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슬 - 제주4·3의 끝나지 않은 이야기
김금숙, 오멸 원작 / 서해문집 / 201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주 오래전에 들은 이야기가 있다. 수많은 사람들이 흘린 피 때문에 그 피를 머금고 자란 제주의 노란 유채는 빨갛게 피어났고, 한라산에 흐드러지게 핀 진달래는 더욱 붉어졌고, 지천에 널린 조릿대가 불그스름하게 자라났었다는.

나는 어쩌다보니 제주 4.3 유적지 순례를 다니게 되었었고, 아직 철이 없던 그 당시 큰넓궤 동굴을 들어가면서 조금 답답하기는 했지만 그래도 꽤 넓은 동굴이 자연적으로 형성되어 있음에 신기해했을 뿐이었다. 밥 짓는 연기 때문이었다던가... 토벌군에게 발각된 동굴을 빠져나와 바로 앞에 있는 오름을 뛰어 도망가던 사람들을 생각하면서 한번 달려보라고 했을 때, 농담처럼 시작된 그 뜀박질은 곧 절망감을 가져왔었다. 그 오름이라는 것이 야트막한 둔덕이었을뿐만 아니라 사방으로 탁 트여있어서 어디로 뛰어 달아난다 한들 잡히지 않을수가 없는 것이다. 그처럼 실제로 그 동굴에서 생활하던 마을 주민들은 대부분 잡혀 목숨을 잃었다고 한다.

 

영화 [지슬]은 알고 보면 볼수록 더 마음이 죄어드는 영화였다. 품고 있는 내용의 잔혹한 슬픔과는 다르게 너무나 아름답게 보여지는 영상이 더 마음을 아프게 했다. 한동네에 살면서 이웃집 아줌마 아저씨는 모두 삼춘이 되는 괸당문화를 굳이 끄집어내지 않더라도, 거지가 없다는 것은 누구나 다 함께 나누며 공동체로 살아가는 사람들이라는 것을 강조하지 않아도, 이념이나 사상과는 상관없이 싸우더라도 뒤돌아서면 서로를 보듬는 이들이었는데.. 그런 공동체를 무참히 깨어버린 이들의 실체는 무엇인가.

 

사실 이 책은 제주 4.3에 대한 배경 지식 없이 본다면 저게 무슨 의미인 것일까, 싶은 장면들이 있을 것이다. 알고 보면 볼수록 더 마음이 죄어드는 것이란 바로 그런 부분들이다. 그리고 몇몇 장면에 대해서는 참을 수 없는 분노가 치밀어 오르기도 한다. 물론 별다른 지식없이 본다해도 그리 큰 무리는 없겠지만 수묵채색 한 컷에 담겨있는 그림을 더 자세히 들여다보기 위해서는 제주 4.3에 대해 기본적인 지식은 알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영화를 보면서는 간간이 웃음을 터트리기도 했다고 기억한다. 굳이 자막을 보지 않아도 그들이 하는 말과 행동이 자연스럽게 흡수되는 제주도 사람인 나는 그들의 농담에 커다랗게 웃을수도 있었지만 그만큼 그들의 비참한 죽음 앞에 더 마음이 아프기도 했다. 4.3을 겪지 않아 섣불리 말할 수 없는 세대여서 겁도없이 해마다 4.3이 되면 거리로 나가 진실규명을 위한 시위를 했었던것이 머나먼 과거의 일처럼 느껴지지만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지금까지도 4.3에 대해 이야기하기를 꺼리는 어르신들을 보면 아직도 4.3은 끝나지 않았다는 것을 실감하게 된다.

 

영화의 이야기를 거의 그대로 옮겨놓은 듯 보이는 그래픽노블 지슬은 좀 더 담담하고 애잔하다. 영화가 아름다운 영상미와 제주도 특유의 사투리가 뒤섞여 정적이면서도 역동적인 느낌을 줬다면 이 책은 하얀 여백에 스며든 그림들을 보면서 좀 더 차분히 4.3에 대해 생각해보게 해주었다.

그래서 영화를 못 보신 분들에게는 영화를 권해주고 싶고, 영화와 똑같은데 굳이 이 책을 봐야할까 라고 묻는 분들에게도 이 책을 권해주고 싶다.

제주 4.3에 대해 자신의 생각과 이념을 강요하지 않고 그저 상황 그대로를 보여주는 듯한 관객의 시선으로 이야기를 따라가다보면 무엇을 이야기하려고 하는지 깨닫게 될 것이다. 아픔과 분노가 보복이 아니라 상생이 되어야 함을, 아니 섬사람들은 모두 상생의 치유로 평화의 섬을 만들어나갈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는 생각을 한다.

현실같지 않은 이 이야기들이, 이보다 더 가슴아프고 처참하게 짓이겨진 우리 부모님, 부모님의 부모님들의 삶의 이야기가 완전히 치유될수는 없겠지만 이 책을 시작으로 수묵이 번져나가듯 조금씩 스며들어 나오면서 한을 풀어내고, 우리 모두의 어루만짐으로 모두의 상처가 조금씩 아물어지기를 소망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