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 한때는 지리에서 사용하는 용어에 대한 나름의 완곡어 운동을 했다고 생각한다. 인디언-아메리카 원주민, 앵글로 아메리카-북아메리카, 니그로-흑인.아프리카계 미국인, 부족-종족 등등 개중에는 나의 무지와 잘못된 생각, 신념에 의한 것일 수 있으나 대부분은 나의 생각이 맞다고 지금도 생각한다. 하지만 아래의 글을 읽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게 아닐수도 내가 생각하고 말하는 것이 잘못된 것이구나하는 하나의 큰 '깨우침'을 얻었다. 말하나 용어 하나가 중요하다고 생각해서 나는 그렇게 예민하게 굴었지만 하지만, 그것이 오히려 내 의도와는 정반대의 효과를 낼 수 있다는 걸 알았다. 더욱더 어려워 진다. 고종석씨의 책을 더 많이 읽어봐야 겠다.

-------------------------------------------------------------------------------------- 

도시의 기억, 고종석

오사카(하편), “나는 조센진입니다.”(p.30-32)

재일동포가 자신을 일컬을 때 쓰는 한국인이라는 말과 조선인이라는 말은 대칭적이지 않다. 자신을 한국인이라 부르는 사람은 대한민국이라는 나라에 대한 소속감을 그 말로써 드러낸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자신을 조선인이라고 부르는 사람이 그 말로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소속감을 자동적으로 드러내는 것은 아니다. 그들 가운데 일부는 그 말로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소속감을 드러낼 수도 있겠으나, 다수는 그 말을 사용함으로써 분단되기 이전의 조선에 대한 소속감, 또는 남북 두 국가에 대한 동시적 소속감을 드러낸다. 그때의 조선은 한국을 포함한 조선인 것이다. 몇 해 전에 보았던 MBC 100분토론의 한 장면이 생각난다. 무슨 일이 직접적 계기가 되었는지는 기억나지 않으나, 손석희 씨의 100분토론이 서울 여의도가 아니라 일본 오사카의 한국인 거주지역에 스튜디오를 마련해 재일 문제를 토론한 적이 있다. 늘 합리적 의견으로 고마운 깨달음을 베푸는 릿쿄대학의 이종원 교수 말고는 패널 가운데 내가 이름으로나마 아는 이가 없었던 터라, 그들의 면면이 하나하나 기억나지 않는다. 그들 가운데는 ‘조선인’도 있었고 ‘한국인’도 있었다.

그 패널 가운데 한 사람의 말이 지금도 잊혀지지 않는다. 고스란히 옮겨놓을 수는 없으나, 취지는 이랬다. “나는 대한민국 국적을 지녔다. 그러나 나는 자신을 한국인으로 지칭하지 않고 꼭 조선인으로 지칭한다. 그 이유는 다른 것이 아니라, 일본인들이 우리를 차별하기 시작했을 때 ‘조선인’이라는 이름으로 차별했기 때문이다. 그 차별을 부당하게 여기고 이를 고치기 위해 싸우는 사람으로, 나는 ‘조선인/이라는 이름을 버릴 수 없었다. 차별의 시작이 조선인에 대한 것이었던 만큼, 차별의 시정도 (’한국인‘이 아니라)조선인에 대한 것이어야 한다.”

말하자면 이 패널은 차별의 집중적 대상인 조선인에 벗어나 한국인으로 달아나고 싶지가 않았다. 부정적 뉘앙스가 한국인이라는 말보다 조선인이라는 말에 훨씬 짙다는 바로 그 사실이, 그 부정적 뉘앙스의 부당성을 지적하는 그로 하여금 조선인이라는 말을 버리지 못하도록 만들었던 것이다. 그 말을 듣는 순간 내 가슴 한쪽이 써늘했다. 그때부터 나는, 적어도 일본 사람들 앞에서는, 의식적으로 간코쿠진(한국인)이 아니라 조센진(조선인)이 되었다.

그 패널의 말은, 흔히 ‘정치적 올바름’이라 부르는 완곡어 운동이 부분적으로만 정당하다는 사실을 새삼 드러낸다. ‘흑인’을 ‘아프리카계 미국인’이라 부른다 해서, 흑인에 대한 차별이 자동적으로 없어지는 것은 아니다. 차별은, 그렇게 정치적으로 올바른 언어 사용 너머에서, 계급관계의 실질적 변화가 이워져야만 없어진다. 어떤 흑인 운동가들에게는 ‘아프리카계 미국인’이라는 말 자체가 역겨울 것이다. 백인들을 ‘유럽계 미국인’이라 부르지 않는데, 왜 흑인들을 ‘아프리카계 미국인’이라 불러야 하는가? 흑인이라는 이름으로 받은 차별은 흑인이라는 이름으로 철폐 돼어야 하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브뤼셀_언어의 전장 

p.264-267브뤼셀은 플랑드르 지역 안에 있지만, 네덜란드어(플라망어)와 프랑스어를 함께 쓴다. 방금 예로 든 표지판들만이 아니라, 이 도시의 모든 공적 텍스트는 프랑스어와 네덜란드어 두 가지로 표기된다. 두 언어 가운데 하나로 표기된다는 말이 아니라 반드시 두 언어로 병기된다는 말이다. 적어도 형식적으로는 프랑스어와 네덜란드어가 이 도시에서 대등하다는 뜻이다. 브뤼셀은 언어사회학자들이 바일링구얼리즘(2개 언어 병용)이라 부르는 현상을 실현하고 있는 드문 도시이다.  

어떤 공동체가 두 개 언어를 쓰는 현상에는 바일링구얼리즘 말고 다이글로시아가 있다. 다이글로시아는 어떤 공동체가 두루 쓰는 언어가 그 사회적 기능과 공적 위세에서 차이가 나는 경우를 가리킨다. 2개 언어 병용은 대부분 다이글로시아 형태로 실현된다. 이를테면 미국의 많은 지역에서는 영어와 스페인어가 함께 사용되지만, 사회적 기능과 공적 위세에서 영어는 스페인어를 크게 압도한다. 

다이글로시아 지역에 사는 사람이 주류 언어를 모어로 익혔을 때는 다른 언어를 굳이 배우지 않아도 되지만, 그가 비주류 언어를 모어로 익혔을 땐 주류 언어를 배워야 한다. ... 

그런데 브뤼셀은 프랑스어와 네덜란드어가 대등하게 사용되는 바일링구얼도시다. 그래서 프랑스어가 모어인 브뤼셀 시민이든 네덜란드어가 모어인 브뤼셀 시민이든 굳이 다른 언어를 배울 필요가 없다. 한 통계에 따르면, 브뤼셀 시민 가운데 프랑스어와 네덜란드어를 둘 다 모어처럼 쓸 수 있는 사람은 열에 하나 남짓밖에 안 된다. 제2언어를 배울 때 프랑스어 화자가 꼭 네덜란드어를 고른다거나 네덜란드어 화자가 꼭 프랑스어를 고르는 것도 아니다. 그 가운데 한 언어만 알아도 브뤼셀에서 사는 데 큰 불편함이 없다는 뜻이겠다. 

그러나 두 언어가 대등하다는 것은 공식적으로 그렇다는 것일 뿐, 실제로는 프랑스어의 위세가 더 크다. 프랑스어만을 모어로 삼고 있는 브뤼셀 시민이 절반을 훌쩍 넘기 때문이다. 이것은 브뤼셀 안의 플라망어 공동체어만이 아니라 브뤼셀 바깥의 플랑드르 사람 일반에게도 씁쓸한 일일 것이다. 18세기 말까지만 하더라도 브뤼셀 시민 대다수는 네덜란드어 사용자였기 때문이다. 그래서 플랑드르 사람들은 브뤼셀을 자신들의 '잃어버린 수도'라고 애도하곤 한다. 

나폴레옹 전쟁 시기 브뤼셀이 프랑스의 지배를 받으면서 흔들리기 시작한 네덜란드어의 우위는 19세기 내내 잦아들었다. 프랑스어의 문화적, 정치적 위세에 이끌려 네덜란드어 화자들이 자발적으로 자식들의 모어를 프랑스어 쪽으로 바꾸어왔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안트베르펜_키파와 다이아몬드 

p.251-254 전설에 따르면, 로마시대 어느 즈음 스헬데강 하구에 드루운 안티곤이라는 거인이 살고 있었다. 그 시절 스헬데강을 건너는 사람들은 이 거인에게 비싼 통행세를 내야 했다. 통행세를 내지 않는 사람은 그에게 손이 잘려나갔기 때문이다. 드루온 안티곤에 대한 사람들의 원망이 쌓일 무렵, 실비우스 브라보라는 로마 군인이 이 지역에 나타났다. 브라보는 드루온 아티곤을 죽인 뒤 그의 손을 잘라 스헬데강에 내던졌고, 그 뒤 이 지역에선 피 흘림이 멎었다. 

이 전설의 핵심은 '던져진 손'이다. 그래서 '손'을 뜻하는 네덜란드어 '한트'와 '던지다'를 뜻하는 네덜란드어 '베르펜'이 합쳐져 한트베르펜이라는 이름이 생겼고, 거기서 첫 자음이 떨어져나가 '안트베르펜'이라는 이름이 됐다는 것이다. 이것이 안트베르펜 사람들 대부분이 믿고 있는 애기다. 

그러나 브라보 전설을 안트베르펜이라는 이름과 연결시키는 것은 그저 민간어원일 뿐이다. 게다가 더 중요한 것은, '사악한' 거인과 '정의로운' 영웅을 대립시키는 이 전설이 역사적 승리자의 이해관계에 따라 각색됐을 가능성이다. 이 전설에서 영웅 브라보로 대표되는 세력은 아마 외래의 정복자였을 것이고, 흉악한 거인 드루온 안티곤으로 형상화된 집단은 스헬데강 하구의 토착 세력이었을 것이다. 그러니까 손이 잘린 채 괴로워하고 있는 거인은 힘이 달려 정복당했다는 것 말고는 다른 죄가 없는 이곳의 원주민일지도 모른다. 

한때 유럽 최대의 무역항이었고 지금도 그 지위가 크게 추락하지 않은 이 도시의 엔도님은 안트베르펜이지만, 영어 엑소님 '앤트워프'와 프랑스어 엑소님 '앙베르'도 그 못지않게 널리 알려져 있다. ... 앤트워프는 다른 무엇에 앞서 다이아몬드센터다. 다이아몬드 절삭 산업의 규모가 세계 제일인 도시가 바로 앤트워프다. 중앙역과 이어지는 지하철역 이름이 '디아만트'(다이아몬드)고, 관련업체들이 모여 있는 중앙역 건너편의 서너 블록을 아예 다이아몬드 구역이라고 부를 정도다. 

이 다이아몬드 산업을 주무르는 세력은 유대인들이다. 그러고 보면 내가 돌아본 도시들 가운데 유대인이 가장 많이 눈에 띄었던 곳이 앤트워프다. 그들이 유대인인 줄 어떻게 알았느냐고? 그들이 키파(정통유대교도들이 쓰는 검은 모자, 아르물케라고도 한다)를 쓰고 다니며 자신들이 유대인임을 드러내니 아는 것이지 내게 무슨 인종학적 투시안이 있겠는가. 

내가 앤트워프에서 좋아하는 곳들은 대개 구시가지에 있다. ... 그 구시가의 중심이 흐로트 마르크트라 불리는 광장이다. 그 둘레에 시청과 그 유명한 성모대성당이 있다. 그 유명한? 영화와 애니메이션과 연극으로 수없이 각색된 영국 작가 위다의 소설 <플랜더스의 개>('플랜더스'는 '플랑드르'의 영어식 지명이다)가 바로 이 성당에서 슬프게 마무리되기에 한 말이다. 크리스마스 이브에 주인공 넬로가 애견 파트라슈를 껴안고 죽는 곳이 이 성당의 루벤스 그림 아래서다. 기실, <플랜더스의 개>가 앤트워프 사람들에게 잘 알려지게 된 것은 이 작품에 반해 성모대성당과 루벤스 그림을 보러 이 도시로 몰려든 일본인 관광객들 덕분이라고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디에프_영국 생각, 캐나다 생각 

p.240-241 디에프 해안은 깎아지른 듯 높다랗게 서 있는 흰빛 낭떠러지들로 유명하다. 그런데 바다 건너 도버에도 그런 백악의 해식애가 늘어서 있다 한다. 기원전 55년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브리튼섬 침공의 거점으로 도버를 골랐다. 카이사르가 거기서 처음 본 것이 그 흰빛 단애들이었으니, 그가 이 섬을 알비온(하얀 땅)이라 부른 것도 그럴싸하다. 실은 지금의 영국 땅을 이 비슷한 이름으로 부른 것은 그 이전부터고, 그 이름은 켈트어 어원으로 '땅'이나 '세계'를 뜻하는 말이었으나, 로마인은 대뜸 그것을 제 나라 말 '알부스'(하얀)와 연결시켰다. <박물지>의 저자 가이우스 플리니우스 세쿤두스와 <지리학>의 저자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를 거치며, 알비온은 고대 세계에서 '흰 땅'이라는 뜻을 담아 브리튼섬을 가리키는 보편적 이름이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