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4.1.26  단잠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오늘 펴냄터에서 모든 일을 마치고 찍는곳에 꾸러미를 넘겼다고 합니다. 이제는 종이에 앉혀서 태어나는 날을 기다리면 됩니다. 어떤 책으로 나올는지, 어떤 이웃님이 눈여겨보면서 사랑할는지, 어떤 푸름이와 길잡이와 어른이 마음으로 품고서 생각나래를 펴는 길동무로 삼을는지 기다립니다.

  2024년 2월에 태어날 책은 《우리말꽃》입니다. 책이 태어나면 새로 알리겠습니다. 글쓴이로서 여기까지 일을 마치고 보니 기운을 다하였습니다. 그래도 낮에 작은아이랑 밥을 차리고 같이 먹은 다음 늘어지게 꿈나라를 누볐습니다. 다시 기운을 차려야지요.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4.1.20. 겨울빗길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빗길에 나섰고, 빗길에 돌아옵니다. 저녁을 포근히 쉬고 나면 구름이 걷히겠지요. 빗길에 맨몸으로 빗물을 받는 사람이 드뭅니다. 비를 싫어하는 사람도 있을 테지만, 비가 무엇인지 모르는 사람이 훨씬 많습니다. 부산을 나서기 앞서 곰곰이 생각해 보았어요. 바다를 곁에 낀 고장에서 나고자랐어도 ‘바다’라는 이름에 얽힌 밑동이나 속뜻을 모르기 일쑤예요. 들이나 멧골에서 나고자랐어도 ‘들’이며 ‘메·골’이라는 낱말을 이룬 밑뿌리를 모르기 일쑤입니다. 서울사람이지만 ‘서울’이 어떻게 태어나서 흐른 낱말인 줄 모를 수 있습니다.


  그림꽃 《기계 장치의 사랑(機械仕掛けの愛)》 한글판은 두걸음에서 끝이지만, 일본에서는 일곱걸음까지 나옵니다. 《풀솜감옥》은 이제 두걸음이 나왔고, 뒷걸음이 곧 더 나옵니다. 《여행하는 낱말》이 지난해 끝자락에 갓 나와서 천천히 읽습니다. 이 곁에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를 슬쩍 얹습니다.


  삶을 이루는 말을 차곡차곡 배울 적에 사랑으로 나아가는 살림빛을 스스럼없이 익히면서 펴게 마련입니다. 모든 말은 삶에서 비롯할 뿐 아니라, 사랑을 뿌리로 삼는 줄 알아볼 적에, 문득 눈을 뜨고 마음을 열 테지요.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빛 / 숲노래 책읽기 2024.1.20.

책하루, 책과 사귀다 195 서울의 봄



  2023년에 나온 보임꽃(영화) 〈서울의 봄〉을 어느 어린배움터에서 함께 보려고 하다가 그만두었다지요. 깜짝 놀랐습니다. 이 보임꽃은 어린이한테 안 어울려요. 적어도 열대여섯 살은 넘은 뒤에 보면 모르되, 어린이한테 너무 이릅니다. 어린이한테 보이려면 〈효자동 이발사〉가 어울립니다. 푸름이한테는 〈그때 그 사람들〉을 보여주면서 ‘국기에 대한 경례’를 비롯한 숱한 사슬을 차근차근 짚는 쪽이 나으리라 느낍니다. 슬프고 시커먼 우리나라 발자취를 어린이도 배울 노릇입니다만, ‘어린이가 아닌 어른 눈높이’로 찍은 보임꽃을 섣불리 어린이한테 보여주면, 그만 어린이는 헤매거나 어지럽거나 무섭고 섬뜩합니다. 어린이한테는 〈우주소년 아톰〉을 보여주면서 ‘총칼질(전쟁)과 따돌림(차별)과 서울나라(도시문명)’가 얼마나 헛된가를 먼저 짚어 주는 길이 훨씬 낫습니다. 차근차근 보고 새기고 익히다가 〈효자동 이발사〉를 보고, 〈그때 그 사람들〉을 볼 푸름이 나이에 이르면, 그제서야 〈서울의 봄〉을 보고 얘기해도 어울리겠지요. 어린이하고 푸름이는 ‘미움씨앗’이 아닌 ‘사랑씨앗’을 보고 느끼고 배울 나이입니다. 사랑을 짓밟은 웃대가리 틈새에서 들꽃씨앗을 심은 작은이 손길부터 헤아려야 어른입니다.


그리고, 우리 집에서는 이도 저도 그도 다 안 보여줍니다. 그러면 뭘 보느냐 하면, 1971년에 나온 〈윌리 웡카의 초콜릿 공장〉 같은 아름다운 보임꽃을 찾아내어 함께 보고 다시 보고 또 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https://namu.wiki/w/%EC%9C%8C%EB%A6%AC%20%EC%9B%A1%EC%B9%B4%EC%99%80%20%EC%B4%88%EC%BD%9C%EB%A6%BF%20%EA%B3%B5%EC%9E%A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4.1.12. 이무롭다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새해를 맞이하고서 두 아이하고 “우리집 글눈뜨기”를 합니다. ‘글눈뜨기 = 문해력 수업’입니다. 일본스런 한자말 ‘문해력’을 굳이 ‘우리배움숲’에서 쓸 까닭이 없어 새말을 지었습니다. 길지 않게 날마다 하려고 하지만, 서로 이야기를 하노라면 어느새 한나절이 훌쩍 지납니다. 어제 나눈 말을 돌아보고서, 오늘 나눌 말을 헤아리다가, ‘고니’랑 ‘딸·아들’하고 얽힌 말밑풀이를 마쳤고, ‘이무롭다’라는 전라말도 말밑풀이를 마칩니다.


  전라남도에서는 ‘이무롭다’를, 전라북도에서는 ‘이무럽다’를, 충청남도에서는 ‘이물없다’를 으레 쓰지만, 셋이 섞이기도 합니다. 뿌리나 바탕이나 밑은 여럿이되, 낱말 하나가 문득 태어나서 말꼴이 조금 다르게 자리잡은 셈입니다.


  사투리 ‘이무롭다’를 풀어내고 나서 생각합니다. 인천에서 나고자라며 늘 밀물썰물을 보고, ‘미세기’라는 낱말도 어릴 적부터 알았으나, 서울사람은 ‘밀물썰물’을 모르고, 강원사람도 ‘밀물썰물’뿐 아니라 ‘미세기’는 아예 어림도 못 하더군요. 어떤 서울·강원사람은 “아니 ‘미세기’란 말이 어디 있어요? 당신이 지은 말인가요?” 하고 따지기도 했습니다. 그저 빙그레 웃을 뿐입니다.


  바다를 곁에서 품지 않은 살림이라면 바다말을 모르게 마련이에요. 저는 어릴 적부터 배를 으레 타면서 놀았습니다. 그러니 ‘뱃전’이나 ‘이물·고물’이란 낱말도 예닐곱 살부터 알았고 썼습니다. 그리고 ‘이물·고물’을 아예 들은 적조차 없는 사람을 수두룩히 만났습니다.


  우리는 누구나 모든 말을 다 알 수 있고, 모든 말을 다 알아내지 못 할 수 있습니다. 마음을 틔우고 열어 가꾸면, 이제 처음 듣는 말이어도 새롭게 받아들여서 두루 헤아립니다. 마음을 안 틔우고 안 열고 안 가꾸면, 일본스런 한자말이나 중국스러운 글결이나 옮김말씨에 사로잡혀서, 그만 우리말을 영 모를 수 있어요. 스스로 우리말을 새롭게 배우는 사람이라면, 담벼락을 안 세우고 외곬로 치닫지 않고, 어깨동무를 하면서, 숲을 품어 사랑씨앗을 심는 하루를 짓습니다. 이뿐입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 + + + +


2024년 1월 19일 (금요일), 19시,

부산 중구 동광길 42, 6층 601호 〈곳간〉,

‘함께 쓰는 우리말 살림 사전’ 모임을 꾸린다.

말빛을 살피고 말꽃을 나누려는 이웃님이라면

즐거이 함께 하실 수 있다.


https://www.instagram.com/p/C18ZmEtp6fS/?img_index=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4.1.8. 비극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한자말 ‘비극’을 어떻게 풀면 어울리려나 하고 오래도록 헤아렸습니다. 1993년까지는 푸른배움터에서 가르치는 대로 쓰다가, 스무 살에 이르며 ‘슬프다·아프다·눈물’로 풀었고, 해마다 조금씩 풀잇말을 늘리는데, ‘비극적’이나 ‘비극의·-의 비극’처럼 곳곳에 들러붙는 말씨를 그저 두고두고 지켜보았어요. 이러다가 요 며칠 사이에 더 미루지 말자고 여기면서 품을 들여 매듭을 짓습니다. 얼추 여든 낱말이 넘도록 풀어내는 길을 살폈어요.


  이제 기지개를 켜자고 여기면서 좀 쉬다가 ‘순간·순간적’을 다시 맞닥뜨립니다. 진작에 손보기는 했으되 빠뜨린 대목이 많은 줄 알아차립니다. 일본말씨라 할 ‘순간·순간적’은 온 가지 남짓 풀어낼 만하구나 싶어요. 그리고 ‘초현실·초현실적’을 일고여덟 해쯤 앞서 가볍게 손보고서 지나간 줄 느낍니다. 다시 이 일본말씨를 추스르는데, 예순 가지쯤으로 풀어낼 만하군요.


  오늘 아침에는 드디어 ‘달개비’ 말밑을 풀었다고 혼자 즐거웠는데, 즐거운 빛이 반짝일 틈이 없이 숱한 낱말을 다시 붙잡고 헤매고 돌고돌면서 저녁을 맞이합니다. 이제 1월 한복판은 18시 가까워 어둑어둑하고, 어둑살이 끼자마자 별이 쏟아집니다. 말씨 하나는 별씨랑 같고, 말 한 마디는 별빛 한 줄기 같습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