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사 김정희 - 산은 높고 바다는 깊네
유홍준 지음 / 창비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추사고택에 갔었다. 어릴 적에 가족과 함께였다. 이제는 빛바랜 기억이지만, 이상하게도 오래도록 남아 있는 것이 있다. 어린 나에게조차 온몸으로 다가오는 그것. 추사가 심었다는 백송에까지 서린 높은 향과 깊은 기였다. 아마도 추사의 문자향서권기(文子香書卷氣)였으리라.   


 외할머니댁에 추사의 대련이 있었다. 어느 명절에 가니, 있었다. 아마도 외삼촌께서 마련하신 것 같았다. 어린 나는 몇 자를 자세히 보다가 역부족인지라 무슨 뜻인지 더 궁금해졌다. 외삼촌께서는 화목한 가족을 뜻한다고 하셨다. 지금 생각하니, 추사의 '대팽고회'를 본뜬 작품이었다. 추사고택의 백송에서 느꼈던 문자향서권기를 그 작품에서도 느꼈다. 요즘도 화목한 가족을 생각하며, 그때의 기억을 함께 떠오르고는 한다.


 나에게 그런 추사였다. 그리고 그런 추사일 것이고. 그런 추사에 대한 글을 만났다. 추사의 삶과 뜻. 그리고 그 안에서 그와 이어진 사람들.


 '족손인 김승렬이 쓴 완당 김정희 선생 묘비문을 보면 그의 평소 모습에 대해 다음과 같이 증언한 구절이 있다.


 풍채가 뛰어나고 도량이 화평해서 사람과 마주 말할 때면 화기애애하여 모두 기뻐함을 얻었다. 그러나 무릇 의리냐 이욕이냐 하는 데 이르러서는 그 논조가 우레나 창끝 같아서 감히 막을 자가 없었다.


 이런 성격의 추사였기에 그를 좋아하는 사람은 더없이 존경했고 싫어하는 사람은 아주 싫어했다.' -20쪽.


 '(사랑은) (중략) 자기의 유익을 구하지 아니하며 (중략) 불의를 기뻐하지 아니하며 (중략) -성경 고린도전서 13장 5~6절.


 의리와 이욕. 나에게 주어진 한 세상을 살면서 의리를 지키고, 이욕을 버리려고 한다. 추사의 삶도 그랬던 것 같고. 성경도 자기의 유익을 구하지 않는 것과 불의를 기뻐하지 않는 것이 사랑이라고 한다. 그러니 추사의 그런 삶은 사랑에서 비롯됐다고 할 수 있겠다. 사람에 대한 사랑. 삶에 대한 사랑. 그렇기에 청나라에까지 그의 벗이 있게 되었고. 물론, 그런 그를 괴롭히는 사람들도 있었으니.  


 사람과 삶에 대한 사랑으로 학문과 예술을 했던 추사. 그렇지만, 쓰라림 많은 삶도 살았다. 제주도와 북청에서의 유배 생활. 그 아픔을 견디어 냈기에 더 아름다운 학문과 예술을 이룬 것 같다. 상처를 이겨낸 비자반(榧子盤)이 가장 좋듯이.

 

추사 김정희 [세한도] 1844년(59세), 종이에 수묵, 23.3×108.3cm, 손창근 소장, 국보180호.


 어느 날이었다. 추사의 세한도(歲寒圖)에 대한 글을 보았다. 세한도에 추사는 장무상망(長毋相忘)이라는 낙관을 남겼다고 했다. '오랫동안 서로 잊지 말자'라는 말. 좋았다. 가끔 되뇌며, 혼자 좋아하는 말이 되었다. 그런 말을 해줄 사람을 찾으며.


  '이 <세한도>에서 더욱 감동적인 면은 서화 자체의 순수한 조형미보다도 그 제작 과정에 서린 추사의 처연한 심경이 생생히 살아 있다는 것이다. 그림과 글씨 모두에게 문자향과 서권기를 강조했던 추사의 예술세계가 소략한 그림과 정제된 글씨 속에 흥건히 배어 있다는 것이 이 그림의 본질이다. <세한도>의 진가는 그 제작 경위와 내용, 그림에 붙은 글씨의 아름다움, 그리고 갈필과 건묵이라는 매체 자체의 특성에 있다.' -288쪽.


 그렇다. 고마움이 가득 담긴 장무상망이라는 낙관을 그림에 남기는 추사. 그 추사의 마음이 잘 담겼기에 세한도가 아름답다고 생각한다. 그런 추사가 만남 없이 하늘에 있으니 장무상망할 수 없지만, 나 홀로 장무망이라도 하련다.


 '추사의 글씨는 대단히 괴기한 글씨로되 법도(서법)에 근거한 파격이고 개성이었다.' -11쪽.

 '서법에 충실하면서 그것을 뛰어넘은 글씨, 그래서 얼핏 보기에는 괴이하나 본질을 보면 내면의 울림이 있는 글씨, 그것이 추사체이다.' -412쪽.


 추사체. 처음 만났을 때, 가히 충격이었다. 이런 글씨체도 있다니. 격식 안에서 그 격식의 깨뜨림. 즉, 격식 안의 파격. 매료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때부터 추사체는 나에게 화두(話頭)였다. 그렇게 추사체로 수행(修行)했다.


 게다가 추사는 서예뿐만 아니라 시와 문장, 금석학과 고증학, 13경, 불교, 차(茶), 회화 등에 해박했다고 한다(12~15쪽). 실로 감탄에 감탄이다.


 이 책의 후기에서 지은이는 말한다. 그 후기의 이름은 '완당평전에서 추사 김정희로'다. 그 이름대로 『완당평전』이라는 책이 나오기까지와 절판이 되기까지, 그리고 『추사 김정희』가 나오기까지의 이야기다. 『완당평전』으로 찬사도 받았지만, 오류에 대한 혹독한 비판도 받았다고 했다. 그리고 새로운 자료의 출현. 그래서 절판했다고 했다. 그리고 『추사 김정희』가 나왔다. 많은 노고의 결실인 듯하다. 감사의 글을 보니, 여러 사람들에게 도움을 받은 것 같고.


 나도 감사의 글을 살짝 남기련다. 이 책에게. 오래전에 추사고택의 백송과 '대팽고회'에서 느꼈던 문자향서권기를 다시금 만날 수 있었다. 추사와 함께 걸으며 빛이 담긴 발자국을 남길 수 있었다. 산숭해심(山崇海深, 산은 높고 바다는 깊네)처럼 추사의 학문과 예술은 높고 깊었다. 사람에 대한 사랑, 삶에 대한 사랑으로 높고 깊었다. 나는 그렇게 여전히 추사를 장무망하고 있다. 추사의 향과 기가 담긴 차(茶)를 마시며.  



덧붙이는 말.


초판 1쇄 기준으로 오자가 있다.

산숭해심(山嵩海深)  산숭해심(山崇海深)(17, 571쪽).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니데이 2018-09-27 00:0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사과나비님, 잘 지내셨나요.
추석연휴는 잘 보내셨는지요.
며칠간의 연휴가 끝나고 다시 일상적인 날들이 시작되겠지요.
오랜만에 서재의 새 글이 보여서 인사 드리러 왔어요.
편안한 밤 되세요.^^

사과나비🍎 2018-09-27 00:43   좋아요 1 | URL
아, 서니데이님~ 오랜만이에요~^^*
이렇게 잊지 않으시고 댓글 남겨 주셔서 감사합니다~^^*
예~ 저는 잘 지내고 있답니다~
서니데이님도 그동안 평안하셨는지요?...^^*
예~ 이제 연휴가 지나갔네요... 아쉬워요...^^;
그럼, 서니데이님도 좋은 꿈꾸시기 바랄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