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빛 / 숲노래 책읽기

책하루, 책과 사귀다 194 한문



  한문을 배웠기에 한문을 안 쓰고는 못 배기는 사람이 있습니다. 영어를 배웠기에 영어를 안 쓰고는 못 견디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생각해 볼까요. 사랑을 배운 사람은 무엇을 쓸까요? 사랑을 쓸 테지요. 살림을 배운 사람은 무엇을 쓰나요? 살림을 써요. 숲을 배운 사람은 무엇을 쓰지요? 숲을 쓰겠지요. 아이가 이 별에 왜 우리 곁에 태어나는가를 배운 사람은 무슨 이야기를 쓰나요? 아이하고 별을 노래하는 기쁜 하루를 써요. 우리가 어른이란 몸을 입었어도 아기로 태어나 아이로 자라나던 꿈씨앗을 누구나 마음에 깊이 품으면서 살아가는 줄 배운 사람이라면 어떤 글을 쓰겠습니까? 아무래도 꿈을 마음에 심는 생각이라는 씨앗을 쓰겠지요. 한문을 쓰든 영어를 쓰든 대수롭지 않습니다만, ‘글이라는 껍데기’보다는 ‘글에 그리는 생각씨앗이라는 알맹이’를 바라보기를 빕니다. 한문이나 영어를 아는 사람끼리 주고받을 글이 아닌, 한문자랑이나 영어자랑으로 치닫는 글이 아닌, 어린이하고 시골 할머니하고 어깨동무하는 글을 쓰기를 바라요. 한문이나 영어 같은 ‘바깥글(바깥말)’은 이웃나라에서 편 삶·살림·사랑에 서린 이야기를 받아들이는 징검돌입니다. 우리는 이곳에서 ‘우리 삶말·살림말·사랑말’을 쓸 적에 즐겁습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빛 / 숲노래 책읽기

책하루, 책과 사귀다 193 나부터



  예나 이제나 앞으로나 적잖은 이들은 “네 까짓 것이!”라든지 “너 한 사람이 뭘?” 같은 말을 합니다. 크지 않거나 뭉치지 않으면 아무 힘이 없다고 여기는 마음이 드러나는 말입니다. 서울이라는 곳에 깃드는 눈길로 바라보는 말입니다. 참으로 서울에는 사람도 집도 돈도 일거리도 많아요. 그러나 서울에는 숲도 들도 바다도 없어요. 바쁘게 몰아치기에 사람에 집에 돈에 일거리가 많을 테지만, 이 탓에 숲빛이며 들빛이며 바다빛이 어떻게 피어나는가를 알아보기 어렵고, 바람빛이나 별빛은 까맣게 잊습니다. 모든 사람은 처음에 더없이 작은 씨앗이었어요. 키가 크든 작든 다 자그마한 씨앗에서 비롯한 몸입니다. 몸을 이룬 씨앗이기 앞서는 빛줄기로 온누리를 넘나들던 숨결인 마음이었어요. 얼핏 보면 숲은 온갖 풀꽃나무가 어우러지는데, 우람한 숲도 처음에는 작은 풀씨나 나무씨 하나였습니다. 그지없이 작은 숨결 하나에 싹이 트고 꽃송이가 열고 열매가 맺으면서 천천히 퍼지는 푸른빛입니다. 문득 보면 온누리에 책이 어마어마하게 많습니다만, 손이 닿을 가까이 있는 곳에 꽂힌 책부터 하나씩 읽으면 됩니다. 아름누리로 바꾸는 길은 ‘나부터’입니다. 작은이·작은씨·작은눈·작은손인 ‘나부터’ 가만히 다가서기에 길턱을 넘어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빛 / 숲노래 책읽기 2023.12.7.

책하루, 책과 사귀다 192 출마모금회



  고흥읍 나래터(우체국)에 가는 날에는 〈광주일보〉하고 〈무등일보〉를 슬슬 넘기면서 이레나 보름 사이에 어떤 이야기가 실렸나 돌아봅니다. 2023년 12월 첫머리에는 ‘출판기념회 아닌 출마모금회’를 다루는 머릿글이 있군요. 어느 길잡이(대학교수)는 ‘정치신인’은 ‘출마모금회’를 해야 한다고 감싸는 말을 늘어놓습니다. 길잡이도 벼슬꾼도 책을 얼마나 안 읽느냐를 스스로 밝히는 셈입니다. 뒷글(대필작가)이 넘치는 ‘국회의원·지자체장·교육감 후보 자서전’을 내어 책수다(북콘서트)를 열어서, 책 한 자락에 백만 원도 오백만 원도 천만 원도 받는다지요. 책값은 ‘이바지(정치후원금)’에 안 들어간다는군요. 일꾼이나 심부름꾼으로 나서야 할 분들이 ‘스스로 새길을 펴려는 뜻을 다루는 책’은 안 쓰면서 ‘돈(선거비용) 긁어모으기’에 나선다면 따끔히 나무랄 일이 아닐까요? 웃돈을 책값(선거비용 정치후원)으로 내는 이들은 그이가 벼슬을 거머쥐면 고스란히 돌려받겠지요. 대놓고 벌이는 짬짜미입니다. 어느 모로 보면, 책 한 자락을 징검다리로 삼아서 돈을 버니까 ‘책 쓰임새’를 넓힌 꼴일까요? 출마모금회를 꾀하는 무리나, 이런 자리에 가서 돈을 바치는 분이나, 책을 안 읽습니다. 책조차 안 읽는데 벼슬과 돈을 쥡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3.12.7. 눈뜰 수 있는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눈뜰 수 있는 하루이기에 느긋하면서 넉넉하게 살펴서 일을 꾸립니다. 눈을 뜨는 오늘이기에 어떤 일을 마주하든 스스럼없이 받아들이면서 새롭게 배웁니다. 낱말책을 꾸리는 하루란, 끝없이 돌아보고 되새기고 다독이고 손질하면서 스스로 피어나는 살림길입니다. 이미 다루었기에 더 안 다루어도 될 낱말이란 없습니다. 처음 다루고 나서 두벌째 다루고 석벌째 다루는 사이에 낱말을 헤아리는 눈을 새삼스레 뜨게 마련입니다.


  우리가 우리말을 슬기롭게 쓸 줄 안다면, 아주 흔히 쓰는 낱말을 끝없이 되새기고 가다듬고 추슬렀다는 뜻입니다. 우리가 우리말을 어른답게 펼 줄 안다면, 가장 쉬운 낱말을 어린이 곁에서 상냥하게 풀이하면서 즐겁게 나눈다는 뜻입니다. 우리가 우리말을 우리말답게 사랑으로 이야기할 줄 안다면, 이웃말(외국어)은 이웃말로 마주하면서 스스로 넋을 바라보고 품어 가꾼다는 뜻입니다.


  우리말을 우리말 아닌 옮김말씨나 일본말씨나 중국말씨로 망가뜨리는 까닭이라면 아주 쉽게 알아챌 테지요? 안 슬기롭고 안 어른스럽고 안 사랑하는 마음인 탓입니다. 이뿐이에요. 스스로 슬기롭게 눈뜨려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우리말을 아름다이 씁니다. 스스로 어른으로 서려는 사람이라면 언제나 우리말을 살려쓸 줄 압니다. 스스로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말 한 마디가 숲이며 바람이며 바다이며 꽃이며 사랑입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3.11.30. 여수 어린이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이튿날 12월 1일까지 여수 어린이를 만나러 스물넉 걸음을 합니다. 전남 고흥에서 전남 여수로 여느길(대중교통)으로 다니는 살림을 곰곰이 짚자니, 고흥에서 천안까지 다녀오는 길하고 맞먹지 싶습니다. 꽤나 멀어요. 그래도 이레마다 사흘씩 용케 이 길을 다니면서 글읽눈(문해력)을 들려주는 이야기를 조곤조곤 폈습니다.


  고흥에서도 서울이며 부산에서도, 광주나 인천이나 대전이나 대구에서도, 이 같은 ‘글읽눈 이야기꽃(문해력 증진 수업)’을 펼 수 있으면 즐거우리라 생각합니다. 몸은 좀 고될는지 모르나, 온나라 어린이하고 푸름이한테 살림말씨에 사랑말씨에 숲말씨를 베푸는 이야기는 즐겁습니다.


  제가 어릴 적에 저한테 ‘말을 가르친 사람’은 거의 할머니랑 할아버지입니다. 우리 할머니 할아버지는 거의 아무것도 안 가르쳐 주었으나, 마을 할머니랑 할아버지는 문득문득 스치는 자리마다 빙그레 웃으면서 알쏭달쏭한 수수께끼를 들려주었어요. 일고여덟 살이나 열 살이나 열두어 살 어린이는 알쏭달쏭 수수께끼를 거의 못 알아들었습니다만, 마음에 천천히 남았어요. 어릴 적에 얼핏 스치듯 남거나 새긴 말씨는 차츰차츰 자라서 열대여섯 살이나 열예닐곱 살에 피어났고, 때로는 서른 살이나 마흔 살에 깨어났습니다.


  아무래도 배움터(학교)에서는 바로바로 눈에 뜨이는 셈값(성적·점수)을 바랄 테지만, ‘말글’을 배우고 가르치는 자리에서는 셈값을 싹 잊어야 합니다. 우리말·우리글(국어)은 수학도 과학도 아니지만, 수학하고 과학을 ‘소리·그림’으로 풀어내어 살림빛에 사랑빛에 숲빛을 포근하게 품는 길을 수수께끼로 들려주는 갈래라고 하겠습니다.


  ‘문해력’을 ‘문자 해석 능력’으로 좁게 보려고 하면 어린이하고 푸름이가 괴롭고, 둘레 어른도 고단합니다. ‘글씨에 깃든 이야기’를 헤아리도록 이끌 노릇입니다. ‘글씨를 그대로 훑기’만 해서는 글읽눈이 자라지 않습니다. 낱말 하나에 어떤 삶을 담았는지 읽어내는 눈빛을 북돋아야 글읽눈을 저마다 스스로 키웁니다.


  모든 말은 ‘내가 나를 나답게 사랑하는 길을 찾으려고 들려주고 듣는다’고 여길 만합니다. 후다닥 달리면 들꽃도 늦가을꽃도 첫겨울꽃도 못 알아봅니다. 천천히 거닐다가, 때로는 아예 눌러앉아서 들여다보아야, 눈송이꽃을 알아보면서 환하게 웃습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