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젠가 다락방님 글에 댓글로 남긴 적이 있는데, 내 알라딘 블로그 주소는 팝 가수 핑크에게 보내는 사랑고백이다. 이 블로그를 만들었던 2004년의 나는 그만큼 핑크에게 빠져있었던 것이다. 2004년을 떠올리면, 참 철없던 시절이었다는 생각부터 먼저 든다. 폭력 사건으로 인해 다니던 학원을 그만두는 걸로 한 해를 시작했다. 낯선 서울 땅에서 혼자 좁은 고시원에 처박혀 시간을 보내기만 했다. 패배감, 상실감, 좌절감, 자기 혐오로 미칠 것 같은 시간들이었다. 하루종일 말 한마디도 하지 않은 날도 여러날이었다. 다시 사람들을 만나고, 일을 찾아보기까지 얼마나 오래 그런 시간을 보냈을까?


단언컨데 우울증 같은 것은 아니었다. 그건 분명 이유가 있는 침몰이자, 침잠이었다. 나 자신에게로 깊이, 더 깊이 빠져들었던 날들. 당시에 좁은 고시원 침대에서 나는 책을 읽고, 음악을 듣고, 만화책을 보고, 옆방 여학생이 남자친구를 데려와 내지르는 교성에 짜증을 내다가 게임방에 가서 밤새 게임을 하곤 했다. 당시 나는 부산 깡통시장에서 산 일제 씨디 플레이어가 하나 있었다. 책을 제외하고는 내 전 재산이나 다름없는 소중한 물건이었다. 손바닥보다 조금 더 큰 딱 씨디 크기만한 플레이어로 핑크, 알라니스 모리셋, 크랜베리스, 나탈리 임부를리아, 로렌 크리스티, 데비 깁슨, 셰릴 크로우, 코어스, 셀린 디온, 머라이어 캐리, 샤니아 트웨인, 시네이드 오코너, 사라 맥라클란, 비요크, 사라 브라이트만, 포 넌 블론즈, 에이스 오브 베이스, 야끼다, 조안 오스번, 크리스티나 아길레라, 브리트니 스피어스, 티엘씨, 브랜디, 모니카, 데스티니스 차일드, 알리야, 바넷사 칼튼, 미쉘 브랜치, 켈리 클락슨, 에이브릴 라빈, 에반에센스 등을 들었다.


이 시절 특히 즐겨 들었던 노래는 핑크의 <Don't let me get me> 였다. 노랫말을 정확하게 해석하지는 못했지만 한구절 한구절이 모두 내 이야기인 듯 느껴졌다. 이 노래를 처음 들었던 건 언제였을까? 아마 아직 학교를 졸업하기 전의 어느 시기였던 걸로 기억한다. 이 날이 아마 핑크에게 푹 빠진 첫 날이었을 것이다. 누워서 티비를 보고 있었다. 지금도 생생하게 기억하는 그 순간, 주변 풍경이 좁고 지저분한 자취방이 아니었던 걸 보면, 아마 부모님 집에 잠시 다녀가는 일 년에 몇 번 되지 않는 날 중 하나였을 것이다. 마구 채널을 돌리다 우연히 핑크의 라이브 영상을 보게 되었다. 핑크는 반주가 시작되자 갑자기 무대 바닥에 드러누웠고, 그 상태로 노래를 부르기 시작했다.(노래 가사가 I'm lyin' here on the floor 로 시작한다.) 잠시 그렇게 누워서 노래를 부르다가, 서서히 분위기가 고조되면서 문득 일어난 후에는, 무대 위를 방방 뛰어다니며 노래를 불렀다. 폭발적인 가창력과 환상적인 무대 매너에 완전 빠져들 수 밖에 없었다. 무엇보다 누워서 노래를 시작했다는 점을 잊을 수가 없었다. 그때 들었던 노래가 바로 <just like a pill> 였고, 뒤이어 부른 노래가 <Don't let me get me> 였다. 두 곡 모두 무척 마음에 들었다.

 


 


 


 

나중에 핑크를 검색하면서 더 다양한 이야기들을 알아냈다. 한때 정말 자주 들었던 노래, <what's up>을 부른 포 넌 블론즈의 린다 페이와 핑크의 일화는 제법 재미있었다. 어려서부터 좋아했던 가수를 찾기 위해 전화번호부를 찾아보고, 매일 전화하고, 심지어 찾아가기도 하면서 설득해 같이 음반 작업을 했고, 그 2집 앨범이 어마어마한 히트를 쳤다는 이야기. (내가 처음 듣고 바로 반해버렸던 두 곡 모두 그 앨범에 들어있는 곡) 핑크의 열정이 얼마나 대단한 지 알게 되고, 린다 페리와 핑크가 얼마나 친해졌는지를 읽으며 한때 좋아했던 가수와 최근 좋아하는 가수가 서로 이렇게 깊은 인연이었다는 이야기가 또 신기했다.(나중에 알게된 핑크와 크리스티나 아길레라의 불화에도 린다 페리가 관련되어 있었다.)












당시 저 두 곡 외에도 <Family Portrait>와 <Get the Party Started> 등의 2집 수록곡들을 다 좋아했다. 하지만 역시 가장 좋아했던 건, 내 처지를 노래하는 듯한 <Don't let me get me> 였다. 난 하나에 빠지면 정말 미친듯이 빠지는데, 노래 한 곡을 수없이 반복해서 듣기도 했다.


점점 시간이 흘러 바쁜 일상을 살아가면서, 노래를 들을 여유가 없어지고, 그렇게 좋아했던 핑크의 노래를 찾아 들을 여유조차 없는 삶을 살아가다가 문득 핑크의 노래를 듣게 되면 그렇게 반가울 수가 없다. 모르는 노래라도 그 특유의 목소리를 못 알아볼 수는 없다. 


미국 드라마 글리에 등장해서 더 반가웠던 <Raise Your Glass>와 저번에 다락방님의 글에서 만난 <Just Give Me a Reason>는 최근 자주 듣는 노래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4-10-30 09:16   URL
비밀 댓글입니다.

감은빛 2014-11-08 23:31   좋아요 0 | URL
가끔 들르긴했는데, 다른 사람 글을 읽을 여유도, 뭔가 끄적거릴 여유도 없었어요.
한동안 책도 거의 안 읽고 살았던 터라, 책 얘기도 할 게 없었구요.
날이 추워지니 따뜻한 방에서 이불 덮어쓰고 책 좀 읽었으면 좋겠네요.
 

빨치산의 애창곡, 악보도 없이 구전되던 금지곡

부용산

 

도서관 서가에서 창비 20세기한국소설 전집을 펼쳐든 것은 순전히 우연이었다. 도서관 문 닫을 시간이 다 되어 읽고 있던 책을 서가에 꽂아두고, 아내와 아이들이 일어서기를 기다리려는데, 아직 시간이 몇 분 남았기에 생각없이 서가를 훑다가 무심코 집어들었다. 거기서 '부용산'을 만났다. 최성각 선생은 그저 환경운동가로서만 알았을 뿐, 그의 글은 제대로 읽은 적이 없었다. 기억을 더듬어보면 산문을 스쳐 읽은 기억은 있었지만 소설은 한 편도 접해보지 못했다. 궁금했다. 마침 분량도 짧아서 금방 읽어 갔다. '부용산'이란 노래를 접하고 그에 얽힌 이야기를 알아가는 내용이었다. 읽으며 이게 실제 노래에 얽힌 이야기를 바탕으로 만든 내용인 듯한 느낌을 받았다. 등장인물 중에 한겨레 김종철 논설위원이 있어서 지어낸 이야기가 아닌 실화라는 생각에 무게을 실어줬다. 

 

역시 나중에 찾아보니 부용산에 얽힌 이야기는 모두 사실이었다. 한국일보 김성우 논설위원이 두 차례에 걸쳐 쓴 글과 경기대 김효자 교수와 월북한 작곡가 안성현과 호주로 이민 간 작사가 박기동에 대한 내용 모두 사실이었다. 여러개의 토막 글을 찾아보다가 이 내용을 잘 정리해놓은 페이지를 발견했다. 이 페이지의 내용이 사실이라면 소설과 다른 지점이 있다. 소설에서는 작곡가 안성현이 무용가 최승희의 남편 안막의 조카라고 소개한다. 하지만 이 페이지의 각주에는 그런 추측이 있다고 안내하면서 사실이 아닐거라고 말한다. 근거로는 북한에서 안막과 최승희가 숙청당할 때, 안성현은 살아남았고, 이후 인민예술가 칭호까지 받았다는 점을 들고 있다.

 

 

노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요 아래 페이지를 참고하세요.

http://mirror.enha.kr/wiki/%EB%B6%80%EC%9A%A9%EC%82%B0#rfn4

 

그리고 호주로 이민갔던 박기동이 영구 귀국했다가 돌아가셨다는 이야기와 연극인 손숙의 남편인 김성옥이 호주로 박기동을 찾아가 부용산의 2절 가사를 받았다는 이야기도 새롭게 알았다. 아 그리고 박기동이 국내에서 [부용산]이란 제목의 산문집을 출간했다는 이야기도 알았다.

 

 

 

 

 

 

 

 

 

 

 

 

 

 

웹에서 부용산을 검색해서 노래를 들었다. 안치환의 노래와 윤선애의 노래 두 개를 들었는데, 윤선애의 노래가 더 슬프고 애잔하게 들렸다. 노래를 들으며 왜 빨치산들이 이 노래를 즐겨 불렀는지, 어떻게 그 긴 세월 악보도 없이 구전되었는지를 알것 같았다. 왠지 형언하기 어려운 서글픈 감정이 흐느낌이 되어 목을 타고 넘어올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윤선애의 부용산, 전주가 길다. 1분 50초 즈음부터 노래가 나온다.

 

죽음을 부르는 아름다운 노래

글루미 썬데이

 

수많은 사람들을 자살로 이끌었다는 노래. 노래를 들어보기 전에는 이해하기 어려웠다. 왜 노래를 듣고 사람들이 자살을 해? 영화는 소설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픽션이지만, 그 노래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죽었다는 내용은 사실이었다. 슬픈 곡조의 노래였다. 영화에서 여주인공을 연기한 배우 에리카 마로잔이 부르는 노래가 참 인상적이었다.

 

영화에서 에리카 마로잔이 무반주로 노래를 부르며 스테파노 디오니시에게 자신을 위해 연주를 하도록 부탁하는 장면(헝가리어 버전)

 

 

한창 이 노래에 빠져 있던 시절, 나는 여러 가수들이 부른 '글루미 썬데이'를 모으기 시작했다. 빌리 홀리데이, 사라 맥라클란, 비욕 등 유명한 가수들이 부른 노래가 많았다. 내 엠피쓰리 플레이어에는 폴더 하나에 '글루미 썬데이'만 예닐곱 곡이 들어 있었다. 잠이 잘 오지 않는 밤, 불을 끄고 누워 글루미 썬데이만 무한 반복으로 듣다보면 많은 생각들이 머리 속을 스쳤다. 아, 자살 충동을 느끼지는 않았다. 다만 여러 추억들이 스쳐 지나갔다. 어떤 기억은 아주 자세하게, 어떤 기억은 흐릿하게 떠올랐다 사라졌다.

 

같은 장면의 독일어 버전, 에리카의 노래를 자주 들었기 때문에 'trauriger sonntag' 으로 시작하는 이 장면이 무척 익숙하다.

 

슬프고도 아름다운 노래다. 영혼을 울리는 노래라는 표현이 아깝지 않다. 부용산을 듣고 나서 이 노래를 떠올린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