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한데 가끔 뭘 몰라
정원 지음 / 미디어창비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4.3.24.

만화책시렁 635


《똑똑한데 가끔 뭘 몰라》

 정원

 미디어창비

 2023.12.18.



  배우는 곳은 “하고 싶은 것을 하는 곳”이 아닙니다. 배우는 자리는 “안 하고 싶은 것을 안 하는 곳”도 아닙니다. 배우는 터는 “낯설든 낯익든 사람이 사람으로서 살아가는 길에 스스로 사랑이라는 마음으로 살림을 짓는 길을 새롭게 보고 느끼고 받아들이면서 가다듬는 마당”입니다. 《똑똑한데 가끔 뭘 몰라》는 어린배움터에 다니는 어린이 눈높이로 줄거리를 엮었다고 여길 만하지만, 그냥 어른 눈길로 아이들을 따지고 잰다고 여길 만합니다. 줄거리는 배움터에서 펴지만, 막상 그곳에서 무엇을 배우거나 살필 만한지 모르겠습니다. 그린이 스스로 배움터에서 무엇을 배웠는지 모르기 때문일 수 있고, 오늘날 배움터는 “배우는 터전”이라는 제몫을 잃은 탓일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혼잣말하고 수다 사이에서 어질어질 헤매요. 그러나, 겉 다르고 속 다른 어른들 틈바구니에서 헤매는 아이를 그린다기보다는, 뒤죽박죽으로 엉킨 하루를 그냥그냥 얼기설기 담았구나 싶습니다. 배우는 사람이란, 아직 모르는 곳을 살펴서 받아들이려는 마음입니다. 배우는 사람이란, 다 아는 사람이 아닙니다. 아이는 다 아닌 사람이 아닌, 모두 사랑으로 바라보는 숨빛입니다. “아이인 척 하는, 어른도 아닌” 허울스러운 모습이 열한 살일까요? 글쎄.


ㅅㄴㄹ


좋은 선생님을 만난 것 같다. 딱 하나 불만인 건 여자와 남자를 짝꿍으로 앉힌다는 것이다. (9쪽)


세상에 거짓말을 해버렸다. 친한 친구와 짝꿍이 되지 않아도 좋다. 왜냐하면 친해지면 되니까. (20쪽)


+


《똑똑한데 가끔 뭘 몰라》(정원, 미디어창비, 2023)


좋은 선생님을 만난 것 같다

→ 샘님을 잘 만난 듯하다

→ 어른이 참하신 듯하다

→ 참한 분을 만난 듯하다

→ 길잡이가 반갑다

9쪽


딱 하나 불만인 건 여자와 남자를 짝꿍으로 앉힌다는 것이다

→ 딱 하나 싫다면 순이와 돌이를 짝꿍으로 앉힌다

→ 딱하나 섭섭하니 가시내랑 사내를 짝꿍으로 앉힌다

9쪽


친한 친구와 짝꿍이 되지 않아도 좋다. 왜냐하면 친해지면 되니까

→ 동무와 짝꿍이지 않아도 된다. 더 가까우면 되니까

→ 동무와 짝꿍이 아니어도 된다. 새로 사귀면 되니까

20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닷속 유니콘 마을 - 2022 우수환경도서 Wow 그래픽노블
케이티 오닐 지음, 심연희 옮김 / 보물창고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4.3.24.

만화책시렁 636


《바닷속 유니콘 마을》

 케이티 오닐

 심연희 옮김

 보물창고

 2020.6.10.



  뭍에 마을이 있고, 섬에 마을이 있고, 메에 마을이 있고, 숲에 마을이 있습니다. 내에 마을이 있고, 샘에 마을이 있고, 바다에 마을이 있고, 구름에 마을이 있습니다. 마음을 보려 하면 볼 수 있고, 넋을 밝힐 적에는 누구나 마주합니다. 오늘날 우리는 ‘사람마을’만 쳐다보느라 개미마을이나 거미마을을 아무렇지 않게 짓밟습니다. 들꽃마을이나 나무마을조차 무시무시하게 망가뜨려요. 구름마을도 바닷마을도 사납게 괴롭히지요. 《바닷속 유니콘 마을》은 바다에서 사랑을 펴면서 살림을 짓는 이웃을 모르거나 아는 사람들이 어떤 허튼짓을 핑계로 둘러치면서 스스로 망가지는가를 가볍게 짚다가 얼결에 끝맺습니다. 뭔가 이야기를 펴려나 싶더니 끝나는데, ‘플라스틱’을 함부로 안 써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다가, 또 순이마을(여성공동체)을 슬쩍 보여주다가 얼렁뚱땅 마무리합니다. 그리 길잖은 꾸러미에 너무 자잘하게 온갖 줄거리를 맞추려 하다 보니 오히려 뒤엉키는구나 싶습니다. 한 가지만 깊고 넓게 바라보면서 이야기를 짜려 했다면 어린이와 함께 볼 만했을 텐데, 두루뭉술하게 그림결만 이쁘게 하면서 목소리만 너무 앞세웠구나 싶습니다. 목소리만 내거나 순이마을만 높인대서 아름답지 않습니다. 돌이마을을 굳이 섞어야 하지는 않으나, ‘살림을 이루는 사랑’이 무엇인지 건드려야 비로소 아름답겠지요.


ㅅㄴㄹ


“너는 힘없는 마을사람이니까, 뭘 어떻게 할 수 있을 거라곤 생각 안 해. 하지만 힘없는 마을사람이라도 우리를 해칠 수 있어. 너희가 쓰는 플라스틱 그물 때문에 바다 유니콘이 다치고 있어. 먹을 것도 부족해지고. 그래서 유니콘들은 예전처럼 산호를 치유할 수가 없어.” (59쪽)


“우리 할머니는 이 그물로 고기 잡는 법을 알려주셨지. 이건 증조할머니가 짠 그물이야. 이 그물로는 하루 먹을 고기밖에 못 잡아. 나머지 물고기는 그물 밖으로 나가 버려. 난 그 방식이 너무 느리다가 생각했었어. 하지만 그게 맞는 속도였던 거야.” (84쪽)


#AquicornCove #KatieONeill

2018년


+


《바닷속 유니콘 마을》(케이티 오닐/심연희 옮김, 보물창고, 2020)


널 찾아 줄 누군가가 있다니 좋네

→ 널 찾아 줄 누가 있다니 좋네

25


별들은 수천 년 동안 바닷길의 지도가 되어 주었지

→ 별은 오랫동안 바다 길잡이였지

→ 별은 오래오래 바닷길을 보여주었지

27


별의 위치를 읽을 수 있으면

→ 별자리를 읽을 수 있으면

27


GPS가 있으니까 별 보는 법을 까먹었거든

→ 길눈이 있으니까 별보기를 까먹었거든

→ 길찾기가 있으니까 볼보기를 까먹었거든

28쪽


도시로 이사 가기 바랐던 건 아빠였으니까

→ 아빠는 서울로 가기를 바랐으니까

→ 아빠는 큰고장으로 가기 바랐으니까

32


바위 속 웅덩이에 있는 작은 물고기였으면 좋겠어

→ 바위 웅덩이에 있는 작은 물고기이기를 바라

35


이번에는 잡은 양이 좀 적어

→ 이제는 좀 적게 잡혀

57


바다는 점점 수온이 올라가고 더러워지고 있어

→ 바다는 차츰 물금이 올라가고 더러워

→ 바다는 어느새 달아오르고 더러워

59


유니콘들은 예전처럼 산호를 치유할 수가 없어

→ 뿔말은 예전처럼 바다꽃바위를 고칠 수가 없어

→ 흰뿔말은 예전처럼 바다꽃을 다독일 수가 없어

59


이익을 위해서라면 산호초를 기꺼이 파괴하겠다는 거구나

→ 돈 때문이라면 바다꽃을 기꺼이 부수겠다는 셈이구나

→ 돈을 벌면 바다꽃바위를 기꺼이 뭉개겠다는 뜻이구나

61


그토록 심한 해를 끼치고 있다는 걸 인정하고 싶지 않았어

→ 그토록 괴롭힌다고 여기고 싶지 않았어

→ 그토록 짓밟는다고 느끼고 싶지 않았어

77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3.3.


《내일을 거세하는 생명공학》

 박병상 글, 책세상, 2002.2.5.



글손질로 빠듯한 하루이다. 가랑비가 뿌리다가 해가 나다가 구름이 덮다가 다시 개는 하늘이다. 바깥물이 얼다가 녹는다. 바람은 가라앉는다. 가만가만 지나가는 하루를 느낀다. 스무 해 만에 《내일을 거세하는 생명공학》을 다시 읽어 본다. 굳이 되읽으면서 글님이 얼마나 발돋움했거나 자랐는지 살피고, 나는 얼마나 글눈을 키웠는지 되새긴다. 박병상 님이 요즈막에 낸 책을 헤아리자니, 오히려 예전 책이 훨씬 낫다. 어쩐지 갈수록 갈팡질팡이라든지 되풀이에 갇히는 듯싶다. 지난 스무 해를 돌아보자니, 말결이 하나도 거듭나지 않았고, 글넋이 어쩐지 옅거나 뿌옇구나 싶다. 푸른길을 다루는 다른 글님도 비슷비슷하다. ‘울타리 바깥’을 나무라기는 하되, 이분들 스스로 깃든 울타리 안쪽을 나무라는 일이 드물거나 없다. 완도에서 제주로 빛(전기)을 보내는 무시무시한 빛줄(송전선)을 바다밑에 파묻었다는데, 이 빛줄로 모자라서 새로 파묻으려고 한다는데, 푸른글을 쓰는 이들 가운데 몇이나 따지는가? 전라남도 바다밑부터 인천 앞바다를 거쳐서 서울로 ‘바다밑 빛줄’을 몇 조에 이르는 돈으로 깔려고 하는데, 몇 사람이나 이 일을 아는가? ‘지방자치’라는 이름으로 온나라가 삽질판이다. 삽질은 이명박 혼자 하지 않았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3.2.


《H2O와 망각의 강》

 이반 일리치 글/안희곤 옮김, 사월의책, 2020.7.10.



아침에 바깥물이 얼었다. 우리 집을 드나드는 새는 물을 못 먹겠네. 바람은 가볍다. 추위벼락이 왔어도 해가 넉넉하다. 하룻내 볕이 고루 들면서 포근히 녹인다. 저녁에 이르니 어제보다 한결 따뜻하고, 별이 잘 보인다. 하늘빛을 풀어준 어제그제 회오리였구나 싶다. 저잣마실을 다녀오고서 일찍 자리에 누웠다. 힘쓰는 만큼 쉬고, 쉬는 만큼 새롭게 기지개를 켠다. 등허리를 펴면서 꿈을 되새기고, 등허리를 폈으니 살림살이를 건사한다. 《H2O와 망각의 강》을 읽는 내내 한숨이 허벌나게 나왔다. 이렇게 이반 일리치를 엉터리로 옮겨도 되나 싶더라. 제발 우리말을 익히면서 옮겨야 할 텐데, 다들 말넋이나 말빛이 없이 틀(기계)에 갇힌다. “망각의 강”은 어느 나라 말인가? 무늬만 한글인 일본말 아닌가? 멋부리지 말고, 잘난 체 말고, 어깻힘을 빼고, 어린이하고 나란히 서서 이야기를 들려주는 말씨를 처음부터 새롭게 익힐 때라야, 이 나라가 하나씩 바뀐다. 이반 일리치가 ‘일본 한자말 + 옮김말씨’로 이야기를 풀었겠는가? 아니잖은가? 예부터 “빛좋은 개살구”란 말을 하는 까닭이 있다. 말을 쉽게 풀지 않는 이는 모두 눈속임과 눈가림이다. 저놈들만 허튼짓이지 않다. 이놈도 똑같이 허방다리에 헛발질이다.


#H2OandtheWatersofForgetfulness

#IvanIllich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3.1.


《그것은 교육이 아니다》

 최준우 글, 스토리닷, 2023.6.17.



어젯밤부터 바람소리가 대단했다. 비는 그치고 구름은 걷히되, 바람으로 뒤덮는다. 밥을 차리고서, 아침에 책숲손님을 맞이한다. 부산에서 고흥으로 마실을 오셨다. 쌓은 짐을 살짝 추스르고서 등허리를 편다. 해가 질 무렵 바람이 잦아든다. 그렇지만 날이 다시 언다. 《그것은 교육이 아니다》를 지난해에 읽고서 한참 자리맡에 놓았다. 여러모로 뜻있게 태어난 책일 텐데, 책이름이 자꾸 걸린다. 우리말씨가 아니다. 우리말로 손보자면 “그렇게 안 가르친다”이다. “이렇게 배우지 않는다”이기도 하다. 오늘 우리는 일본스럽게 ‘학교·학생·선생’ 같은 이름을 쓰지만, 정작 배움터가 배움터라고 하기는 어렵다. ‘나라를 버티는 톱니바퀴’를 뽑아내어 길들이는 굴레이기 일쑤이다. 요새는 배움터마다 체육관에 도서관에 여러 특별교실을 잔뜩 짓는다. 그런데 이런 곳을 얼마나 제대로 쓸까? 마을에 깃든 배움터가 마을살림에 어떻게 이바지할까? 마을이 통째로 아이를 가르친다고들 으레 말하지만, 정작 이 나라 배움터는 마을하고 등진다. 아이들은 배움터하고 집하고 마을 사이를 잇지 못 하고, 길잡이(교사)도 이 대목은 시큰둥하다.‘학교버스·학원버스’를 몽땅 없애야 한다. 아이도 어른도 걸어서 다녀야 마을이 살아나고 서로 눈뜬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