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위의 딸 (양장)
알렉산드르 세르게비치 푸시킨 지음, 이영의 옮김 / 새움 / 2017년 7월
평점 :
품절


『청춘의 독서』에서 유시민 작가도 말했지만, 그 유명한 시인 푸시킨의 시를 기억하는지 모르겠다. 정말이지 너무도 흔하게 어디서든 볼 수 있었던 시 한 구절,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슬퍼하거나 노여워 말라'라는 시를. 유시민 작가처럼 어딘가를 갈 때마다 푸시킨의 시가 적힌 액자가 벽에 걸려져 있었다. 그래서 습관처럼 외우고 있던 시. 얼마나 시가 좋았으면 그렇게 흔하게 사용했을까. 삶이라는 단어 때문인가, 하는 생각을 했었던 것 같다. 그리고 『청춘의 독서』를 읽고 그가 소설가 이기도 했음을 알게 되었다. 어디선가 『대위의 딸』이라는 제목을 분명히 본 것 같은데 이 작품이 푸시킨의 작품인줄은 몰랐다.

 

작가는 『대위의 딸』이란 작품에서 표트르 안드레이치라는 청년 장교와 그의 사령관의 딸 마리야 이바노브나의 사랑 이야기와 다른 한편으로 농노 제도를 둘러싸고 반란을 일으킨 푸가초프을 내세워 러시아 역사를 말하는 소설이었다. 성장 소설임과 동시에 러시아 역사소설이었다. 유시민 작가도 말했지만, '로맨스를 빙자한 정치소설'이었던 것이다.

 

수많은 소설에서 그 나라의 역사를 본다. 그 시대가 가진 암울함, 지배계층을 바라보는 농도들의 생각과 정치인들의 사리사욕과 구태의연함을 바라본다. 이런 제도를 개선하겠다고 과감하게 나선 사람들이 역사속에서는 항상 있어왔다. 작가는 이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소설 속에 나타냈다. 하나의 에피소드 때문에 자신의 목숨을 구할 수 있으며, 한 여자를 생각하는 지극한 마음과 변절자라는 오명에서 벗어나게 되는 과정들이 주인공의 신념으로 이겨내는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소설은 꽤 재미있게 읽힌다. 태어났을 때부터 군대의 중사로 등록이 되어있었던 표트르 안드레이치가 열일곱 살이 되자 장교가 되라는 아버지의 명을 받고 군대로 향하는 여정은 상당히 희극적이기까지 하다. 그는 떠날때 나이 든 하인을 한 명 데리고 갔다가 한밤중 눈보라에 길을 잃었다. 그때 자신들에게 여관까지 길을 안내해 준 사람에게 고맙다는 표식으로 토끼털 외투(그 남자와 전혀 맞지 않은)를 주었다. 그는 농노제도에 대한 반란을 일으킨 푸가초프였다.

 

 

 

한 번의 선의가 자신의 목숨을 살리는 역할을 했다. 마리야를 사랑하는 표트르 안드레이치는 그녀를 구하려 신부의 집에 숨겼을 뿐만 아니라 마리야의 부모님의 죽음을 막을 수 없어 안타까워했다. 소설에서 요새의 사령관 부인이 그 곳의 모든 것을 통제하고 있었다. 사령관인 남편과 젊은 장교들의 숙소와 행동 하나까지 관여하고 있는 모습을 보았다. 예나지금이나 달라진 게 없다는 생각 또한 들었던 게 사실이다.  

 

소설은 마치 로맨스 소설의 공식처럼 해피엔딩을 다룬다. 우연히 들른 곳에서 한 여성에게 자신의 이야기를 하고 표트르 안드레이치를 감옥에서 구하고, 처음에 반대를 했던 그의 부모에게까지 인정을 받았다. 이런 고전 작품을 읽으며 느끼는 것이 190여 년 전에 쓰여진 소설이지만, 현대 소설 못지 않게 재미있다는 사실이다. 그만한 가치가 있기 때문에 현재까지도 독자들에게 사랑받는 작품일 것이다.

 

잘가거라, 표트르. 충성을 다해 복무해야 한다. 상관의 명령에 절대복종해야 하지만 그렇다고 아첨을 해선 안 된다. 또한 공을 세우려고 함부로 나서도 안 되지만, 근무를 게을리해서도 안 된다. '옷은 새것일 때부터 아끼고, 명예는 젊어서부터 지켜야 한다'는 말을 깊이 새기도록 해라. (18페이지)

 

위 문장에서 보면 아버지는 아들에게 삶의 지혜가 될 만한 말을 한다. 군인으로서 의무와 책임을 다해야 하지만 굳이 경거망동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공산주의 국가의 특성상 모든 작품은 검열을 받았다. 쇼스타코비치가 만들었던 음악도 공산주의 체제에 어긋나지 않는가 검열을 받아야 했고, 푸시킨의 소설 또한 마찬가지였다. 검열을 거치고 난 작품이라 푸시킨이 말하고자 하는 정치적 내용이 많은 부분 삭제되었을 거라는 생각은 어쩌면 당연했다. 아울러 책의 뒷편에는 소설에서 생략된 장이 수록되어 있어 상상했던 일들을 읽어볼 수 있게 했다. 좋은 작품을 선별해 읽어야 한다는 것. 우리가 왜 고전을 읽는지 그 의미를 일깨우는 작품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