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이 아무것도 아닌 것 같다면

당신은 세상을 정확하게 느끼고 있는 것이다






모든 비딱하고 남루하고 어정쩡한 삶에게,

불행과 고통을 온몸으로 감각하는 이들에게

있는 힘껏 응답하는 미학자의 시적 에세이





마침내 상처에서 벗어난다는 말은 하지 않을 것이다. 그런 승리와 화해, 

엔딩은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하기 때문이다. 다만 성장은 나를 죽일 것처럼

가로막고 누르던 상처를 덧나게 하는 미적 반복의 행위를 통해 일어나고 

있을것이라 말하고 싶다. 그러므로 이 글은 제대로 성장하지 못한 어른들,

겉모습은 어른이지만 있는 그래도의 자신을 사랑하지 못하는 사람들, 

자신만큼이나 약한 이들을 학대할 뿐 여전히 화해하거나 

사랑할 줄 모르는 이들을 위한 것이다. 


-본문 중에서




불구의 삶, 사랑의 말

-어른이 되고 싶지 않은 이들을 위하여



양효실 지음

현실문화 펴냄





단언컨대 아이들은 미숙한 게 아니라 예민할 뿐이고, 어른들의 규범이 지배하는 사회에서 힘들게 살아가는 ‘외국인’일 뿐이다. 그들을 어떻게 우리와 함께 살아갈 동등한 타자로 간주할지는 결국 우리의 역량에 달렸다. (23쪽)

환상 없이 현실을 끌어안는 데는 용기가 필요하다. 여기서 ‘용기’는 주체적인 자아가 원래부터 갖고 있던 힘, 그러므로 그냥 발휘하기만 하면 되는 내적 능력을 뜻하지 않는다. 여기서 용기는 그런 주체성이나 능력을 잃는 힘, 네게 함입되기 위해 내가 최소화되는 무력감을 뜻한다. 흔한 말로 가진 게 없는 사람들의 생존법 같은 것이다. 이 용기는 더 잃을 게 없기에 어디든 가는 사람들의 긍정법을 가리킨다. (44쪽)

나는 시인을 기성의 당연하고 자연스러운 세계관이나 감정이 아닌, 낯설고 불행하고 슬픈 감정들을 보존하고 발굴하는 이들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하고 싶다. 시인은 단지 시를 잘 짓는 직업인이나 전문가를 뜻하지 않는다. 시인은 앞서 말한 노숙자, 미친 사람, 범죄자, 지금 죽어 가는 자의 상태를 언어화하려는 이들이다. (8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자신을 탕진하다가

세계를 지워버리고 사라지는 이의 언어


70년대의 펑크는 90년대 얼터너티브록에서 부활한다너바나Nirvana는 얼터너티브록을 대표하는 밴드다그리고 너바나에는 커트 코베인Kurt Cobain(1967~1994)이 있다너바나의 보컬 커트 코베인은 천천히 사라지기보다는 한꺼번에 타버리는 것이 낫다”, “내가 아닌 모습으로 사랑받느니 지금 내 모습으로 미움받는 게 낫다라고 휘갈기면서어른이 되고 사랑을 받고 노년의 평화를 긍정하는 정상인이길 거부했다대신 그는 스물일곱 살의 나이에 자살한다.


 

수많은 걸작을 남긴 커트 코베인의 대표작 중 하나인 <스멜스 라이크 틴 스피릿Smells Like Teen Spirit>은 ‘10대의 정신의 투명함과 예민함을 펑크의 거칠고 강렬한 리듬에 얹어 표현했다. ‘틴 스피릿은 그 당시 미국에서 판매하고 있던 탈취제였다그러니까 이 노래는 “10대의 정신이 느껴져와 틴 스피릿을 뿌렸구나란 중의적인 의미를 갖는다커트 코베인은 ‘10대의 정신이란 단어의 진지함과 공기 중으로 흩어지는 인공적인 냄새 사이에서삶의 무거움과 상품의 가벼움 사이에서 자신을 조롱하는 전략을 취한다.

 


세상을 비판하는 일은 너무 도덕적이고내가 이렇게 된 것은 사회 탓이라고 말하는 것은 좀 진부하다그저 이런 사회에 내던져진 자신의 무력한 상황을 기록하는 데 전념하자. ‘틴 스피릿을 감동적으로 노래하길미래의 꿈을 짊어진 청소년들의 희망을 노래하길 원하는 사회에서 틴 스피릿을 뿌렸구나라고 농담조로 반격하는 것.

 

커트 코베인이 미약한 힘으로 견지한 싸움의 전략일 것이다.



거칠고 강렬한 리듬에 몸을 맡기고 공연장의 뜨거움에 빠져드는 것이 중요한 록 음악에서가사는 큰 의미가 없다. <스멜스 라이크 틴 스피릿>은 4개의 단순한 코드로 이루어진 아주 느리고 몽환적인 도입부의 멜로디너바나 음악의 형식적 특징이라 할 수 있는 기타의 강력한 디스토션메시지를 전달하려는 의지가 별로 없는 커트 코베인의 절규하는 것 같고 읊조리는 것 같은 목소리만으로도 충분하다그러나 내게 커트 코베인의 가사는 탁월한 이다자신을 탕진하다가 세계를 지워버리고 사라지는 사람들이 휘갈기는 언어이다.



Smells Like Teen Spirit

Load up on guns and bring your friends

It's fun to lose and to pretend

She's over bored and self assured

Oh no, I know a dirty word


총을 장전하고 네 친구들을 데려와

게임에서 지고진 척 연기하는 것은 재밌지

그녀는 너무 지루해하고 콧대가 높아

오 안 돼난 더러운 단어를 하나 알고 있어

Hello, hello, hello, how low?

Hello, hello, hello!

With the lights out, it's less dangerous

Here we are now, entertain us

I feel stupid and contagious

Here we are now, entertain us

A mulato An albino A mosquito My libido

 

안녕안녕안녕얼마나 더 밑으로?

안녕안녕안녕!

불이 꺼졌어불이 꺼진 게 덜 위험하지

우린 지금 여기 있어우릴 재미있게 해 봐

난 멍청하고 병균 같아

우린 지금 여기 있어우릴 재미있게 해봐

물라토알비노모스키토나의 리비도




미친 말감각의 말시적인 말미래가 없는 말


직전에 한 말과 논리적으로나 유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다음 말을 이어가는 것이 정상이다하지만 노래는 의식이 거의 남아 있지 않은 사람이 하는 말처럼신경의 경련만 남은 벌레처럼수신자가 누구일지 알 수 없는 암호문처럼제 말에 갇힌 자폐아처럼 뒤죽박죽이다.

 


커트 코베인의 말은 미친 말감각의 말시적인 말, ‘지금의 말미래가 없는 말이다소통전달의미를 거부한 채로 자신의 욕망감각순간을 재현하려고 하는 말이다저 가사에는 의미 있는 세상에 질려버린세상의 무의미를 느끼고 감각하는권태와 허무에 질식한 소년의 감각예민함이 들어 있다사회가 자기 존재를 먹어버리고 자기 삶을 빼앗는 데 저항하는 이들은 무의미를 선택하려고 한다무의미에는 의미를 뭉갤 힘이 있다그런 무의미를 견딜 수 있는 자들은 의미 있는 세상에 기여하기보다는 저항함으로써 자신이 본 진실에 충실하려고 한다.



난 최선을 다할 때 더 나빠져 있어.”I'm worse at what I do best

최선을 다하라는 말은 현대인을 억압하는 강박사회적 요구 중 하나이다자신의 가장 긍정적인 에너지를 뽑아내고 성공하고 인정을 받는 것그것만큼 삶의 의미가 또 있을까화자는 최선을 다해서 무엇인가를 해냈을 때 자신이 더 나쁜 상태에 놓인다고 말한다이 비정상적인 회로에서는 최선을 다하면 더 나빠진다타인들과 공유하기 어려운 이런 감정을 느낄 수 있는 재능은 '예술가'가 받은 축복이다그들은 예외적 개인이고 작은 무리이다하지만 세상의 상식과 반대로 살아가는 이들은 축복받은 존재로서 계속 살아 있을 것이다물라토알비노모스키토나의 리비도가 세상이 망할 때까지는 망하지 않을 것처럼.



*그는 미치지 않았다그래서 “Nevermind(신경 꺼)”라고 내뱉는다. 1991년에 발표된 너바나 2집 <Nevermind>는 1970년대 펑크 1세대를 대표하는 섹스 피스톨즈의 데뷔 앨범이자 유일한 앨범인 <Never Mind the Bollocks, Here's the Sex Pistols>를 염두에 두고 만들어졌다이윽고 노래는 허무주의자들의 정언명령인 부정으로안 하기없애기거부하기그리고 사라지기로 뒤덮인다.

 


따라야 할 의미도가치도 없는 세상에서

말을 갖고 놀기


커트 코베인의 노래들은 대체로 이런 상태와 감성을 유지한다커트 코베인은 따라야 할 의미도 가치도 없는 세상에서 말을 갖고 논다그는 음악이라기보다는 노이즈에 가까운 공연을 하고공연 마지막에는 사용한 악기들을 부수고카메라를 향해 침을 뱉거나 썩소를 날리길 즐겼다그러다 어른이 되어 계속 살아가는 길에서 빠져나와 무로 사라졌다탈취제 틴 스피릿이 허공으로 날아가듯이. ‘틴 스피릿의 가벼움으로 ‘10대의 정신을 조롱하고 삶의 무의미를 주장했던 예민한 청년은 허무를 향해 돌진했다.





  4월 출간 예정인불구의 삶사랑의 말(가제출간 전 연재를 시작합니다. 


"이 책이 당신에게 가수, 시인, 작가, 예술가가 될 기회를 열어주기를.

당신의 표정 없는 얼굴을 흔들 바람이 일기를. "



<불구의 삶, 사랑의 말> 알라딘 바로가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른 VS 아이


근대화가 아직 진행되지 않은 곳의 아이들은 어른들과 똑같이 농사를 짓고 말을 몰고 사냥을 하며 살아간다. 예컨대 2008EBS국제다큐영화제에서 대상을 받았던 야마다 카즈야 감독의 1999년 다큐 <푸지에>작은 인간에게 매혹당한 근대인이 몽골의 초원에서 살아가는 소녀를 세 번 방문하는 과정을 카메라에 담았다. 남미에서 시작해 아프리카까지 자전거로 횡단하던 의사 세키노는 몽골의 초원지대를 지나다 말을 타고 양떼를 몰고 있던 소녀를 우연히 만난다.



푸지에 Puujee, 2006


 여섯 살 소녀 푸지에는 낯선 여행자들의 침입에 소란스러워진 양떼를 진정시키면서 새침한 아가씨처럼 화를 낸다. 세키노는 자기 딸보다 어린 푸지에의 양몰이 솜씨에 매혹된다. 푸지에는 집에서 방목하던 수백 마리의 양떼들을 하나하나 식별할 수 있는 놀라운 능력을 가졌다. 하지만 정부는 국가의 말단에 속한 유목민들을 샅샅이 찾아내 인구로 계산하고 국민으로 만들려고 한다. 푸지에는 근대적 교육을 받으러 울란바토르로 떠난다. 그리고 그곳에서 교통사고를 당해 비극적이면서도 너무나 근대적인 죽음을 맞는다. 더불어 다큐는 초원에서 양을 기르던 유목민들이 지구온난화와 근대화에 노출되면서 어떻게 서구화되고, 빈곤층으로 전락하며, 쓸모없는 사람이 되는지를 근거리에서 기록한다.


근대가 시작되기 전 아이들은 어른과 음란한 성적 농담을 주고받던 조금 작은 사람일 뿐이었고, 어른과 동일한 도제 수업을 받으면서 공동체의 일원으로 활동했다. 하지만 17세기에 도덕론자들과 교육자들은 모든 면에서 불완전한 연령기인 아동기와 청년기란 범주를 만들어 그들을 어른들의 성과 사회적 기능에서 떨어뜨려 놓았다. 그러면서 순수하고 깨끗한 아동, 미숙하고 무력한 아동에 대한 책임을 학교와 부모에게 맡겼다.


아이들과 어른이 좀 다른 게 있다면


비록 학교라는 시스템 안에서 만난 게 대부분이었지만 내가 만난 중고등학교 학생들은 미숙하지도 불완전하지도 않았다. 그들은 모두 자신의 문제를 어른들처럼 이해하고 그것을 풀기 위해 어떤 경로를 밟아야 하는지 잘 알고 있는 작은 어른들이었다. 그들이 스스로 문제를 풀지 못하게 막는 건 그들을 사랑한다고 말하는 부모나 선생과 같은 어른들이었다. 그 어른들은 그래도 학교는 졸업해야 한다, 절대로 포기할 수 없는 전제를 갖고 대화를 시작한다. 이 사회는 대화를 하겠다고 약속했으면서도 들으려 하지 않는 어른들, 혹은 사랑이란 이름으로 아이들의 긴급한 문제를 외면하는 어른들이 주인이다. 그래서 아이들은 우울하고 분노하고 무력감을 느꼈으며 불안해하고 있었다. 아이들에게 어른과 좀 다른 게 있다면 그들이 시인이라는 것뿐이다.


 아이들은 학교와 집에서 배우는 것보다 더 많은 것을 전 세계로부터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

 

이들은 단지 학교와 집에만 갇혀 있지 않다. 그들은 인터넷을 통해 과잉 사회화되면서 근대적인 의미의 아동 개념으로부터 자의반 타의반으로 절반쯤 벗어나고 있다. 오늘날 아이들이 문제라면 그들은 학교와 집에서 배우는 것보다 더 많은 것을 전 세계로부터 동시적으로 수신할 수 있을 만큼 탈근대적 상황에서 살고 있기 때문이다.

 

그들은 학교에서 가르치는 성, 도덕화된 성이 얼마나 유치한지 이미 알고 있다. 어른들이 성을 얼마나 두려워하는지, 성은 어른들의 공포와 무관하게 흥미롭다는 것도 알고 있다. 아이답지 않은 아이들, 선생과 부모의 말을 잘 듣지 않는 아이들, 부모와 선생 몰래 성장하는 아이들의 등장은 사회적 문제이기도 하다.

 

그들은 학교를 때려 칠 만큼의 용기도, 집에서 나갈 만큼의 용기도 없지만, 자신들이 갇혀 있다는 사실만은 자각한다. 그들이 언제 터질지 모르는 사회적 문제인 것은, 그들이 더 이상 학교와 가정을 어른들처럼 신성시하지 않기 때문이다. 어른들이 학교와 가정을 신성하다고 주장한다면 그곳이 자신들에게 유익하고 유리한 제도이기 때문이다.

 

아이들은 그렇게 생각하는 어른들 때문에 볼모로 잡혀 있다. 오늘날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근대적 신화이자 관념인 아동을 과감하게 버릴 용기와, 그들과 새로운 관계를 맺어야 한다는 자각이다.



이제부터 몇몇 예술가의 작품을 분석하면서 예민한 존재들의 말하기가 무엇인지 보여주려 한다. 자기들의 언어로 계속 말하고 있지만 그 말을 들을 수 있는 귀가 없을 때, 그들은 결국 비행청소년이라고 호명된다. 나는 이 아이들을 사랑스런 아이, 예민한 아이, 살아 있는 아이, 우리가 잊은 아이, 에너지, 리비도라고 고쳐 부르기를 간구한다.






  4월 출간 예정인불구의 삶사랑의 말(가제출간 전 연재를 시작합니다. 


"이 책이 당신에게 가수, 시인, 작가, 예술가가 될 기회를 열어주기를.

당신의 표정 없는 얼굴을 흔들 바람이 일기를. "



<불구의 삶, 사랑의 말> 알라딘 바로가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0_프롤로그

 


인생이 살 만한 가치가 있는가, 예술가는 왜 이상한 사람인가,

그들의 말은 왜 우리 귀에 잘 안 들리는가, 상처는 왜 아름다운가,

왜 문제가 가능성인가, 왜 고통의 전시가 사람을 성장시키는가…….

 


비스듬하고 어정쩡하게 살아 있는 자들의 말하기와 보기는, 건강하고 진지하게 살아 있는 이들의 말하기나 보기와는 다르다. 그들은 게으르고 어슬렁거리고 힐금거린다. 그들은 진지하고 경건하고 도덕적인 세상을 재밌는 것, 흥미로운 것으로 대체한다.

 


이 글은 무엇보다 (비행)청소년들, 모국어로 말하기를 거부했던 이들에게 사랑받기 위해 쓴 것이다. 이기적인 글이다. 모든 글은 글을 쓰고 있는 가 욕망하는 의 형태를 가정한다. 이 책을 쓰면서 내가 먼저 위로받았다. 나는 학생들과 수업시간에 함께 초고를 읽었다. 더 아프고 더 분노하고 더 질주하는 이들이 열정적으로 반응해 왔다. 그들에게 감사한다. 그들은 자신들이 막연하게 품고 있던 것들을 언어화한 이들에게 감사한다고 말했다.



예술가는 exhibitionist, 즉 전시주의자 혹은 노출증자이다. 전시한다는 것은 상처를 자랑한다는 것이고 상처를 노래한다는 것이고 상처를 즐긴다는 것이다. 마침내 상처에서 벗어난다는 말은 하지 않을 것이다.

 


그런 승리와 화해, 엔딩은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하기 때문이다. 단 나를 죽일 것처럼 가로막고 누르던 상처를 덧내는 미적 반복의 행위를 통해 성장은 일어나고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 글은

 


제대로 성장하지 못한 어른들,

겉모습은 어른이지만 있는 그대로의 자신이나 자신만큼 약한 이들을 학대할 뿐 여전히 화해나 사랑의 방법이 필요한 이들을 위한 것이기도 하다.

 


성장은 자기 화해이다. 서랍 깊숙이 숨겨 둔 맞았고 부정되었고 거부당했던 자신을 꺼내들고 거기에 음악과 시를 입히는 것을 이 책은 성장이라고 말한다.





상처와 고통, 비극이 우리에게 노래하고 사랑하고 긍정할 기회이기를. 그런 언명은 이미 수없이 쓰였고 지금껏 끊이지 않고 전해진다. 그중 몇 사람의 이야기와 몇 개의 노래를 갖고 이 책을 꾸몄다. 가수들, 시인들, 작가들, 예술가들에게 바치는 이 책이 당신에게 가수, 시인, 작가, 예술가가 될 기회를 열어주기를. 당신의 표정 없는 얼굴을 흔들 바람이 일기를. 




   4월 출간 예정인불구의 삶사랑의 말(가제출간 전 연재를 시작합니다. 


"이 책이 당신에게 가수, 시인, 작가, 예술가가 될 기회를 열어주기를.

당신의 표정 없는 얼굴을 흔들 바람이 일기를. "


: ) 많은 관심 부탁드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