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사진을 클릭하면 Daum 블로그로 이동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위 사진을 클릭하시면 네이버 블로그로 이동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위 사진을 클릭하시면 네이버 카페로 이동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흔들리지 않고 피어나는 삶은 없다!

무수한 고난과 시련, 역경을 극복하고 우뚝 선 이들의 불꽃같은 삶

 

 

“살면서 한 번도 쓰러지지 않는 사람은 없다”

뜨거운 열정과 도전, 투혼이 만들어낸 불꽃같은 삶!

 

시인 도종환은 이렇게 노래한 바 있다.

 

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

이 세상 그 어떤 아름다운 꽃들도

다 흔들리면서 피어난다.

 

그렇다. 흔들리지 않고 피어나는 삶은 없다. 누구나 몇 번쯤 넘어지고, 상처를 받는다. 그것이 바로 인생이다. 하지만 이때 사람들의 선택은 둘로 나뉜다. 다시 일어서서 달리는 자와 그대로 멈춰버리는 자. 그 선택에 누구도 간여할 수 없다. 자신을 일으켜 세우는 것은 자기 자신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적당한 고통과 고난은 우리로 하여금 삶에 대한 의지를 더 강하게 북돋아주는 역할을 하는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고통과 고난 역시 삶의 한 부분이라는 사실을 받아들여야만 하지 않을까.

 

여기 뜨거운 열정과 도전, 투혼이 만들어낸 불꽃같은 삶을 산 이들이 있다. 팔과 다리 없이 태어났지만 전 세계를 누비며 희망을 전파하는 닉 부이치치, 빈민촌에서 태어나 제대로 먹지도 배우지도 못했을 뿐만 아니라 사랑하는 아내와 아이를 잃는 지옥 같은 고통을 겪어야 했던 브라질 전 대통령 룰라, 초등학교도 나오지 못했지만 온갖 역경 끝에 세계적인 기업을 일구며 ‘경영의 신’ 반열에 오른 마쓰시타 고노스케. 20세기 최고의 화가 가운데 한 명으로 꼽히는 프리다 칼로 역시 마찬가지다. 그녀는 어린 시절 걸린 소아마비로 인해 왼쪽 다리를 평생 절어야 했고, 버스와 전차가 충돌하는 사고로 하반신이 마비되는 고통을 겪어야 했다.

 

이처럼 그들의 처음 시작은 무수한 고통과 시련의 연속이었다. 하지만 그들은 스스로 이를 극복해냈다. 과연 그 비결은 무엇일까. 무엇이 그들로 하여금 무수한 고난과 시련, 역경을 극복하고 정상에 우뚝 설 수 있도록 했을까. 그러자면 그들의 뜨거운 열정과 도전, 투혼이 만들어낸 불꽃같은 삶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수없이 다치고, 상처받으면서도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스스로의 운명을 열어갔던 이들의 아름다운 열정과 투혼!

 

[다치고, 상처받고, 그래도 나는 다시]에는 총 10명의 인물이 등장한다.

그들의 처음 시작은 무수한 고통과 시련의 연속이었다. 하지만 그들은 스스로 이를 극복해냈다. 무엇이 그들로 하여금 무수한 고난과 시련, 역경을 극복하고 정상에 우뚝 설 수 있도록 했을까.

 

책은 무수한 고통과 시련을 딛고 일어선 주인공들의 파란만장한 삶과 뜨거운 열정, 도전, 그리고 투혼을 오롯이 담고 있다. 여기에 그들이 직접 몸으로 부딪히면서 터득한 삶의 지혜 및 솔루션을 통해 살면서 넘어졌을 때 다시 일어나 스스로의 인생을 개척해나갈 수 있었던 방법을 제시한다. 이에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 특히 젊은 날의 상처와 번뇌를 가득 안고 살아가는 이들에게 의미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많이 넘어진 사람일수록 쉽게 일어선다. 그러나 넘어지지 않는 방법만을 배운 사람은 일어서는 법을 모르게 된다.”는 말이 있다. 이에 온몸으로 역경을 헤쳐나간 주인공들은 우리에게 이렇게 말한다.

“다치고, 상처받고, 그래도 나는 다시.”

 

 

“자신을 일으켜 세우는 것은 오직 자기 자신뿐이다”

온몸으로 삶의 역경을 헤쳐나간 이들이 들려주는 삶의 열정  

 

“다시 일어설 수 있다면 몇 번쯤 넘어져도 괜찮다. 많이 넘어진 사람일수록 쉽게 일어선다. 새로운 도전 없이는 인생은 결코 바뀌지 않는다. 다치고, 상처받고, 그래도 나는 다시.”

 

온몸으로 인생의 역경을 헤쳐나간 불굴의 인물들의 삶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그들의 아름다운 투혼과 열정, 끊임없는 도전정신이 깊은 울림과 감동을 주기 때문이다. 이는 그들이 무수한 고통과 시련을 딛고 일어서서 스스로 운명을 열어가는 참된 용기와 희망을 보여주었기 때문이다.

 

이 책에는 총 10명의 인물이 등장한다. 그들 대부분은 생각하기조차 싫은 불우하고 고통스러운 시절을 보내야 했다. 하지만 그런 악조건 속에서도 자신의 꿈과 희망을 잃지 않았다. 이에 수없이 넘어지고 깨지면서도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자신의 삶을 스스로 개척해 나아갔다.

 

“실패가 두려워 다시 시도하지 않는다면 아마 두 번 다시 일어나지 못할 것이다. 그러나 실패를 뛰어넘어 다시 시도한다면 그것은 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이 될 것이다. 때문에 삶의 고난은 어떻게 이겨내느냐가 중요하다.”

 

책은 무수한 고통과 시련을 딛고 일어선 주인공들의 파란만장한 삶과 뜨거운 열정, 도전, 그리고 투혼을 오롯이 담고 있다. 여기에 그들이 직접 몸으로 부딪히면서 터득한 삶의 지혜 및 솔루션을 통해 살면서 넘어졌을 때 다시 일어나 스스로의 인생을 개척해나갈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삶에 결코 다음이란 없다! 이것이 우리가 매일 최선을 다해야 하는 이유다”

 

▴한 순간도 희망을 잃지 마라! - 고난과 시련을 긍정적인 관점에서 보고 도전하는 삶이야말로 성공으로 가는 첫 번째 단계다.

___ 룰라, 브라질 전 대통령

 

▴고난과 시련을 도전의 기회로 삼아라! - 많이 넘어진 사람일수록 쉽게 일어서는 법이다. 넘어지지 않는 방법만 배운 사람은 일어서는 법을 모른다. ___ 마쓰시타 고노스케, 일본 <파나소닉> 창업자

 

▴실패를 두려워하지 마라! - 실패가 두려워 다시 시도하지 않으면 삶 역시 거기서 멈추게 된다.

___ 닉 부이치치, 팔·다리 없이 전 세계를 누비는 희망 전도사

 

▴더 이상 흘러간 시간, 상처에 얽매이지 마라! - 누구도 시간을 돌이킬 수 없다. 현실을 인정하고 미래를 향해 나아가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___ 프리다 칼로, 멕시코 출신 천재화가

 

▴삶의 목표가 있어야 한다! - ‘무엇을 하며, 어떻게 살 것이냐’가 인생의 중요한 목적이 되어야 한다.

 ___ 콘돌리자 라이스, 미국 최초 여성 국무장관

 

▴자기 자신이 최고라고 믿어라! - 자기 자신에 대한 강력한 믿음은 자신을 성장시키는 최고의 지름길이다.

___ 손정의, 일본 <소프트뱅크> 회장

 

▴결코, 결코, 결코 포기하지 마라! - 최악의 상황에도 가슴에 간직한 희망과 꿈을 포기하지 않는 사람이 결국 성공한다.

___ 서진규, <희망연구소> 소장

 

▴나만의 무기를 만들어라! - 끊임없이 자기 자신을 갈고 닦지 않으면 결코 살아남을 수 없다. ___ 이철호, 노르웨이 라면왕

 

▴가슴 뛰는 일을 찾아라! - 자신이 좋아하는 일에 미친 사람만이 최고가 될 수 있다. ___ 허영호, 산악인

 

▴삶에 열정과 투혼을 더하라! - 스스로 빛을 내야만 인생을 아름답게 수놓을 수 있다. ___ 김태연, 미국 <TYK그룹> 회장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선비들의 곡진하고 절절한 문장과 마주하다

 

 

유학과 경전에 익숙한 지엄하고 체면을 중시하는 선비들이 아닌
한 인간으로서 맨얼굴을 한 선비들의 속마음을 읽다!

삶을 공유했던 가까운 이들의 죽음이야말로 우리 삶에 있어서 가장 큰 고통이다.

그 중 가장 큰 고통은 가족의 죽음이다.

그래서 가족이 죽어 슬픔을 묘사하는 말에는 대부분 아픔을 의미하는 ‘통()’이 붙는다.

아버지를 잃은 슬픔은 하늘이 무너지는 고통과 같다는 뜻의 ‘천붕지통()’,

남편을 여읜 아내의 아픔은 성()이 무너져 내리는 듯한 고통이라는 ‘붕성지통()’이 그 예이다.

‘서하지통(西)’ 역시 아들 잃은 부모의 고통을 전할 때 쓰인다. 서하라는 지방에 살던 공자의 제자 자하가

아들이 죽자 너무 상심하여 눈이 멀었다는 데서 유래한 말이다.


흔히 자식을 잃은 부모의 슬픔은 창자가 끊어지는 아픔,

즉 ‘단장지애()’라고 하니 그 통증은 짐작도 불가능하다.

소설가 박완서는 외아들을 갑자기 잃고 난 후 부모의 슬픔을 기록한 글 《한마디만 하소서》에서

그 고통을 ‘참척()’이라고 표현했다.

참척의 사전적 의미는 자손이 부모나 조부모보다 먼저 죽는 일을 뜻하지만

너무나 처절하고 참담해 가늠조차 안 되는 슬픔을 나타날 때 쓰인다.

 

그렇다면 체면을 중시하고 절제를 중시했던

조선 선비들은 과연 그 슬픔을 어떻게 표현했을까?

사랑하는 자식과 아내, 형제자매, 벗, 스승 등 소중한 사람을 잃은 뒤 비어져 나오는 슬픔은

선비들이라고 해서 크게 다르지 않았다.

그들은 슬픈 가슴을 부여잡고 소리 없이 통곡했다.


자식과 아내, 가족, 벗의 죽음 앞에 미어진 가슴
조선 선비들의 절절하고 곡진한 통곡의 문장 44편!



“네가 떠난 뒤로 흙덩이처럼 방 안에 앉아 하루 종일 멍하니 벽만 바라보고 있단다.

앉아서는 무슨 일을 해야 할지 모르겠고,

나가서는 어디로 가야 할지 모르겠구나. 혹은 책을 펼쳐놓고 한숨을 내쉬고,

혹은 밥상을 앞에 놓고 탄식하며, 혹은 그림자를 보며 중얼거리기도 한단다.

산을 보아도 네가 떠오르고, 물가에 가도 네가 떠오르며,

평대의 솔바람 소리를 들어도 네가 떠오르고, 달밤에 작은 배를 보아도 네가 떠오르니,

언제 어디서나 모두 네 생각뿐이로구나.

하지만 너의 자취는 이미 연기처럼 먼지가 되어 사라졌으니,

찾아도 보이지 않고 구해도 얻을 수가 없구나.”

조선 후기 평론가로 이름을 날린 이하곤이 맏딸 봉혜의 죽음을 맞아 통곡하며 쓴

《곡봉혜문》의 일부이다. 그는 갑작스런 여섯 살짜리 딸아이의 죽음 앞에

 “심장이 찔리고 뼈가 깎이는 참혹한 고통”이라는 통절한 표현을 썼다.


다산 정약용 역시 네 살짜리 막내아들의 갑작스런 죽음 앞에 “간장을 후벼 파는 슬픔”이라며

 

 참척의 아픔을 토로했다.

여기에는 지엄하고, 체면을 중시했던 선비가 아닌 아픈 자식에게 아무것도 해줄 수 없었던

한 아버지로서의 애절함과 비통함이 가득 담겨 있다.

이는 익히 우리가 알고 있던 선비들의 모습과는 완연히 다르다.

 

그들은 슬픔을 좀체 겉으로 드러내지 않았다.

슬픔을 애써 삭이며 마음속으로만 울어야 하는 절제를 미덕으로 삼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가슴속에 똬리를 튼 애통함은 어찌할 것인가.


사랑하는 자식과 아내, 가족, 벗, 스승의 죽음 앞에 미어진 가슴을 부여잡고 소리 없이 울었던

조선 선비들의 절절하고 곡진한 문장 44편을 담았다.

이를 통해 유학과 경전에 익숙한 지엄하고 체면을 중시했던 선비들이 아닌

 한 인간으로 돌아가 따뜻한 마음을 지닌 한 아버지이자 남편으로서의

 선비들의 절절한 슬픔 및 눈물, 아픔을 만날 수 있다.
소중한 사람을 먼저 떠나보낸 딸깍발이들은 글자 한 자 한 자에 절절함과 애달픔을 녹였다.

조선이니, 유교니 하는 말을 완고하고 억압적인 가부장제와 동일시하기 십상인

우리에게는 매우 색다른 글들이 아닐 수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