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도세자가 꿈꾼 나라 - 250년 만에 쓰는 사도세자의 묘지명, 개정판
이덕일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현세자와 사도세자.. 역사라는 틀에서 가장 서글픈 이름이 아닐까 싶다. 세자였으나 왕이 되지 못한. 그러나 그들이 왕이 되었다면 조선의 역사는 크게 달라지지 않았을까 싶은 생각을 떨쳐낼 수 없는 아쉬움을 남겨주는 이름이기에 하는 말이다. 흔히들 말한다. 역사는 살아남은 자에 의해 기록되어진다고. 그리하여 역사는 이긴 자의 흔적이라고. 잘못되었거나 아팠던 흔적들은 지워진다. 살아남은 자에게 得보다 失을 안겨줄 이야기라면 없어질 수 밖에 없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그렇게 사라진 이야기들을 찾아내는 발길이 보이기 시작한다. 잘못되었다고 생각하는 것을 바로 잡으려 시도하는 몇몇의 손길도 보인다. 바로 잡을 수 없다면 제대로 알아야 한다고 외치는 작은 목소리도 듣게 된다. 하나의 사건을 놓고 서로의 의견을 달리하여 시시비비를 가린다. 가끔 목소리만 크게 하여 외칠때도 있지만 요목조목 근거를 들어가며 따져 묻는 경우도 종종 보인다. 소리없는 싸움을 벌일때도 있다. 오류는 바로잡아야 마땅하겠지만 판단은 내 몫이다. 그래서 그 새로운 시각에 호기심이 인다. 그런 사람, 이덕일의 작품이라기에 유혹을 느끼기에 충분했다. 정조의 아버지 사도세자, 아니 장헌세자는 뒤주에 갇혀 생을 마감할 때까지 어떤 생각, 어떤 이념으로 살았을까? 적지않은 나이에도 불구하고 뒤주에 들어가야만 했던 그의 상실감은 과연 얼만큼의 크기였을까?  많은 역사서를 찾아가며 내용을 정리했을 저자의 노력이 책속에 흥건하다.

 

사도세자의 아내였던 혜경궁 홍씨. 일전에 그녀의 작품 <한중록>을 읽었다.  한 여인의 절절한 심정이 느껴지는 글이라는 <한중룩>은 이 책에서도 말한바와 같이 모두 4편으로 되어있다.  처음엔 혜경궁 자신의 이야기로 시작하여 세자빈으로 간택되어져 오랜 세월동안 궁중에서 지냈던 일을 회고한다. 그러나 거기에서도 남편인 사도세자의 비극에 관한 이야기는 없다. 단지 영조와 사도세자, 父子간의 이야기만이 있을 뿐이다.  손자인 순조에게 말하듯이 써내려간 뒷편의 이야기에는 모두 자신의 친정과 얽힌 이야기들이다. 사실 그 책을 보면서 '泣血錄'이라고까지 말할 수 있다는 애절한 슬픔은 느끼지 못했었다. 그런데 이 책을 보면서 나는 왜 그런 생각을 하지 못했을까 싶은 부분이 있었다. '閑中錄'이라는 제목이다. 그저 보이는대로만 해석한다면 '한가한 중에 남긴다'는 말인데, 그 제목을 보면서도 왜 나는 오로지 '恨'스러움이 느껴지는 말로만 생각했었을까?  사도세자가 살았던 영조시대에 관한 이야기는 세상에 많이 떠돈다. 그러니 더이상 말 할 필요가 있을까 싶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차근차근 책을 읽다보니 먼저 세상을 떠나야 했던 소현세자의 이야기가 오버랩되어왔다. 그들이 죽임을 당하지 않았다면 분명코 바뀌었을 우리의 역사. 자식을 죽여야만 했던 아버지의 욕망이 살짝 비틀려져 우리에게 다가왔다는 것 자체가 나는 씁쓸했다.

 

이책은 논란의 중심에서 자신의 주장을 펼쳐보이기 위해 다시 쓰여진 책인 듯 하다. 앞서 <사도세자의 고백>이라는 책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시 쓰여질 수 밖에 없었던 이유에 대한 설명이 '사도세자를 두 번 죽이는 사람들'이라는 부제를 붙여놓은 들어가는 글에서 보인다. 프롤로그에서 다루어주는 '노회한 정객, 혜경궁의 진실'은 이 책의 주장에 어느정도는 공감대를 형성하게 만들기도 한다. 물론 어느정도는 개인적인 논리가 들어갔겠지만 사도세자를 정신이상자로 몰아가고 있는 사실에 대한 반박을, 많은 사료를 근거로 제시하며 하나씩 증명해가고 있는 까닭이다. 아울러 정조 독살설에 관한 의견까지 피력하고 있다. 일전에 역사강의를 듣다가 정조는 제 수명을 다 살고 간 것이라고 흘리듯 뱉어내던 강사의 목소리가 떠올라 흥미로운 대립이라는 생각에 살풋 웃어보기도 했다. 그런 대립이 있음으로해서 나같은 역사의 문외한은 한번 더 생각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니 하는 말이다. 반론을 제시할 수 있어 어쩌면 우리의 역사가 바로잡힐 수 있는 기회도 생겨나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어쨌거나 조금 과한 면이 없지 않아 있긴 했어도 내게는 흥미로운 주제였다. 아울러 생각치 못했던 사실들을 접하게 되어 고마운 부분도 많았다. 역사에 관한 오류를 바로 잡아야 한다는 논리싸움은 아직도 현재진행형이다. 반론을 제기하지 못하는 사회는 서글프다. '다름'을 인정하지 않고 '틀림'으로 간주하여 죽어야 했던 많은 이름을 떠올린다. '생각이 다르면 안쓰면 그만이지 죽이기까지 할 건 없지 않느냐'고 했다던 윤휴의 말이 떠오른다. 가장 슬픈 건 지금의 사회가 그토록이나 시끄러웠던 영조의 시대와 닮아있다는 말이었다. 누군가 또다른 희생양이 되어야하는 역사가 반복된다는 건 어리석은 일임에 분명하다. '현재의 문제에 대한 답은 역사속에 있다' 라는 말을 다시 또 되새긴다. /아이비생각

<이 글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책을 읽고 작성되었습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진 2011-12-21 18: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이비님, 저도 사도세자 완전 좋아해요.
헤경궁 홍씨와 그녀의 [한중록]도 무척이요.
그래서 더 멋진 리뷰 같은 걸요 ^^

아이비 2011-12-26 13:31   좋아요 0 | URL
개인적으로 이덕일님의 책을 흥미롭게 보고 있답니다.
흔적 남겨주셔서 고맙습니다.
올해 남은 시간도 알차게 마무리하시고, 기쁨 가득하시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