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치 다듬기
이상교 지음, 밤코 그림 / 문학동네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4.4.18.

그림책시렁 1390


《멸치 다듬기》

 이상교 글

 밤코 그림

 문학동네

 2024.2.28.



  어릴 적에 어머니 곁에서 멸치를 다듬는 일은 안 싫었습니다. 비록 ‘국물멸치’는 못 먹을 뿐 아니라, 멸치로 우린 국물은 몸에 안 받기도 했지만, 하루 내내 숱한 집안일로 바쁘면서 고단한 어머니 손을 거들며 두런두런 이야기를 했습니다. 어릴 적이나 나이가 들어서나, 우리 아버지는 집안일을 하나도 안 합니다. 한밤에 집에 술손님을 데려오면, 자다가 벌떡 일어나서는, 어머니하고 둘이서 곁밥으로 땅콩하고 멸치를 손질해서 올려야 했고, 내내 술심부름을 했습니다. 이제 잔멸치는 살짝 먹기는 하지만 그리 쳐다보고 싶지는 않습니다. 《멸치 다듬기》는 아이랑 아버지가 집일을 조금 거드는 듯한 줄거리를 들려주는 듯싶습니다. 이런 얼거리는 안 나쁩니다. 그러나 조금이나마 살림길을 헤아려 본다면, ‘멸치 다듬기’는 ‘딸과 어머니’가 하고, ‘밥짓기·빨래하기·쓸고닦기’는 ‘아들과 아버지’가 하는 얼거리로 글그림을 여미면 훨씬 즐겁고 아름다우리라 봅니다. 예전에는 어머니 혼자 ‘멸치 다듬기’에 집일을 도맡아야 했다면, 요새는 집일을 안 하는 이가 그나마 멸치라도 다듬거든요. 시늉이 아닌 온몸으로 바꾸는 길을 보여주기를 바랍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알사탕 제조법 - 미니북(112*155mm) 백희나 그림책
백희나 지음 / Storybowl(스토리보울)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4.4.18.

그림책시렁 1389


《알사탕 제조법》

 백희나

 스토리보울

 2024.3.21.



  어린이는 무엇이든 다 합니다. 그저 한 가지를 못 합니다. 가리거나 끊거나 감추거나 숨기지 않는 마음으로 스스럼없이 이 땅에 태어난 모든 어린이는 못 할 일이란 없습니다만, 둘레 어른이 자꾸 막거나 나무라거나 다그치면 도무지 못 합니다. 어린이한테는 섣불리 가르치지 않아야 할 노릇입니다. 무엇이나 스스로 배우고 살펴서 사랑하려고 태어나는 어린이입니다. 먼저 활짝 웃으면서 춤짓으로 배우려고 하기 앞서는, 그저 같이 놀고 뛰고 달리면서 어울리면 됩니다. 달콤알을 몸꽃으로 빚는다는 줄거리를 들려주는 《알사탕 제조법》입니다. 그림님이 앞서 선보인 그림책하고 맞물리는 조그마한 꾸러미로구나 싶은데, 어린이한테 보여줄 그림책이라면 ‘어린이가 읽고 새길 말’부터 좀 다스려야지 싶습니다. 달콤알이라면 ‘빚다’라는 낱말로 가리킵니다. 가루하고 물을 섞어서 뭉치는 길은 ‘빚다’요, 새롭게 이루거나 낳는 길은 ‘짓다’요, 하늘빛으로 하나된 마음으로 가는 길은 ‘하다’입니다. 어린이는 무엇이든 다 할 줄 아는데, 이 가운데 하나는 몸꽃(요가)입니다. 어린이한테 가르치려 들지 말고, 어린이한테서 배우기를 바라요. 길들거나 물든 일본말씨나 옮김말씨는 말끔히 털어내면서, 마음을 빚고 꿈을 짓고 사랑을 하는 길을 바라보기를 빕니다.


ㅅㄴㄹ


《알사탕 제조법》(백희나, 스토리보울, 2024)


간절한 마음의 소리를 듣게 해주는 신비한 알사탕이다

→ 애타는 마음을 듣는 놀라운 달콤알이다

→ 마음소리를 깊이 듣는 대단한 달달알이다

2쪽


마음이 깨끗한 자만이 만들 수 있으며

→ 마음이 깨끗해야 빚을 수 있으며

→ 마음이 깨끗하면 여밀 수 있으며

2쪽


마음이 깨끗한 자만이 알사탕의 효능을 느낄 수 있다

→ 마음이 깨끗하면 달콤알빛을 느낄 수 있다

2쪽


커다란 냄비 (뚜껑이 잘 닫히는 것으로 준비)

→ 커다란 솥 (뚜껑이 잘 닫혀야 한다)

→ 커다란 단지 (뚜껑이 잘 닫혀야 함)

3쪽


빨대, 쟁반

→ 빨대, 그릇

→ 빨대, 접시

3쪽


조용한 밤이 오길 기다린다

→ 밤이 조용하길 기다린다

4쪽


다음의 동작을 한다

→ 다음처럼 한다

→ 다음 몸짓을 한다

6쪽


절대로 무리하지 말 것

→ 너무 힘쓰지 말자

→ 억지로 하지 말자

6쪽


두루미 자세

→ 두루미 몸짓

→ 두루미처럼

→ 두루미춤

8쪽


가지고 있는 잠옷 중, 가장 편안한 옷을 입는다

→ 가장 헐렁한 잠옷을 입는다

→ 가장 느슨한 잠옷을 입는다

20쪽


옷 태그는 다 제거하는 편이 좋다

→ 옷꼬리는 다 떼낸다

→ 옷에서 뒷붙이는 다 뗀다

20쪽


알록달록한 알사탕이 완성되어 있을 것이다

→ 알록달록한 달콤알이 다 된다

→ 알록달록 달달알을 다 빚는다

46쪽


맑은 마음으로 만든 알사탕이 맑은 소리를 들려줄 것이다

→ 마음이 맑게 빚은 달콤알은 소리가 맑다

→ 마음이 맑으면서 빚은 달달알은 소리가 맑다

46쪽


알사탕 제조에 실패한 어린이는 67세가 되었을 때 다시 시도해 보기 바란다

→ 달콤알을 못 빚은 어린이는 예순일곱 살에 다시 해보기 바란다

46쪽


단, 이 책에 실린 요가 동작을 매일매일 수련해야 한다

→ 다만, 이 책에 실은 한몸짓을 날마다 갈닦아야 한다

→ 그리고, 이 책에 실은 몸꽃을 늘 가다듬어야 한다

46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우리말

[영어] 요가yoga



요가(yoga) : 고대 인도에서부터 전하여 오는 심신 단련법의 하나. 자세와 호흡을 가다듬는 훈련과 명상을 통하여 초자연적인 능력을 개발하고 물질의 속박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오늘날에는 건강 증진, 미용 따위를 목적으로 한다

yoga : 1. (인도 심신 단련법의 하나인) 요가 2. (현대 운동 형태로서의) 요가

ヨガ(범어 yoga) : 요가



산스크리트말이라고 하는 ‘yoga’를 하는 모습을 보면, 몸으로 꽃을 피운다고 여길 만합니다. 이러한 몸짓은 ‘몸꽃·한꽃’으로 담아낼 수 있습니다. 하늘을 담은 하나된 몸짓이라는 뜻으로 ‘한몸짓·한몸꽃’이나 ‘한짓·한꽃짓’이라 해도 어울립니다. 살리는 몸짓이니 ‘살림몸짓·살림몸·살림짓’이라 할 만하고, 수수하게 ‘몸풀기·몸풀이’라 할 수 있어요. ㅅㄴㄹ



요가를 연습하는 사람이 끊임없이 지켜야 할 중요한 마음의 상태가 몇 가지 있다

→ 몸을 푸는 사람이 끊임없이 지켜야 할 마음길이 몇 가지 있다

→ 살림몸짓을 익히며 끊임없이 지켜야 할 마음빛이 몇 가지 있다

《문숙의 자연 치유》(문숙, 샨티, 2015) 120쪽


요가는 몸동작 그 이상의 것이다

→ 한몸꽃은 몸짓 너머이다

→ 몸꽃은 몸놀림 너머에 있다

《요가, 하늘가에서》(다나 레이몽 카펠리앙·마틴 프로스트 요가, 눈빛, 2015) 6쪽


진정한 요가를 익히기 위해서다

→ 참답게 살림몸을 익히려 한다

→ 참다이 한몸짓을 익힐 생각이다

《시끌별 녀석들 3》(타카하시 루미코/이승원 옮김, 서울미디어코믹스, 2022) 237쪽


단, 이 책에 실린 요가 동작을 매일매일 수련해야 한다

→ 다만, 이 책에 실은 한몸짓을 날마다 갈닦아야 한다

→ 그리고, 이 책에 실은 몸꽃을 늘 가다듬어야 한다

《알사탕 제조법》(백희나, 스토리보울, 2024) 46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빛꽃 / 사진비평 2024.4.17.

사진책시렁 116


《예술로서의 사진》

 카나마루 시게루

 한정식 옮김

 해뜸

 1988.6.20.첫/1995.1.1.4벌



  우리는 얼핏 ‘우리말’을 쓴다고 말을 하는데, 정작 ‘우리말다운 우리말’인지 들여다보는 사람은 대단히 드뭅니다. 어쩌면 “우리는 우리말을 모른다”고 해야 맞고, “우리말을 들여다보고 익히는 사람은 거의 없다”고 할 만합니다. 처음 찰칵이가 이 나라에 들어온 뒤부터 우리가 쓰는 웬만한 찰칵이는 일본것입니다. 독일것을 쓰는 분이 제법 있지만, 주머니를 헤아려 일본것을 쓰는 분이 많고, 일본것이 독일것보다 우리 터전 빛결하고 어울리는 대목이 있기도 합니다. 1990년 언저리까지 적잖은 책은 일본책을 훔쳤습니다. 2000년에 이르도록 이 물결은 이었고, 2020년쯤에는 거의 사그라들지만, “예전에 일본에서 일군 열매”를 마치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선보이는 듯 꾸미거나 내세우는 꾼이 제법 있습니다. 《예술로서의 사진》은 잘 여민 길잡이책입니다. 다만, 일본사람이 지었고, 이 책은 “일본사람이 여민 이야기”를 드물게도 스스럼없이 밝혔어요. 일본것을 꼭 내쳐야 하지는 않으나, 스스로 돌아볼 노릇입니다. 우리말을 잊거나 모르는 채 일본말씨에 길들기만 한다면 어떤 삶일는지요? 우리빛을 갈고닦지 않는 채 일본빛만 받아들이면 어떤 길일까요? “내 눈”으로 보자면, ‘나’를 알아야 하고, 나를 알려면 “나를 이루는 말”을 익혀야 하고, 나를 이루는 말이 어디에서 어떻게 태어났는지 살림을 지으면서 사랑할 일입니다. 아직까지 이 나라 글밭·그림밭·빛꽃밭은 일본흉내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빛꽃 / 사진비평 2024.4.17.

사진책시렁 121


《평양의 시간, 사진으로 보는 북한의 도시》

 학예실 엮음

 서울시립대박물관

 2020.11.



  남녘사람은 북녘사람을 만나러 건너갈 수 없다시피 합니다. 북녘사람도 매한가지이나, 북녘에서는 그곳을 벗어나서 남녘에 깃들 수 있습니다. 달아나거나 냇물(압록강·두만강)을 건너는 북녘사람이 수두룩하지만, 그저 북녘에 머무르거나 주저앉거나 자리잡는 북녘사람도 아주 많습니다. 날개를 못 펴도 떠날 엄두를 못 내기도 하지만, 나라가 시키는 대로 따르면서 떡고물을 얻는 무리가 많아요. 그렇다면 남녘은 얼마나 날갯짓인지 돌아볼 노릇입니다. 남녘도 나라가 시키는 대로 고분고분하면 떡고물이 넉넉합니다. 나라하고 엇갈리는 길이어도 고을·고장·마을에서 눈먼돈을 돌라먹는 울타리에 고분고분한 사람이 참으로 많아요. 《평양의 시간, 사진으로 보는 북한의 도시》를 곰곰이 봅니다. 서울시립대박물관에서 건사한 북녘 빛꽃이라는데, 누가 어디에서 어떻게 남겼는지는 알기 어렵습니다. 다만, 북녘에서 누가 어떤 모습을 찍을 적에는 늘 지킴이(경찰)가 옆에 있는다지요. 북녘을 자랑할 만한 모습이 아니라면 못 찍습니다. 우리는 북녘마을을 가 보지도 못 하는데, 구경조차 못 합니다. 수수한 살림집뿐 아니라, 으리으리한 힘꾼·돈꾼·이름꾼 집도 구경을 못 해요. 갇힌 수렁에서 나고자라는 틀에 길든 북녘아이는 무엇을 볼까요? 또한, 남녘은 얼마나 “안 갇힌 수렁”이라고 할 수 있는지 함께 돌아볼 일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