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기와 다리 6
사노 나미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4.3.26.

만화책시렁 637


《미기와 다리 6》

 사노 나미

 장지연 옮김

 대원씨아이

 2022.2.28.



  받은 대로 돌려주고, 돌려받은 대로 베풉니다. 편 대로 돌려받고, 돌려주는 대로 누립니다. 스스로 심은 씨앗에 따라서 하루가 갑니다. 오늘 심어서 이튿날 바로 돌아오는 일이 있을 수 있고, 몇 해 앞서 심었는데 오늘 문득 찾아오는 일이 있습니다. 모든 일은 스스로 배워야 할 때에 맞추어서 생깁니다. 배우지 않고서 지나가는 일이란 없어요. 부러 안 배우려고 등돌릴 적에는 자꾸자꾸 일어납니다. 《미기와 다리 6》을 읽으며 두 아이가 어머니를 그리면서 꾀하는 하루를 헤아려 봅니다. 얼핏 본다면, 두 아이는 어머니가 애꿎게 죽었다고 여겨서 앙갚음을 할 마음입니다. 어머니는 아이들한테 사랑이라는 씨앗을 심었을 텐데, 두 아이는 아직 사랑씨앗을 어떻게 품고 펴서 스스로 누리고 둘레에 베풀 만한지 잘 모릅니다. 그러나 여러 이웃을 만나는 사이에, 여러 동무를 사귀는 동안에, 마음을 어떻게 기울일 적에 스스로 빛나고 웃을 만한지 천천히 알아채요. 두 아이 어머니가 어떤 마음으로 어떤 사랑씨앗을 심으려 했는지 조금씩 느낍니다. 이와 달리 사랑을 등진 몇몇 사람은 스스로 판 덫이며 수렁에 스스로 갇히지요. 남이 놓은 덫에 걸리지 않아요. 내가 놓은 덫에 내가 걸립니다. 내가 뿌린 씨앗은 나한테 돌아옵니다.


ㅅㄴㄹ


“이런 벽창호 같은 미기여도, 그런 미기를 잃으면 난 살아갈 수 없어.” (54쪽)


“엄마의 복수도 아니고, 그깟 달다구리한 파이 때문에 목숨 걸고 돌아가겠다고?” (95쪽)


+


《미기와 다리 6》(사노 나미/장지연 옮김, 대원씨아이, 2022)


네가 부탁한 빵 드 캄파뉴는 품절돼서

→ 네가 말한 빵 드 캄파뉴는 없어서

→ 네가 바란 빵 드 캄파뉴는 떨어져서

24쪽


우린 지명수배 당했고, 이치조 가의 경비는 철통이잖아

→ 우린 쫓기고, 이치조 집안 담벼락은 단단하잖아

→ 우린 이름이 붙었고, 이치조 집 담은 빈틈없잖아

105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이 싫어서 오늘의 젊은 작가 7
장강명 지음 / 민음사 / 201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듬읽기 / 숲노래 글손질 2024.3.25.

다듬읽기 191


《한국이 싫어서》

 장강명

 민음사

 2015.5.8.



  《한국이 싫어서》(장강명, 민음사, 2015)는 책이름처럼 이 나라가 싫어서 떠난 사람이 무엇이 왜 싫었는지를 들려주면서, 먼나라에서는 무엇을 좋아하려고 하는지 적는다고 여길 만합니다. 그런데 이 나라에서 싫었던 일을 저 나라에 가서도 똑같이 합니다. 저 나라에서 좋았던 일은 이 나라에서도 똑같이 좋았을 테고요. 가만히 보면 ‘좋은나라·나쁜나라’란 없습니다. 사람이 더 좋거나 나쁘지도 않습니다. 바라보는 마음에 따라서 좋기도 하고 나쁘기도 한데, ‘바라보는 마음’은 어릴 적부터 배움터하고 둘레에 길들거나 물든 몸짓입니다. ‘버릇대로 좋거나 싫다’고 가를 뿐입니다. 무엇보다도 굳이 글(문학)로 길게 짜려고 억지로 줄거리를 붙이는구나 싶고, 이러다 보니 ‘요즘 젊은이 말씨’를 흉내내려는 티가 자꾸 나면서 늘어집니다. “한국이 싫어서”라기보다는 “미친서울이 싫어서”이지 않을까요? ‘미친서울’ 못잖게 ‘미친시골’도 수두룩하겠으나, 서울 언저리에서 맴돌 적에는 ‘고요시골’도 ‘조용시골’도 못 봅니다. 글쓴이가 서울을 훅 떠나 고즈넉한 시골에서 여러 해쯤 살아 보았다면 글도 줄거리도 확 달랐을 테지요.


ㅅㄴㄹ


인천공항에서 공식적으로 헤어졌지

→ 인천나루에서 씩씩하게 헤어졌지

→ 인천나루에서 환하게 헤어졌지

9쪽


“너무 부실하게 먹지 말고” 하는 레퍼토리를 세 번이나

→ “너무 모자라게 먹지 말고” 하는 얘기를 세 판이나

→ “너무 두루뭉술 먹지 말고” 하는 말씀을 석 벌이나

9쪽


무슨 불매운동을 벌이자는 것도 아니고

→ 무슨 내치자는 짓도 아니고

→ 무슨 도리도리도 아니고

→ 무슨 끊기도 아니고

11쪽


반찬은 간소하게 두세 가지만 먹을 건데 내가 직접 만들 거야

→ 곁밥은 단출하게 두세 가지만 먹을 텐데 내가 손수 할래

→ 곁거리는 가볍게 두세 가지만 먹을 텐데 내가 지을래

14쪽


상추 같은 작물을 텃밭에

→ 상추 같은 남새를 텃밭에

15쪽


서울은 1년에 한 번만 올라와

→ 서울은 한 해에 하루만 와

15쪽


비실비실거리면서 아흔 살이고

→ 비실비실하면서 아흔 살이고

→ 비실거리면서 아흔 살이고

16쪽


내가 어떤 조직의 부속품이 되어서 그 톱니바퀴가 되었다 해도

→ 내가 어떤 일터에서 톱니바퀴가 되었다 해도

→ 내가 어떤 일터에서 곁거리가 되었다 해도

19쪽


그래도 나름 규모가 있는 회사다 보니까

→ 그래도 그 나름대로 큰 일터다 보니까

→ 그래도 꽤 큰 일터다 보니까

21쪽


근무조를 바꿔 주긴 하더라

→ 일때를 바꿔 주긴 하더라

→ 일모둠을 바꿔 주긴 하더라

22


어찌해야 할지 몰라 전전긍긍하다가 자뻑의 길을 택하는 거지

→ 어찌해야 할지 모르다가 거드름길을 고르지

→ 어찌해야 할지 발동동이다가 겉멋으로 가지

25


개인적으로 쇼킹했던 뉴스가 또 있었는데

→ 내가 놀란 일이 또 있는데

→ 난데없는 얘기가 또 있는데

27


이 나라에서는 자동차가 좌측통행이라는 사실을 잊고 왼쪽만 흘끗 살핀 뒤

→ 이 나라에서는 쇳덩이가 왼길인 줄 잊고 왼쪽만 흘끗 본 뒤

→ 이 나라에서는 부릉길이 왼쪽인 줄 잊고 왼쪽만 흘끗댄 뒤

31


보디랭귀지가 왜 이렇게 매력적이야?

→ 몸짓이 왜 이렇게 멋있어?

→ 몸놀림이 왜 이렇게 달콤해?

31


추워지면 손가락과 발가락 속에서

→ 추우면 손가락과 발가락에서

33


고개 까닥까닥거리면서 싫대

→ 고개 까닥거리면서 싫대

→ 고개 까닥까닥하현서 싫대

36


혼자 꽃단장하고 나왔다 싶더라니. 유부녀가 말야

→ 혼자 꽃차림하고 나왔다 싶더라니. 아줌마가 말야

→ 혼자 꽃꾸밈하고 나왔다 싶더라니. 핫어미가 말야

39


연식이 좀 되는 분인가 보네

→ 나이가 좀 되는 분인가 보네

→ 좀 늙은 분인가 보네

47


우리나라 행복 지수 순위가 몇 위고 하는 문제는 관심 없어

→ 우리나라 꽃나래가 몇 째고 하는 일은 몰라

→ 우리나라 늘기쁨이 몇 째칸이고는 마음 안 써

61


내가 거지인 줄 알아? 적선하냐?

→ 내가 거지인 줄 알아? 동냥하냐?

→ 내가 거지인 줄 알아? 베푸냐?

83


네 결심에 대해서 말이야?

→ 네 뜻 말이야?

→ 네 다짐 말이야?

109


보증금도 받을 수 없다고요?

→ 밑돈도 받을 수 없다고요?

→ 밑천도 받을 수 없다고요?

126


오늘의 스페셜 메뉴는 갈릭 새우와

→ 오늘 꽃밥은 마늘새우와

→ 오늘 꽃차림은 마늘새우와

130


나는 내가 좋아하는 것들을 생각해 봤어

→ 나는 뭘 좋아하는지 생각해 봤어

→ 내가 좋아하는 일을 생각해 봤어

152쪽


따뜻한 열대지방으로 떠나려 하지만 번번이 실패해

→ 따뜻한 곳으로 떠나려 하지만 늘 쓴맛이야

→ 더운땅으로 떠나려 하지만 언제나 그르쳐

157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무와 숲이 생겨난 이야기
안느 에르보스 지음, 양진희 옮김 / 함께자람(교학사) / 200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4.3.25.

그림책시렁 1381


《나무와 숲이 생겨난 이야기》

 안 에르보

 양진희 옮김

 함께자람(교학사)

 2007.11.26.



  앵두나무에 맺는 꽃망울을 바라봅니다. 어느 꽃나무는 밤에 꽃잎을 접는데, 앵두나무는 밤에도 꽃잎을 안 접어요. 별빛이 밝은 밤에도 앵두나무 둘레는 하얗게 환합니다. 낮에는 햇빛을 받고 밤에는 별빛을 맞이하는 셈입니다. 밤낮으로 흰빛(햇빛 + 별빛)을 머금는 나무는 눈부시게 깨어나서 온누리를 보듬습니다. 《나무와 숲이 생겨난 이야기》는 “Et Trois Corneilles(작은까마귀 셋)”를 옮겼습니다. 작은까마귀 셋하고 사람들이 어우러지는 길에 문득 나무가 깨어나더니, 어느새 숲을 이루면서 이야기가 물결치는 삶을 천천히 들려줍니다. 모든 나무가 다르니 다 다른 나무마다 밑이야기가 다를 만합니다. 모든 사람은 다르니 다 다른 터전에서 다 다르게 태어나서 살아온 밑살림이 다를 만해요. 아이들은 어버이한테서 어떤 나무 이야기를 들으면서 자라는지 돌아봅니다. 어른들은 아이 곁에서 어떤 나무를 심고서 이야기를 짓는지 헤아립니다. 뿌리를 내리며 살아가면서 이야기가 싹틉니다. 씨앗이 바람을 타고 멀리 날아가는 사이에 이야기가 퍼집니다. 잎을 틔우고 새가 내려앉으면서 이웃 이야기를 듣습니다. 싱그러이 맺은 열매를 사람들이 따가면서 이야기를 남깁니다. 숲을 품는 사람은 푸르게 이야기보따리입니다.


ㅅㄴㄹ


#EtTroisCorneilles #AnneHerbauts

작은까마귀 셋


+


《나무와 숲이 생겨난 이야기》(안 에르보/양진희 옮김, 교학사, 2007)


움푹 패인 산꼭대기가 U자 모양을 하고 있었어요

→ 멧꼭대기가 움푹해요

→ 멧꼭대기가 파인 모습이에요

2쪽


하늘 높이 떠 있는 별들은 반짝거리며 웃었어요

→ 하늘 높이 뜬 별은 반짝거리며 웃어요

4쪽


나무 세 그루가 자라나서 삼림을 이루었어요

→ 나무 세 그루가 자라나서 숲을 이루었어요

29쪽


나무들에는 수많은 말과 많은 이야기가 깃들어 있어요

→ 나무한테는 숱한 말과 이야기가 깃들었어요

→ 나무한테는 온갖 말과 이야기가 깃들었어요

29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천막의 자두가르 2
토마토수프 지음, 장혜영 옮김 / 서울미디어코믹스(서울문화사)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4.3.24.

만화책시렁 634


《천막의 자두가르 2》

 토마토수프

 장혜영 옮김

 서울미디어코믹스

 2023.7.30.



  멈추거나 그만두기에 꼭 나쁘지 않을 수 있어요. 지치거나 괴로울 적에는 멈추고 그만두고 쉬면서, 숨을 고르게 가누고 돌린 다음에, 새롭게 나설 수 있으면, 천천히 즐겁게 피어날 만하구나 싶습니다. 찬찬히 한 걸음씩 내딛는 마음이라면, 어느새 꿈결이 가닿을 만하지 싶어요. 달리는 발이 느리면, 느리게 가면 됩니다. 달리는 발이 빠르면, 빠르게 가면 됩니다. 느리거나 빠르거나 대수롭지 않습니다. 바라보는 길에 따라서 하루를 그립니다. 《천막의 자두가르》는 어릴 적부터 종으로 팔렸지만, 몸을 거두어 준 곳에서 ‘종 + 순이’인데에도 ‘배움길’을 열어 준 터전에서 자라다가, 칼을 앞세워 뭇나라를 거꾸러뜨린 몽골에 다시 붙들린 아이가 바람아씨(마녀·자두가르)처럼 뜻을 펴는 줄거리를 들려줍니다. ‘파티마’라는 이름을 쓰는 아이는 어떻게 길을 새로 열고 싶을는지 지켜봅니다. 바람이 온누리를 감싸면서 파랗게 일으키듯, 칼도 미움도 웃사내질도 바람빛으로 다스릴까요? 아니면, 서슬이 퍼렇게 칼바람을 일으켜서 파들파들 두려워 떨 만큼 휘저을까요? 모름지기 모든 ‘나라’는 안 아름답습니다. 우두머리가 서고 벼슬아치가 받치는 ‘나라’는 사람들을 억누릅니다. ‘나라’ 아닌 ‘누리’일 적에 아늑합니다.


ㅅㄴㄹ


“당신은 모르겠지요.” (66쪽)


“그래도 시간이 지나면 이런 곳이라도 용서하고 말 것 같지. 안 그러냐?” (75쪽)


“쿨란은 기쁩니다. 지금까지 보호만 받는 여자의 몸이라 분했어요. 하지만 이번에는 제가 모두를 지키는 화살이 되겠어요.” (105쪽)


“둘이 함께라면 폭풍도 일으킬 수 있을 겁니다.” (133쪽)


#天幕のジャ?ドゥ?ガル

#トマトス?プ


+


《천막의 자두가르 2》(토마토수프/장혜영 옮김, 서울미디어코믹스, 2023)


내 밀정이 되어 줘

→ 내 뒤가 되어 줘

→ 뒷심이 되어 줘

→ 숨은빛이 되어 줘

28쪽


활의 명수라서 메르키트라고 한대요

→ 활을 잘 쏴 메르키트라고 한대요

→ 활잡이라서 메르키트라고 한대요

79쪽


하늘을 찌를 듯 높은 산에 깨끗한 원류가 있었다

→ 하늘을 찌를 듯 높은 메에 깨끗한 샘물이 있다

→ 하늘을 찌를 듯 높은 멧갓에 깨끗한 샘이 있다

101쪽


툴루이 가에 대항해 결탁하는 일이 생긴다면, 몽골은 분열되어 언젠가 붕괴될 거예요

→ 툴루이 집안에 맞서 맺는 일이 생긴다면, 몽골은 갈라져 언제나 무너저요

168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라면 먹고 갈래요 비치리딩 시리즈 8
하마탱 지음 / 인디페이퍼 / 2022년 7월
평점 :
절판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4.3.24.

만화책시렁 633


《라면 먹고 갈래요》

 하마탱

 인디페이퍼

 2022.7.15.



  우리는 다 다릅니다. 다 다르니 마음이 다르고 몸이 다릅니다. 마음하고 몸이 달라서 하루가 다르고, 눈길과 말길이 달라요. 《라면 먹고 갈래요》는 다 다른 사람들 가운데 또 다를 수밖에 없는 순이돌이가 만나서 엇갈리고 어울리는 하루를 부산스럽게 들려줍니다. 부산순이하고 부산돌이가 치고받다가 풀다가 툭탁거리다가 놀면서 누리는 나날이 무엇인가 하고 속삭여요. 한쪽은 “라면 먹고 갈래요?” 하고 묻고, 다른쪽은 “그저 라면만 먹고 또 먹고 자꾸 먹”습니다. 어느 때에는 이쪽이 곧이곧대로 받아들이고, 어느 곳에서는 저쪽이 고스란히 받아들입니다. 어느 때에는 이쪽이 슬쩍 빗대어 마음을 나타내려 하는데, 어느 곳에서는 저쪽이 가만히 빗대어 마음을 나타내려 합니다. 만날 수 없을 듯한 둘이 만나고, 만나도 될 만한지 아리송한 둘이 마주합니다. 모든 사람은 다르기에 마음을 나누어야 서로 무엇을 바라보는지 알 수 있습니다. 풀과 꽃과 나무도 다 달라서 저마다 마음을 나누면서 숲을 이룹니다. 풀은 풀말을 하고, 꽃은 꽃말을 하고, 나무는 나무말을 합니다. 다만 풀꽃나무는 사람말을 안 씁니다. 사람으로서 서로 마음을 나누려면 ‘소리로만 같은 말’이 아닌, ‘눈빛과 숨결과 사랑이 나란한 말’이 흘러야 하겠지요.


ㅅㄴㄹ


“괘안나?” “뭘 보노?” “아, 아이다.” “사람이 얘길하는 데 어딜 보노?” “어, 미안, 얘기해라.” “얘기할 기분 아이다!” (28쪽)


“거 왜, 칼 마르크스가 자본론을 썼는데.” “자본론? 많이 자 본 사람인가베? 껄! 껄! 껄!” “으이고, 오빠야, 책 좀 읽어라, 책 좀.” (78쪽)


“똥보서적 앞에 있는 거 맞어? 뛰어 봐.” “안 보여?” “엉덩이로 이름 써 봐.” “우씨∼ 이래도 안 보이나? 지금 어디 있는데?” “내? 내는 집에 있지― 약속시간 멀었으니까.” (94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