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학교에 가니 내 책상 위에 우편물이 한아름 있더라. 대부분이 학회지 였는데, 그 중 대한지리학회지 회보를 훝어보니 마지막 페이지에 푸른길 출판사 광고가 있었는데, 눈에 확 들어오는 책이 있더라. 고토 분지로의 <조선기행록>이다. 부록으로 <조선산맥론>도 있다. 얼른 알라딘에 들어가 검색을 해보니 출간연도가 2010년 11월이다. 헉 내가 왜 몰랐을까? 인문, 사회과학 파트는 매번 신간서적을 찾아보는데...그래서 책 분류를 보니,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생활풍속사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시대 일반 

로 되어 있다. 내가 책 분류 체계에 대해 아는 바가 없으니, 답답할 노릇이다. 지리학 관련 서적들은 이런 경우가 많다. 내용과 저자의 프로필 상으로 봤을때는 분명 지리학 코너에 있어야 할 책들이 도시, 지구과학, 환경 같은 체계로 분류가 되있는 것이다. 지리학의 정체성 차원에서 한번 생각해봐야 할 문제라고 생각한다. 아이들이 서점에 가서 책을 보고 고를때 역사학, 법학, 물리학 같은 팻말이 붙은 코너에 많은 책들을 봤을때와 지리학 팻말이 붙은 코너에서 몇권 안되는 책들(흩어져 있는 모든 지리학 관련 서적들이 몇 천권되더라 하는 식의 말은 내가 말하는 바에서는 의미가 없다.)이 있는것을 보았을때 어떤 학문의 위상에 높다고 생각하겠는가, 현실적으로. 

언제 한번 서점에 문의를 해봐야겠다. 책이 출판되면 서지 분류가 어떻게 되는건지에 대해. 소개 기사 하나 스크랩한다. 

세계일보 2010.11.5  100년 전의 우리 땅이 눈앞에 생생하게 다가온다 

일본 메이지 시대의 대표적인 지질학자 고토 분지로는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있는 ‘태백산맥’ ‘소백산맥’ 등 한반도의 산맥 명칭과 그 체계를 최초로 창안한 인물이다. 하지만 이런 업적에 비해 그가 일제 강점기의 일본인 학자이고, 탐사 기행 의도에 대한 이유 등으로 그에 대한 국내 학계의 평가는 유보적이다. 하지만 그가 창안한 조선의 산맥론은 여전히 지리학의 주요한 지식체계로 남아 있으며, 그의 이름 또한 한국 지질학과 지리학사를 설명할 때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

손일 부산대 지리학과 교수가 이번에 번역한 고토 분지로의 ‘朝鮮기행록’은 우리 역사상 최초의 탐사 기행문이다. ‘朝鮮기행록’은 고토 분지로가 조랑말 4마리에 6명의 대원이라는 초라한 답사대를 끌고 조선 남부를 동서로 3번 횡단한 뒤 관찰된 노두를 근거로 지형, 지질 일반, 암석학적 분석을 제시한 지질 답사기이다.

고토 분지로는 동경제국대학의 교수로 재직 당시인 1900년 말부터 1902년 초까지, 매 겨울마다 한반도의 지체구조의 연구를 위해 조선을 방문하게 되는데, 그는 한겨울의 맹추위나 열악한 답사 환경에도 아랑곳없이 동해에서 서해로, 서해에서 동해로 한반도를 가로지르고 오르내리며 개마고원, 두만강 하류, 금강산, 지리산, 육십령 등을 누비고 다녔다.

‘朝鮮기행록’에는 그 중 남부 지방에 대한 기록이 자세하게 실려 있다. 또한 고토 분지로가 직접 작성한 컬러 지질단면도와 지질도를 포함하였을 뿐만 아니라, 각 읍내의 도입부에 그 지역의 경관, 산업, 주민, 역사 등을 간략하게 소개하고 당시로서는 첨단기술에 속했을 실제 사진 99컷도 수록하여 당시의 상황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100년 만에 한글 번역된 ‘朝鮮기행록’(부록:조선산맥론)에는 고토 분지로의 저술에 함께 포함되어 있던 당시 조선의 지체구조에 관한 컬러 지질도와 지체구조도, 탐사 기행 사진 등을 원서에 최대한 가깝게 복원하여 수록하고 있다.

ps : 나도 수업땐 꼭 고토 분지로의 '욕'을 한다. 하지만 매번 아쉬운건 그런 대상이 한국인이었으면 한다는 사실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1-01-29 21: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알라딘 분류도 문제가 있지만, 도서관에서도 이 책이 소장된다면 여기서도 분류가
잘못될 소지가 있을거 같아요.

햇빛눈물 2011-01-30 01:13   좋아요 0 | URL
네, 분명히 900번때 한국사쪽 코너에 꽂혀 있을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