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영란 교수님의 사춘기에 큰 영향을 끼쳐다는 토마스 만의 <토니오 크뢰거>

 "저도 토니오처럼 세상 밖에서 세상을 바라보고 세상에 관한 글을 쓰고 싶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끝없이 공부를 해야겠다고 마음을 먹었습니다." 

 

그리고 이를 확장하는 독서, <흡혈귀의 비상>과 <고습도치와 여우>

 

 

 

 

 

 

 

 

 

 

 

 

 

 

 

 

2. 쓸모없는 독서의 쓸모를 알게 해준, 마사 누스바움의 <시적 정의>

 

 

 

 

 

   "누스바움은 내가 읽어온 책들이 내게 '공감'이라는 훈련을 시켜주어서 내가 현실에서 사건을 보고 판결을 하는 자세에 영향을 주었다고 말해주고 있었습니다. 그러니 직업적으로도 꽤나 쓸모가 있었던 셈입니다."

 

 

 

 

 

3. 세상을 바꿀 수 있는 상상력을 키워주는 어슐러 르 귄의 <빼앗긴 자들>

 

'진리는 상상의 문제다'

 

 

 

 

 

 

 

 

 

 

 

 

 

 

4, 책읽기의 의미를 깨닫게 한 보르헤스의 <바벨의 도서관>

 

"책을 읽는다는 것은 보르헤스의 말처럼 나 자신을 찾는 일이기도 합니다. 나에 대해 기록한 단 하나의 책을 찾는 것 말이지요."

 

 

 

 

 

 

 

 

 

 

 

 

 

 

5. 법의 세계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책.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초대 헌법재판소장을 역임한 알비 삭스의<블루 드레스>, 그리고 <돈키호테> <동물농장> <파리대왕>및 찰스 디킨스의 소설들

 

 

 

 

 

 

 

 

 

 

 

 

 

 

 

 

 

 

 

 

 

 

 

 

 

 

 

 

 

 

5. 오에 겐자부로의 <말의 정의> -' 사랑에게는 몇권의 책인 필요할까'-

에드워드 사이드의 <말년의 양식에 관하여>

 

 

 

 

 

 

 

 

 

 

 

 

 

 

=======================

창비에서 나온 <공부의 시대> 시리즈중 하나인 김영란 전대법관의 강의록.

다른 사람의 책읽기에 대해 읽는 것은 언제나 즐거운 일이지만, 소위 김영란법이라 불리는 부정청탁방지법에 대해 전적으로 찬성하고 또 찬성하는 입장이기에, 그녀를 만든(?) 수많은 책들에 대해 특별히 감사하는 마음으로 더욱 즐겁게 읽었다.   

 

특히, 책말미에 수록된 소수자의 권리를 옹호하게 된 계기를 묻는 질문에 대한 그녀의 멋진 답변이 무척 기억에 남는다.

 

" 여성으로서의 삶 자체가 소수자로서의 삶이었던 시대(지금은 다른가요?)를 살아왔던 제게 소수자의 권리를 옹호해야 한다는 것은 따로 계기가 필요하거나 배워야 할 필요가 없는, 마치 평상복처럼 자연스러울 수밖에 없는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기억해두고 싶은 몇 줄.

 

이야기는 상상력을 자극할 뿐 아니라 세계의 구조를 반영하고 있기도 합니다. 그래서 이야기를 들려준다는 것은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세계, 앞으로 자신이 살아갈 세계의 구조를 인식하고 이해하는 힘을 키워주는 것입니다. 그래서 특정한 지식을 가르치는 것보다 훨씬 더 튼튼한 기초를 놓아주는 것이죠.

제게는 책 속으로의 여행 그 자체가 불경에서 말하는 `무애의 경지`를 향해가는 여행이었다고 하면 어떨까요. 달리 명상을 하지 않는 제게는 책이 나에게 들려주는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는 것이 곧 명상이 아니었나 하는 것이지요. 책을 읽는 것이 그 자체로 저를 닦는 것은 아니었을까 합니다. 수양의 방편으로 책 읽기를 택한 것은 아니지만 결과적으로는 그리 되었다는 것이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