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의 거짓말 인문학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1
박홍규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1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인문의 출발과 고대의 인문에 대한 이야기다'로 저자는 말문을 열고 있다. 동서양의 지배문화에 대한 비판없는 찬양에 대한 역겨움과 최근의 대중적 인문학의 유행에 대한 우려가 이어지며 '인문학이 필요한 이유는 민주주의를 이루기 위해서'라고 '민주주의를 배신하는 인문학은 백해무익'하다 말하고 있다.

이 책에 대한 이야기를 하며 저자의 머릿말을 인용해 책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이유는, 사실 책을 다 읽었음에도 불구하고 딱히 전적으로 타락한 인문학, 빈곤한 인문학이라는 말에 동의하게 되지 않기 때문이다. '인문학'이라는 제목이 붙어있지만 전체적인 느낌은 교양에세이를 읽은 느낌과 비슷하다. 물론 이건 어쩌면 내가 철학자들과 사상에 대해, 인문사회에 대해 잘 모르기 때문에 저자의 말을 흘려 읽었기 때문일수도 있다. 하지만 지금의 내 기준에서는 그리 새로울 것도 없지만, 새롭게 알게 되는 부분 역시 잘 알지 못하면서 부정적인 측면만을 받아들일 수는 없기때문에 어떤 판단을 내리기가 쉽지 않다.

솔직히 말한다면 오래전에 저자가 쓴 책을 읽어보고 - 환경 관련이었다고 기억하고 있는데, 그 이야기가 너무 와 닿아서 그 후에 또 저자의 다른 글을 기대하며 읽었다가 뭔가 좀 아닌 것 같다는 느낌이 들어 글 읽기를 중단했던 기억이 있다. 구체적인 기억이 떠오르지 않아 처음 '인문학의 거짓말'이라는 책이 있다는 것을 알았을 때 잠시 망설여졌다. 그냥 편하게 내 기준에서 이 책을 재미있게 읽을 수 있을까, 라는 생각이 강했는데 아직까지는 '교양'인문학이라는 관점에서 한번 읽고 넘기는 글로 남을 것 같다.

 

'인문학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에 대한 물음과 그에 대한 방향을 제시한다는 측면에서는 우리가 생각해볼만한 이야기는 많이 담겨있다. 그런데 첫 인문 이야기중 한꼭지인 첫 붓다 이야기에서 '미사용 라틴어를 한국어로 옮기는 신부가 있으면 존경하겠다'라는 표현에서 더 이상 이 책을 읽는 흥미를 잃어버렸다. 2차바티칸 공의회가 언제적 이야기이고, 미사 경문을 우리말로 한 것이 언제적 이야기인데...

그 이후부터는 왠지 저자의 이야기가 사실에 근거한 자신의 주장이라기보다는 조금은 자신의 아집을 보여주는 느낌이 들기 시작해 더욱더 술렁술렁 읽게 되어버렸다.  철학 사상에 대해서는 잘 모르기때문에 다른 관점의 이야기를 할수도 있겠구나 싶기는 했지만 내가 알고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선뜻 받아들이기 힘든 부분이 많은 것도 사실이고. 그리고 결정적으로 가부장적이고 권위주의적인 아버지의 이야기를 하며 자신의 사상과 맞지 않는 부모에게 효도하는 이들을 이해할 수가 없다는 말에서 저자에 대한 선입견이 확고히 생겨버렸기 때문에 그 이후의 글들은 말 그대로 저자의 의견일뿐이구나, 라는 생각으로만 읽게 되어버렸다. 나 역시 그런 부모님에게서 자랐고 마찰도 많았지만 지속적인 설득 과정에서 사상의식의 변화가 이루어지기전에 부모에게 지극정성을 다하는 것이 잘못이라는 생각을 하지는 않는다. 저자의 의도는 그런것이 아니었을지도 모르겠지만 내게는 왠지 자신의 사상과 다르다고 척을 지는 것은 이슬람 근본주의자들과 무엇이 다를까 싶은 것이다.

 

'교양'이라고 하는데 어쩌면 내게 그만한 교양이 없어서 그런 것인지도 모르겠다. 적절한 비유가 되는 것인지 모르겠지만 내게는 이 책이 그런 느낌이다. 성경에 대해 이야기하려면, 성경을 읽어보고 성경의 다양한 해석을 읽은 후 성경이 쓰여진 시대적 상황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 하고 난 후 비판적인 관점에서 이야기를 꺼내야 하는데 이건 마치 성경은 읽어보지도 않고 다른 사람의 비판만 드는 느낌?

그래서 더욱더 인문학에 대해 관심을 갖고 제대로 읽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러고보니 이 책이 바로 그런 의미에서 쓰여진 것이라고 생각한다면 내가 책을 제대로 읽은것이라고도 할 수 있을까...? ;;;;;;;;

한가지 덧붙이자면 우리가 너무 교조주의적 사상에 빠져있어 제대로 비판을 못한다거나 유대인 선민사상에 대한 비판, 팔레스타인과 이슬람에 대해 잘 알 수 없고 그에 대한 자료도 많이 볼 수 없다고 하는데 적어도 나는 번역된 책을 통해서 그에 대한 것들을 많이 접해왔고 새로운 시각을 갖게 된 것도 사실이다. 너무 오래전 이야기만 예로 들지 말고 최근의 자료와 접근해볼만한 인문학에 대한 이야기가 있었다면 좀 더 좋지 않았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