 얼마나 어렵고 싫겠어요.
더 쓸게 없는데 길게 쓰라니....
그럴때 관찰하면서 쓰는 걸 함께 해보면
어느덧 아이들은 미쳐 발견하지 못했던 것들도 발견하고
그러면서 자세히 쓸 수 있는 습관이 만들어지는 거 같아요.

뭘 써야할지 모르겠어요. 라는 아이들에게
다양한 글감을 제시해주고, 예시와 함께 해 볼 수 있게 도와주는
글쓰기 처방전이에요.
365일이니까 365가지의 글감들이 들어 있어요.
이 중에는 아이들이 좋아하는 것도 있을 수 있고,
어려워하는 것도 있을 수 있어요.
일단은 좋아하는 것부터 시작하다보면, 어렵다고 생각되었던 것도 할 수 있게 되요.
우리 어른들도 막상 글을 쓰라고 하면 참 어렵게 느껴지는데~
아이들이 글 쓰기가 잘 안된다고 이야기하면 안될거 같아요..^^
글쓰기가 어려운 것이 아이들에게 당연한거에요.
그 어려운 걸 재미있게 만들고, 재미있게 느낄 수 있도록 도움이 필요한 거 같아요.
써 주는 것이 아니라~ 방법을 알려주는 것이
시간이 걸리더라도, 아이들이 스스로 잘 할 수 있는 방법이고
글쓰는 재미를 느낄 수 있는 방법이에요.

동화작가 채인선의 하루 한 장 글쓰기 처방전의
글쓰기 십계명이에요.
글을 잘 쓰고 싶다면 십계명을 마음속에 넣어보면 좋을 거 같아요.
글쓰기 십계명을 엄마가 기억하고 있고, 아이들이 글을 쓸 때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이 될 거 같아요.
가장 중요한 건 잘 써야겠다는 부담감에서 벗어나 즐겁게 글을 쓴다!!!
그리고 아이들이 글을 쓰고 나서 꼭 다시 읽어보는 퇴고의 습관을 들여주는 것도 좋은 거 같아요.
글쓰기 어렵게 느껴지지만
다양한 글감과, 방법을 통해 재미있게 쓸 수 있어요..
독서록을 쓸 때 느낀점을 쓰라고 하면 아이들이 참 어려워해요.
사실, 책을 보고 모두 어떤 걸 느끼는 것이 아닌데 말이에요.
그럴 때는 아이들이 쓸 수 있는 것을 책을 함께 보면서 찾아보고
기억에 남는 문장에 표시를 해 보는 것도 좋아요.
왜~ 기억에 남는지 이야기 하다보면 느낀점이 스르르 나오거든요.
글쓰기 어렵지만, 하루하루 성실히 하다보면
자연스럽게 글 쓰기를 할 수 있어요.
아이들에게 몇 줄 이상, 느낀점 쓰기, 잘 쓰기, 많이 쓰라고 이야기하기 보다
어떻게 글을 재미있게 쓸 수 있는지, 방법에 대해서 아이들과
다양한 이야기를 할 수 있게 도움을 주는 글쓰기 처방전이에요.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