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즈
제시 버튼 지음, 이나경 옮김 / 비채 / 201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많은 미술 작품들의 진위 여부와 함께 중요한 것이 과연 그 작품의 화가가 진짜인가 아닌가 일 것이다. 오래전 과거에는 소설을 쓴 작가도, 그림을 그리는 화가도 재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성이라는 이유로 그들을 인정하지 않았다. 그래서 그들이 선택한 편법이 남자의 이름으로 책을 펴내거나 그림을 그렸다. 인정받은 후에 자신의 이름을 찾는 경우가 종종 있어왔다. 『미니어처리스트』의 제시 버튼의 신작에서는 이러한 여성 예술가의 이야기를 한다. 뮤즈가 여성을 지칭하는 통념을 비웃듯, 한 여성 예술가에게 그림을 그리는데 중요한 뮤즈가 남자라는 것을 밝혔다.  

 

소설은 1967년의 런던과 1936년도의 에스파냐가 시대적 배경이다. 우선 1967년의 오델은 흑인으로서 영국의 식민지 트리니나드 출신으로 스켈턴 미술관의 타이피스트이며 내면의 이야기를 글로써 나타낸다. 1936년도의 올리브는 뛰어난 그림 실력을 지녔지만 부모에게 인정받지 못하고 미술 학교로부터 입학 허가를 받았으나 부모와 함께 에스파냐로 이주한 여성이다. 자신의 일에 진취적인  오델과 자유로운  생각을 가졌으나 여자라는 이유로 그림을 인정하지 않는 아버지때문에 고민이 많은 올리브의 이야기가 교차로 진행되며 소설을 이끌어 간다.

 

소설에서 가장 중요한 한 폭의 그림은 <루피나와 사자>다. 신화를 모티프로 한 그림으로 한 소녀가 멀리가 잘린 소녀의 머리를 들고 있고, 그 곁에 금빛 사자가 앉아있는 그림이다. 이 그림은 과거와 현재를 오가며 이 그림을 누가 그린 것이며, 어떻게 그렸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한다. 마치 퍼즐을 맞추듯 하나 하나의 조각을 맞춰가며 소설을 읽게 된다. 1967년의 오델과 1936년의 올리브는 다르면서도 비슷하다. 주체성 있게 자신의 삶을 개척해나가는 동시에 누군가의 이름에 숨어 자신을 나타내고 싶은 욕망이 있는 이들이다.

 

 

1936년의 올리브에게는 테레사가 있었고, 1967년의 오델에게는 마저리 퀵이라는 인물이 있다. 테레사는 이삭의 그림을 올려놓아야 할 이젤에 올리브의 그림을 가져다 놓았고, 마저리 퀵은 오델의 소설을 <런던 리뷰>에 보내 단편이 실리게 만들었다. 즉 내세우지 못한 자신의 재능을 드러나게 했던 역할을 하는 인물이다. 이 두 인물은 주인공들에게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림에 대한 갈망을 가지고 있는 올리브의 아버지는 그녀가 여자라는 이유로 하찮게 취급한다. 화가는 남자여야 한다는 것. 그녀의 재능을 눈여겨 보지 않았다. 하지만 이삭 로블레스의 이름이 쓰여진 올리브의 그림을 보고는 그림을 더 그려달라고까지 했다.

 

올리브는 이삭을 사랑하게 되므로써 자신감을 되찾았다. 이삭이 그림을 그리게 된 원천이었고, 자신만의 열쇠였다. 비록 이삭의 이름이지만, 자신의 그림이 좋은 평가를 받았다는 사실에 만족했다. 이삭으로 인해 미술가로서 새로운 인생을 시작할 시점이었다. 반면 오델은 스켈턴 미술관으로 찾아온 로리와 그가 가져온 그림이 어떻게 해서 로리의 어머니가 보관하고 있었던 것인지 알게 되는 과정에서 그림 전시를 반대하는 퀵의 병을 알게 된다. 퀵은 어떤 사연을 가지고 있는 것일까. 퀵이 올리브일까? 아니면 테레사일까? 로리는 왜 어머니의 이야기를 피하는 것일까. 어머니의 유품임에도 왜 팔려는 것일까. 그림의 진위를 밝히고 싶다. 그 역할을 퀵이 해주었으면 싶다.

 

 

 

그림에 대한 진실을 알고 있음에도 퀵은 왜 그 사실을 밝히는 것을 주저했을까. <루피나와 사자>, <밀밭의 여자들>이라는 그림 모두 이삭 로블레스의 그림이 아니라고 말하면서도 그 그림을 누가 그렸는지에 대한 이야기는 하지 않았다. 그녀는 무엇을 숨기고 싶었을까. 누구를 보호하고 싶었던 것일까. 예술을 사랑하는 이로서 기회를 주고 싶었던 그녀는 그럼에도 진실을 묻혀두고 싶었는지도 모르겠다.

 

여성이 그린 여성에 대한 작품이다. 다양한 여성들을 내세워 하나의 작품을 이끌어가는 면이 독특했다. 여자라는 이유로 제대로 된 평가를 받기 어려웠던 시대, 그녀의 작품을 알리려로 애썼던 여자의 이야기에서 우리는 과거의 한 시대를 바라본다. 주체적인 삶을 살지 못했지만, 자신만의 방법으로 그림을 알렸던 여성이 있었기에 여성 예술가에 대한 위상도 높아졌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